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가난이 사는 집 : 판자촌의 삶과 죽음

김수현 지음

책이미지
가난이 사는 집 :  판자촌의 삶과 죽음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수현 지음
김수현
서명/저자사항가난이 사는 집:판자촌의 삶과 죽음 /김수현 지음
발행사항파주 :오월의봄,2022
형태사항331 p :삽도, 도표 ;21 cm
ISBN9791168730373 03300
서지주기참고문헌: p. 323-[330]주: p. 316-322
가격정보\185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054824 339.2 김57ㄱ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책을 내며
그 많던 판자촌은 어디로 갔나?

1부. 판자촌을 아시나요?

1장 집
산업화, 도시화 그리고 주택문제
남의 땅에 집 짓기
판자촌의 전형이 만들어지다: 붉은색 시멘트 기와, 미장한 블록 벽
새로 들어선 무허가주택

2장 사람
판자촌 사람들
판자촌의 개혁가들

3장 사건
물, 불, 산사태
와우아파트 붕괴
광주대단지사건
투쟁하는 철거민

2부. 집,...

목차 전체

책을 내며
그 많던 판자촌은 어디로 갔나?

1부. 판자촌을 아시나요?

1장 집
산업화, 도시화 그리고 주택문제
남의 땅에 집 짓기
판자촌의 전형이 만들어지다: 붉은색 시멘트 기와, 미장한 블록 벽
새로 들어선 무허가주택

2장 사람
판자촌 사람들
판자촌의 개혁가들

3장 사건
물, 불, 산사태
와우아파트 붕괴
광주대단지사건
투쟁하는 철거민

2부. 집, 가난 그리고 개발

4장 집과 가난
가난한 집의 역사

5장 판자촌과 합동재개발
판자촌을 중산층용 아파트 단지로

6장 뉴타운과 도시재생
판자촌 이후의 재개발
뉴타운에서 도시재생으로

3부. 판자촌 이후의 판자촌

7장 세계의 판자촌
어디나 ‘판자촌’은 있다

8장 판자촌이 남긴 숙제
판자촌에 대한 국제사회의 촉구
판자촌이 남긴 숙제

보태는 글
판자촌과 부동산 정책의 경험


참고문헌
사진 출처
  • 그의 운명에 대한 아주 개인적인 생각
    그의 운명에 대한 아주 개인적인 생각
    유시민 지음
    생각의길, 2024
  • 보통 일베들의 시대 :  '혐오의 자유'는 어디서 시작되는가
    보통 일베들의 시대 : '혐오의 자유'는 어디서 시작...
    김학준 지음
    오월의봄, 2022
  • 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며
    이상한 정상가족 : 자율적 개인과 열린 공동체를 그리...
    김희경 지음
    동아시아, 2022
  • 이게 차별이라고?
    이게 차별이라고?
    고수산나 글
    열다, 2022
  • 어린이 젠더 :  우린 모두 달라!
    어린이 젠더 : 우린 모두 달라!
    오누키 시오리 글
    예림당, 20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
가난이 사는 집 : 판자촌의 삶과 죽음
  • 0
  • 2023-01-30
  • 추천수(0)
그 많던 판잣집은 어디로 갔을까?
그곳에 살던 가난한 사람들은 어디로 갔을까?
판자촌이 우리에게 남긴 숙제는 무엇인가?

책은 도심 재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철거민들의 저항도 자세히 다루고 있다. 기본적으로 정부는 집을 철거하기 전에 다른 곳에 살 자리를 제공한다는 원칙은 가지고 있었다. 시 외곽에 집단정착지를 만들었고, 광주대단지는 그중 신도시급 대규모 정착지였다. 시민아파트도 판자촌을 철거하고 주민들을 입주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정부의 대책이 주민들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울 때가 많았다. 광주대단지는 수도시설도 갖춰져 있지 않은 황무지에 불과했고, 시민아파트는 생활 형편에 비해 입주금이 너무 비쌌다. 더군다나 세입자들이나 후발 전입자들은 대상이 아닐 때도 많았다. 결국 1971년 광주대단지에서 참다못한 주민들이 들고일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1970년대 철거 싸움은 대부분 일회성에 그쳤다. 대신 체념하거나 또는 분을 못 이겨 목숨을 던지는 사람들이 많았다.

조직적인 철거민운동이 시작된 건 1983년부터였다. 1983년 목동 주민들이 들고일어났다. 목동 주민들의 대응은 1970년대의 철거 싸움과는 차원이 달랐다. 무엇보다 조직화되고 체계적이었으며,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었다. 이전까지 이뤄졌던 ‘한차례 들고일어나는’ 수준의 철거 반대와는 차원이 달랐다. 100여 차례가 넘는 집회, 시위를 거치면서 약 2년간 계속되었다. 특히 당시 전두환 군사독재 시절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가두점거 농성이나 구청 진입, 경찰서 앞 시위 등이 수시로 벌어졌다. 이후 철거민 싸움은 사당동, 상계동, 돈암동, 오금동, 구로동 등 100여 곳이 넘는 곳으로 확대되었다. 초기에는 학생운동권이나 종교계 등의 도움을 통해 조직화되기도 했지만, 차츰 주민들이 스스로 연합조직을 만들고 이끌어갔다. 1987년 ‘서울시철거민협의회’(서철협)를 시작으로 1990년 ‘주거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주거연합) 등이 이런 차원에서 만들어졌다. 책은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싸웠던 제정구, 정일우, 허병섭, 고광석, 김흥겸 등 빈민운동가들도 조명하고 있다. 저자 또한 이 당시 철거민운동에 함께했다.

글출처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005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