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새로운 북한이해 /

편찬위원회 지음

책이미지
새로운 북한이해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강지한
김대규
김영하
문장순
배한동
엄재호
조정규
단체저자명편찬위원회
서명/저자사항새로운 북한이해 /편찬위원회 지음
발행사항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2003
형태사항397p :삽화 ;25cm
ISBN8971801387 93300
일반주기찾아보기: p. 393-397
편찬위원: 강지한, 김대규, 김영하, 문장순, 배한동, 엄재호, 조정규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내용주기제1장 북한이해의 방향 Ⅰ. 북한이해 무엇이 문제인가? = 2 Ⅱ. 바람직한 북한의 이해 방향 = 8 제2장 북한체제의 성립과 전개 Ⅰ. 해방전후의 공산주의 운동 = 17 Ⅱ. 북한정권의 수립과 체제확립 = 31 Ⅲ. 김일성체제의 성격과 김정일 세습체제의 등장 = 46 제3장 북한 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 Ⅰ. 형성배경 = 55 Ⅱ. 주체사상의 형성과정 = 59 Ⅲ. 이론적 구조 = 63 Ⅳ. 주체사상의 한계 및 비판 = 69 제4장 북한정치의 권력구조와 그 운용 Ⅰ. 북한 노동당의 조직체계 = 74 Ⅱ. 북한의 정권 기관 = 82 Ⅲ. 북한권력구조의 특징 = 99 제5장 김정일 체제의 권력구조와 전망 Ⅰ. 김정일 세습체제의 구축 = 104 Ⅱ. 김정일 체제의 통치 방식과 성격 = 110 Ⅲ. 김정일 체제의 변화 가능성 = 117 제6장 북한의 경제정책과 현황 Ⅰ. 북한 경제체제의 특성 = 122 Ⅱ. 북한의 경제발전 전략 = 126 Ⅲ. 북한경제의 부문별 현황 = 132 Ⅳ. 북한경제의 침체 요인 = 148 제7장 북한 경제의 변화와 전망 Ⅰ. 대외개방의 전개와 한계 = 152 Ⅱ. 최근의 북한 경제회복 전략 = 177 Ⅲ. 북한 경제의 향후 과제 = 190 제8장 북한 사회의 구조와 주민생활 Ⅰ. 집단주의적 사회관 = 193 Ⅱ. 사회계층과 계급 = 195 Ⅲ. 사회통제 구조 = 199 Ⅳ. 주민생활 = 207 Ⅴ. 북한 사회의 일탈현상과 주민의식 변화 = 220 제9장 북한의 교육과 문학·예술 Ⅰ. 교육정책과 교육제도 = 224 Ⅱ. 교육내용과 방법 = 232 Ⅲ. 북한의 문학과 예술 = 236 제10장 북한의 대외관계 Ⅰ. 외교정책의 이념과 목표 = 243 Ⅱ. 외교정책 기구 및 기능 = 246 Ⅲ. 냉전시대의 외교정책 = 252 Ⅳ. 탈냉전시대의 외교정책 = 261 제11장 남북한 관계의 변화와 전망 Ⅰ. 냉전시대의 남북한 관계 = 280 Ⅱ. 탈냉전시대의 남북한 관계 = 292 Ⅲ. 화해·협력시대의 남북한 관계 = 297 Ⅳ. 평화·번영정책과 남북한 관계의 전망 = 306 제12장 남북한 교류협력 Ⅰ. 남북한 교류협력의 의의와 전개과정 = 313 Ⅱ. 분단국의 교류협력 = 317 Ⅲ. 남북한 교류협력의 현황 = 332 Ⅳ. 남북한 교류협력의 방향 = 337 제13장 통일대비 어떻게 할 것인가 Ⅰ. 통일대비의 필요성 = 341 Ⅱ. 분단국 통일의 교훈 = 345 Ⅲ. 통일대비의 과제 = 355
일반주제명북한인권
가격정보\18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8842 320.95193 편811ㅅ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북한이해의 방향  Ⅰ. 북한이해 무엇이 문제인가? = 2  Ⅱ. 바람직한 북한의 이해 방향 = 8 제2장 북한체제의 성립과 전개  Ⅰ. 해방전후의 공산주의 운동 = 17  Ⅱ. 북한정권의 수립과 체제확립 = 31  Ⅲ. 김일성체제의 성격과 김정일 세습체제의 등장 = 46 제3장 북한 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  Ⅰ. 형성배경 = 55  Ⅱ. 주체...

