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세계평화지수 연구 /

이성우 외저

책이미지
세계평화지수 연구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성우
고상두
김흥규
류길재
신범식
이상현
인남식
최운도
홍우택
단체저자명제주평화연구원
서명/저자사항세계평화지수 연구 /이성우 외저 =Research on world peace index
발행사항서울 :오름,2009
형태사항328 p. :삽화, 도표 ;23 cm
총서사항제주평화연구원 연구총서 ;10
ISBN9788977783294 93300 :
일반주기공저자: 고상두, 김흥규, 류길재, 신범식, 이상현, 인남식, 최운도, 홍우택
서지주기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28741 327.172 제77ㅅ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발간사
머리말

제1장ㅣ 세계평화지수 연구의 필요와 방법론 논의 / 이성우
 Ⅰ. 들어가는 말: 지수연구의 필요성
 Ⅱ. 기존연구에 대한 고찰
 Ⅲ. 평화의 이론적 개념 정의와 조작 정의
 Ⅳ. 표본의 선택과 방법론
 Ⅴ. 연구의 방향

제2장ㅣ 세계평화지수의 추이와 변화: 1990~2004 / 이성우
 Ⅰ. 들어가는 말: 평화지수의 활...

목차 전체

발간사
머리말

제1장ㅣ 세계평화지수 연구의 필요와 방법론 논의 / 이성우
 Ⅰ. 들어가는 말: 지수연구의 필요성
 Ⅱ. 기존연구에 대한 고찰
 Ⅲ. 평화의 이론적 개념 정의와 조작 정의
 Ⅳ. 표본의 선택과 방법론
 Ⅴ. 연구의 방향

제2장ㅣ 세계평화지수의 추이와 변화: 1990~2004 / 이성우
 Ⅰ. 들어가는 말: 평화지수의 활용가능성
 Ⅱ. 평화지수의 전 세계적 추이
 Ⅲ. 한반도 주변국 체제 안정과 평화지수의 논의
 Ⅳ. 평화지수와 국력의 상관관계
 Ⅴ. 맺는 말: 평화지수의 활용과 전망

제3장ㅣ 세계평화지수를 통해 본 북한의 통미봉남 전략 실증 분석: 
벡터오차수정모형 방법을 이용한 한국, 미국, 그리고 북한 간의 상호역학관계 분석 / 홍우택
 Ⅰ. 들어가는 말
 Ⅱ. 분석가설 설정: 통미봉남(通美封南)을 중심으로
 Ⅲ. 분석모형(벡터오차수정모형: VECM)과 변수의 조작화
 Ⅳ. 실증 분석
 Ⅴ. 결과 요약 및 시사점

제4장ㅣ 북한의 평화지수 추이 및 대주변국 관계 / 류길재
 Ⅰ. 들어가는 말
 Ⅱ. 북한의 대주변국 양자관계 평화지수 추이
 Ⅲ. 남한 및 미국의 행정부별 북한의 평화지수 추이
 Ⅳ.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대주변국 요인 분석
 Ⅴ. 맺는 말

제5장ㅣ 세계평화지수를 통해 본 미국 외교의 패러다임과 대외관계 / 이상현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존연구의 검토: 평화와 갈등의 계량화 사례
 Ⅲ. 미국 대외정책의 패러다임과 대외관계
 Ⅳ. 맺는 말 및 시사점

제6장ㅣ 세계평화지수를 통해 본 미·중 관계의 분석 / 김흥규
 Ⅰ. 미·중 관계의 역사
 Ⅱ. 미·중 관계 주요 고려사항
 Ⅲ. 평화지수에 따른 미·중 관계와 해제
 Ⅳ. 미·중 전략적 협력관계의 형성
 Ⅴ. 향후 미·중 관계 전망

제7장ㅣ 세계평화지수를 통해 본 일본 외교정책에 있어서의 협력과 갈등 / 최운도
 Ⅰ. 들어가는 말
 Ⅱ. 월간 데이터에 나타난 변수들 사이의 상관관계: 기초조사
 Ⅲ. 양자관계와 상호작용의 특징들
 Ⅳ. 탈냉전기 일본의 외교정책
 Ⅴ. 미·일 간 협력과 갈등의 상관관계
 Ⅵ. 중·일 관계의 협력과 갈등
 Ⅶ. 삼각관계의 메커니즘과 갈등관리
 Ⅷ. 맺는 말

제8장ㅣ 세계평화지수를 통해 본 러시아의 대미 및 대중 관계: 상호관련성과 그 해석의 문제 / 신범식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의 배경: 러시아의 국제환경에 대한 인식 및 대외전략의 변화
 Ⅲ. 러·미 관계와 러·중 관계: 역사적 전개와 개황
 Ⅳ. 평화지수로 본 러시아의 대미 대중정책의 상관성
 Ⅴ. 러·중·미 삼자관계의 동학에서 본 러시아의 대미·대중 관계

제9장ㅣ 세계평화지수를 통해 본 독일 외교정책에서의 협력과 분쟁 / 고상두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존연구의 검토
 Ⅲ. 독일 외교정책의 패턴과 상관관계
 Ⅳ. 연구 디자인
 Ⅴ. 결과 분석
 Ⅵ. 맺는 말

제10장ㅣ 세계평화지수를 통해 본 미국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관계 / 인남식
 Ⅰ. 들어가는 말
 Ⅱ. 평화지수의 시계열 분석
 Ⅲ. 이스라엘 평화 협상 관련 주요 쟁점
 Ⅳ. 미국·이스라엘·팔레스타인 3자 역학관계의 동학
 Ⅴ. 평화지수의 적용과 전망: 오바마 행정부 이후 미·이·팔 평화 구축 경로에의 함의

색인
저자 소개(가나다 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법 :  총칙 . 1-2
    주석 형법 : 총칙 . 1-2
    박상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20
  •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 :  병원과 사회를 이어가는 의사 김선민이 꿈꾸는 세상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 : 병원과 사회를 이어...
    김선민 지음
    메디치, 2024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