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장애인연금제도 도입에 대한 입법평가 = Evaluation of legislation on the introduction of disability person pension system

연구자 : 윤석진,김주환

책이미지
장애인연금제도 도입에 대한 입법평가  = Evaluation of legislation on the introduction of disability person pension system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명환
김주환
윤석진
단체저자명Kim, Joo-Hwan
Kim, Myeong-Hwan
Yoon, Seok-Jin
한국법제연구원
서명/저자사항장애인연금제도 도입에 대한 입법평가 =Evaluation of legislation on the introduction of disability person pension system /연구자 : 윤석진,김주환김명환.
발행사항서울 :한국법제연구원,2009
형태사항xvi, 343 p. :도표 ;25 cm.
총서사항입법평가 연구 ;09-16-18
ISBN9788983238009(세트)
9788983239600 :
일반주기부록 수록
한국법제연구원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KLRI)
서지주기참고문헌(279-284 p.) 수록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29792 340.4 윤53ㅈ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국문요약 = 3
Abstract = 5
제1장 입법평가의 필요성 = 31
 제1절 평가의 목적 = 31
 제2절 평가범위 = 34
  Ⅰ. 소득보장의 개념 = 34
  Ⅱ. 장애인 삶의 질 차원의 접근 = 37
  Ⅲ. 사회통합 차원의 접근 = 39
 제3절 평가방법 = 44
  Ⅰ. 사전입법평가 = 44
  Ⅱ. 입법평가에서의 사회영향평...

목차 전체

국문요약 = 3
Abstract = 5
제1장 입법평가의 필요성 = 31
 제1절 평가의 목적 = 31
 제2절 평가범위 = 34
  Ⅰ. 소득보장의 개념 = 34
  Ⅱ. 장애인 삶의 질 차원의 접근 = 37
  Ⅲ. 사회통합 차원의 접근 = 39
 제3절 평가방법 = 44
  Ⅰ. 사전입법평가 = 44
  Ⅱ. 입법평가에서의 사회영향평가 활용 = 45
제2장 입법평가의 구상단계 = 51
 제1절 문제분석 = 51
  Ⅰ. 장애인의 개념과 범위 = 51
  Ⅱ. 국내 장애인 현황 및 분석 = 66
  Ⅲ. 장애인실태조사 결과평가 = 84
 제2절 목표분석 = 88
  Ⅰ. 정치적 목표분석 = 88
  Ⅱ. 목표의 설정 = 90
 제3절 체계분석(현행 장애인소득보장을 위한 규범체계 및 내용) = 91
  Ⅰ. 국민연금법 = 91
  Ⅱ. 공무원연금법 및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 = 107
  Ⅲ. 군인연금법 = 123
  Ⅳ. 산업재해보상보험법 = 137
  Ⅴ. 장애인복지법 = 159
  Ⅵ. 체계분석결과 = 167
 제4절 외국의 입법 및 제도사례 분석 = 186
  Ⅰ. 주요국의 장애인연금제도의 운용 = 186
  Ⅱ. 입법례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 224
 제5절 대안입법 및 시나리오 = 228
  Ⅰ. 대안입법 1(장향숙의원 발의안) = 228
  Ⅱ. 대안입법 2(박은수의원 발의안) = 230
  Ⅲ. 대안입법 3(정화원의원 발의안) = 232
  Ⅳ. 대안입법 4(윤석용의원 발의안) = 234
  Ⅴ. 대안입법 5(정부발의안) = 236
  Ⅵ. 대안입법의 주요내용 분석 = 238
제3장 대안입법에 대한 입법평가 = 241
 제1절 이용가치분석 = 241
  Ⅰ. 연금제도 수급권자 분석 = 241
  Ⅱ. 연금지급액 분석 = 243
  Ⅲ. 소결 = 244
 제2절 경제성 분석 = 245
  Ⅰ. 장애인연금제도의 비용추계 = 245
  Ⅱ. 비용추계를 위한 조건 검토 = 246
  Ⅲ. 비용추계의 실제 = 250
 제3절 사회적 영향분석 = 263
  Ⅰ. 빈곤감소효과 = 263
  Ⅱ. 삶의 질 향상효과 = 265
  Ⅲ. 사회안정 및 통합효과 = 266
  Ⅳ. 소결 = 267
제4장 종합 결론 및 권고 = 269
 제1절 장애인연금제도의 도입에 따른 입법적 고려 = 269
  Ⅰ. 단계적 제도발전방안 모색 = 269
  Ⅱ. 관련 법령과의 체계성 조화 = 270
  Ⅲ. 수급장애인의 판정기준 개선 = 271
  Ⅳ. 급여 지급방식의 유동화 = 273
 제2절 영향평가기법의 활용에 따른 시사점 = 273
 제3절 평가의 한계 = 274
  Ⅰ. 대안입법상의 한계 = 274
  Ⅱ. 평가방법론상의 한계 = 277
참고문헌 = 279
【부록】
 장애인소득보장법안(장향숙의원 발의안) = 287
 중증장애인 기초연금법안(정화원의원 발의안) = 299
 장애인연금법안(박은수의원 발의안) = 311
 중증장애인연금법안(윤석용의원 발의안) = 317
 중증장애인 기초장애연금법안(정부발의안) = 329
  • 지리의 힘 . 1-2
    지리의 힘 . 1-2
    팀 마샬 지음
    사이, 2022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장애시민 불복종
    장애시민 불복종
    변재원 지음
    창비, 2023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