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성장과 배제의 정치를 넘어)지역사회의 성찰과 혁신

백두주

책이미지
(성장과 배제의 정치를 넘어)지역사회의 성찰과 혁신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백두주
서명/저자사항(성장과 배제의 정치를 넘어)지역사회의 성찰과 혁신[전자책] /백두주 지음
발행사항파주 :한국학술정보,2009
형태사항301p :도표 ;23cm
총서사항내일을여는지식사회 ;23
ISBN9788926806173 93330 :
9788926806180 98330(eBook)
일반주기 전자책(eBook)으로 이용가능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
요약이 책은 필자가 그동안 전문학술지나 학회의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들을 엮어 현재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현실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다. 제1부에서는 부산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성장연합세력이 어떻게 구성되고 활동하며,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 증명해 보고자 했다. 1장 성장정치의 이론적 논의에서는 성장기제론의 상장연합과 도시체제(urban regime), 거버넌스(governance) 개념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삼성그룹이 자동차사업 진출을 공식적으로 표명한 1993년부터 2000년 르노삼성차가 출범하기까지의 부산 지역 성장정치를 시계열적으로 세밀히 분석했다. 3장에서는 경제적 효율성과 환경적 가치를 충돌했던 부산의 명지대교 건설을 둘러싼 성장정치를 다루었다. 제2부는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인 창원(경남) 지역에 관한 사례연구들이다. 이 지역의 산업구조 및 실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산업경제정책을 탐색하고자 했다. 4장에서는 창원 지역의 중소기업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다. 5장은 지역수준에서 노사정 간 새로운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하에 대표적인 지역노사정 거버넌스로 지적되고 있는 지역노사정협의회를 분석했다. 제3부는 대안적 지역발전을 모색한 글들이다. 6장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슬로시티(cittaslow) 사례분석을 통해 대안적 발전모델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했다. 마지막 7장에서는 새로운 자기혁신 주체로서 ‘지역’과 ‘노동운동’에 주목하여 지역혁신 과정에서 노동운동의 역할과 책임, 활동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노동운동이 지역사회 내 다양한 의제들을 자기화하고 지역 내 의사결정구조에 높은 참여수준을 내용으로 하는 ‘참여적 조절형’ 모델을 대안적 노동운동의 모델로 제시했다.
비통제주제어지역사회,성장정치,지역발전
가격정보\20000

원문정보

  • (성장과 배제의 정치를 넘어)지역사회의 성찰과 혁신[전자책]  원문

목차 일부

이 책은 필자가 그동안 전문학술지나 학회의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들을 엮어 현재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현실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다. 제1부에서는 부산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성장연합세력이 어떻게 구성되고 활동하며,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 증명해 보고자 했다. 1장 성장정치의 이론적 논의에서는 성장기제론의 상장연합과 도시체제(u...

목차 전체

이 책은 필자가 그동안 전문학술지나 학회의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들을 엮어 현재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현실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다. 제1부에서는 부산 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성장연합세력이 어떻게 구성되고 활동하며,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사례분석을 통해 증명해 보고자 했다. 1장 성장정치의 이론적 논의에서는 성장기제론의 상장연합과 도시체제(urban regime), 거버넌스(governance) 개념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삼성그룹이 자동차사업 진출을 공식적으로 표명한 1993년부터 2000년 르노삼성차가 출범하기까지의 부산 지역 성장정치를 시계열적으로 세밀히 분석했다. 3장에서는 경제적 효율성과 환경적 가치를 충돌했던 부산의 명지대교 건설을 둘러싼 성장정치를 다루었다. 제2부는 한국의 대표적인 산업도시인 창원(경남) 지역에 관한 사례연구들이다. 이 지역의 산업구조 및 실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산업경제정책을 탐색하고자 했다. 4장에서는 창원 지역의 중소기업 문제를 주로 다루고 있다. 5장은 지역수준에서 노사정 간 새로운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하에 대표적인 지역노사정 거버넌스로 지적되고 있는 지역노사정협의회를 분석했다. 제3부는 대안적 지역발전을 모색한 글들이다. 6장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슬로시티(cittaslow) 사례분석을 통해 대안적 발전모델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했다. 마지막 7장에서는 새로운 자기혁신 주체로서 ‘지역’과 ‘노동운동’에 주목하여 지역혁신 과정에서 노동운동의 역할과 책임, 활동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노동운동이 지역사회 내 다양한 의제들을 자기화하고 지역 내 의사결정구조에 높은 참여수준을 내용으로 하는 ‘참여적 조절형’ 모델을 대안적 노동운동의 모델로 제시했다.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