목차 전체

제1장 북한이해의 방향  Ⅰ. 북한이해 무엇이 문제인가? = 2  Ⅱ. 바람직한 북한의 이해 방향 = 8 제2장 북한체제의 성립과 전개  Ⅰ. 해방전후의 공산주의 운동 = 17  Ⅱ. 북한정권의 수립과 체제확립 = 31  Ⅲ. 김일성체제의 성격과 김정일 세습체제의 등장 = 46 제3장 북한 통치 이데올로기로서의 주체사상  Ⅰ. 형성배경 = 55  Ⅱ. 주체사상의 형성과정 = 59  Ⅲ. 이론적 구조 = 63  Ⅳ. 주체사상의 한계 및 비판 = 69 제4장 북한정치의 권력구조와 그 운용  Ⅰ. 북한 노동당의 조직체계 = 74  Ⅱ. 북한의 정권 기관 = 82  Ⅲ. 북한권력구조의 특징 = 99 제5장 김정일 체제의 권력구조와 전망  Ⅰ. 김정일 세습체제의 구축 = 104  Ⅱ. 김정일 체제의 통치 방식과 성격 = 110  Ⅲ. 김정일 체제의 변화 가능성 = 117 제6장 북한의 경제정책과 현황  Ⅰ. 북한 경제체제의 특성 = 122  Ⅱ. 북한의 경제발전 전략 = 126  Ⅲ. 북한경제의 부문별 현황 = 132  Ⅳ. 북한경제의 침체 요인 = 148 제7장 북한 경제의 변화와 전망  Ⅰ. 대외개방의 전개와 한계 = 152  Ⅱ. 최근의 북한 경제회복 전략 = 177  Ⅲ. 북한 경제의 향후 과제 = 190 제8장 북한 사회의 구조와 주민생활  Ⅰ. 집단주의적 사회관 = 193  Ⅱ. 사회계층과 계급 = 195  Ⅲ. 사회통제 구조 = 199  Ⅳ. 주민생활 = 207  Ⅴ. 북한 사회의 일탈현상과 주민의식 변화 = 220 제9장 북한의 교육과 문학·예술  Ⅰ. 교육정책과 교육제도 = 224  Ⅱ. 교육내용과 방법 = 232  Ⅲ. 북한의 문학과 예술 = 236 제10장 북한의 대외관계  Ⅰ. 외교정책의 이념과 목표 = 243  Ⅱ. 외교정책 기구 및 기능 = 246  Ⅲ. 냉전시대의 외교정책 = 252  Ⅳ. 탈냉전시대의 외교정책 = 261 제11장 남북한 관계의 변화와 전망  Ⅰ. 냉전시대의 남북한 관계 = 280  Ⅱ. 탈냉전시대의 남북한 관계 = 292  Ⅲ. 화해·협력시대의 남북한 관계 = 297  Ⅳ. 평화·번영정책과 남북한 관계의 전망 = 306 제12장 남북한 교류협력  Ⅰ. 남북한 교류협력의 의의와 전개과정 = 313  Ⅱ. 분단국의 교류협력 = 317  Ⅲ. 남북한 교류협력의 현황 = 332  Ⅳ. 남북한 교류협력의 방향 = 337 제13장 통일대비 어떻게 할 것인가  Ⅰ. 통일대비의 필요성 = 341  Ⅱ. 분단국 통일의 교훈 = 345  Ⅲ. 통일대비의 과제 = 355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22세기 민주주의 :  알고리듬이 선거가 되고 고양이가 정치인을 대체한다
    22세기 민주주의 : 알고리듬이 선거가 되고 고양이가...
    성전유보
    틔움, 2024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