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현대 북한사회 연구 /

김경호 [저]

책이미지
현대 북한사회 연구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경호
서명/저자사항현대 북한사회 연구 /김경호 [저]
발행사항부산 :세종,2003
형태사항321p ;23cm
ISBN8979434979 03340
일반주기부록: 1. 북한 사회주의 헌법, 2.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3.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서. 외
서지주기참고문헌 수록서지적 각주 수록
내용주기제1장 분단구조의 형성과 북한정권 = 11 1. 분단구조의 형성 = 11 2. 북한정권의 형성 = 20 3. 김일성 체제의 공고화 = 28 제2장 북한권력구조의 변화와 정치체제 = 37 1. 서 론 = 37 2. 권력구조의 변화 = 38 3. 북한정치체제의 특징 = 49 4. 결론 = 54 제3장 주체사상과 변용 = 59 1. 서 = 59 2. 형성 배경 = 59 3. 형성과정 = 61 4. 유일체제로서의 주체사상 = 67 5. 김정일과 주체사상 = 71 6. 주체사상의 변용 = 74 7. 결 론 = 77 저14장 체제신화 : 별. 태양, 백두산, 혈맥, 지맥, 정기 = 79 1. 북한의 역사해석 = 79 2. 김일성의 신화 = 85 3. 김정일 탄생의 신화 = 89 4. 이상적인 군주상 = 100 제5장 북한의 정치교육 = 109 l. 서론 = 109 2. 논의의 전제 = 111 3. 북한교육의 전개과정 = 117 4. 북한의 정치교육 = 123 5. 북한정치교육의 특성 = 130 6. 결론 = 136 제6장 북한의 自主路線 외교 = 141 1. 서론 = 141 2. 대외정책의 기조 = 143 3. 대외관계의 전개과정 = 150 4. 북한의 자주노선 = 154 5. 결론 = 164 제7장 김정일정권의 대 중국관계 = 167 1. 서론 = 167 2. 김정일정권의 등장 = 169 3. 김정일정권의 대외정책기조 = 171 4. 김정일정권과 북·중관계 = 175 5. 결론 = 184 제8장 남북정상회담 = 191 1. 서론 = 191 2. 정상회담의 배경 = 193 3. 한반도 냉전구조의 해체과정 = 196 4. 남북한관계의 향후과제 = 206 5. 결론 = 209 제9장 북미관계와 한반도 = 213 1. 서론 = 213 2. 북미관계의 전개과정 = 215 3. 북미의 정책목표와 주요쟁점 = 220 4. 북미관계가 한반도의 안보질서에 미치는 영향 = 229 5. 우리의 대응 = 234 6. 결론 = 241 제10장 북한의 계획경제 = 245 1. 북한체제 변화에 관한 입장 = 245 2. 북한사회주의체제의 특징 = 246 3. 북한계획경제의 문제 = 252 4. 북한경제난과 정책변화 = 257 제11장 북한의 통일정책 = 267 1. 통일정책의 목표 = 267 2. 통일정책의 전개과정 = 271 3. 탈냉전기의 통일정책 = 282 4. 김정일 정권의 통일정책 = 284 부록1. 북한 사회주의 헌법 = 289 부록2.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 311 부록3. 북 - 미 제네바 기본합의서 = 314 부록4. 남북공동선언(전문) = 318 부록5. 북한 및 통일관련 Website = 320
일반주제명북한인권
가격정보\12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8859 951.9 김14ㅎㄱ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분단구조의 형성과 북한정권 = 11 1. 분단구조의 형성 = 11 2. 북한정권의 형성 = 20 3. 김일성 체제의 공고화 = 28 제2장 북한권력구조의 변화와 정치체제 = 37 1. 서 론 = 37 2. 권력구조의 변화 = 38 3. 북한정치체제의 특징 = 49 4. 결론 = 54 제3장 주체사상과 변용 = 59 1. 서 = 59 2. 형성 배경 ...

목차 전체

제1장 분단구조의 형성과 북한정권 = 11 1. 분단구조의 형성 = 11 2. 북한정권의 형성 = 20 3. 김일성 체제의 공고화 = 28 제2장 북한권력구조의 변화와 정치체제 = 37 1. 서 론 = 37 2. 권력구조의 변화 = 38 3. 북한정치체제의 특징 = 49 4. 결론 = 54 제3장 주체사상과 변용 = 59 1. 서 = 59 2. 형성 배경 = 59 3. 형성과정 = 61 4. 유일체제로서의 주체사상 = 67 5. 김정일과 주체사상 = 71 6. 주체사상의 변용 = 74 7. 결 론 = 77 저14장 체제신화 : 별. 태양, 백두산, 혈맥, 지맥, 정기 = 79 1. 북한의 역사해석 = 79 2. 김일성의 신화 = 85 3. 김정일 탄생의 신화 = 89 4. 이상적인 군주상 = 100 제5장 북한의 정치교육 = 109 l. 서론 = 109 2. 논의의 전제 = 111 3. 북한교육의 전개과정 = 117 4. 북한의 정치교육 = 123 5. 북한정치교육의 특성 = 130 6. 결론 = 136 제6장 북한의 自主路線 외교 = 141 1. 서론 = 141 2. 대외정책의 기조 = 143 3. 대외관계의 전개과정 = 150  4. 북한의 자주노선 = 154 5. 결론 = 164 제7장 김정일정권의 대 중국관계 = 167 1. 서론 = 167 2. 김정일정권의 등장 = 169 3. 김정일정권의 대외정책기조 = 171 4. 김정일정권과 북·중관계 = 175 5. 결론 = 184 제8장 남북정상회담 = 191 1. 서론 = 191 2. 정상회담의 배경 = 193 3. 한반도 냉전구조의 해체과정 = 196 4. 남북한관계의 향후과제 = 206 5. 결론 = 209 제9장 북미관계와 한반도 = 213 1. 서론 = 213 2. 북미관계의 전개과정 = 215 3. 북미의 정책목표와 주요쟁점 = 220 4. 북미관계가 한반도의 안보질서에 미치는 영향 = 229 5. 우리의 대응 = 234 6. 결론 = 241 제10장 북한의 계획경제 = 245 1. 북한체제 변화에 관한 입장 = 245 2. 북한사회주의체제의 특징 = 246 3. 북한계획경제의 문제 = 252 4. 북한경제난과 정책변화 = 257 제11장 북한의 통일정책 = 267 1. 통일정책의 목표 = 267 2. 통일정책의 전개과정 = 271 3. 탈냉전기의 통일정책 = 282 4. 김정일 정권의 통일정책 = 284 부록1. 북한 사회주의 헌법 = 289 부록2.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 311 부록3. 북 - 미 제네바 기본합의서 = 314 부록4. 남북공동선언(전문) = 318 부록5. 북한 및 통일관련 Website = 320
  • 국제정치와 전쟁전략 :
    국제정치와 전쟁전략 :
    안드레아스 힐그루버 지음 ;류제승 옮김
    한울,, 1996.
  • 전쟁과 집단학살 /
    전쟁과 집단학살 /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편]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2002
  • (역사에서 여행안내까지)앙코르 와트의 모든것 /
    (역사에서 여행안내까지)앙코르 와트의 모든것 /
    이우상 지음 ;성학 그림
    푸른역사,, 2006
  •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
    아이리스 장 지음 ;윤지환 옮김
    미다스북스,, 2006
  •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
    김기진 지음
    역사비평사,, 200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