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북한-중국관계 :

이종석 지음

책이미지
북한-중국관계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종석, 1958-
서명/저자사항북한-중국관계 :1945~2000 /이종석 지음
발행사항서울 :중심,2004
형태사항382p ;23cm
ISBN8995040459 03900
일반주기찾아보기: p. 371-382
부록: 1. 김일성·김정일과 역대 중국지도부와의 회담 내역, 2. 양국 간 주요조약·의정서 일람표, 3. 양국 간 주요 조약·협정·의정서
서지주기참고문헌: p. 345-369서지적 각주 수록
내용주기책을 펴내며 = 5 제1장 북한­중국관계의 태반 : 항일시기 = 17 제1절 항일연군의 활동과 중공 = 18 제2절 조선의용군과 중공 = 24 제3절 해방과 중·소우호동맹조약, 그리고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27 1. 중·소우호동맹조약의 체결 = 28 2.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31 1) 항일유격대 본대의 대일전 참전 불발과 귀국 = 32 2) 조선의 용군의 동북진군과 국공내전 참전 = 39 제2장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국관계 = 73 제1절 만주 거주 조선족의 중공지원 = 45 1. 국공내전 시기 조선족의 중공지원과 그 배경 = 45 2. 국공내전 시기 중국 내 조선족의 국적문제 = 49 제2절 국공내전 시기 북한의 중공지원 = 52 1.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공 간 접촉 통로 = 53 2. 북한의 중공지원 내용 = 59 1) 중공 후방기지로 북부지역 제공 = 59 2) 전략적 교통로 제공 = 61 3) 전략물자 등 기타 지원 = 65 4) 북한의 병력지원 문제 : 쟁점과 실제 = 69 제3절 국공내전의 전개와 조선족 부대의 역할 = 78 1. 만주에서의 국공내전 전개과정 = 78 1) 소련군의 만주점령과 중·소조약의 영향 = 78 2) 국공내전의 발발과 국민당 군대의 우세 = 84 3) 공산군의 전세역전과 내전 승리 = 87 2. 조선족 부대의 형성과 확장 = 90 3. 조선족 부대의 성격변화 : 중공으로의 완전한 예속 = 101 제4절 조선족 부대의 북한 귀국(입북) = 106 1. 조선족 부대의 입북과정 = 106 2 조선족 부대의 북한군에서의 위상 = 113 3 국가건설에 참여하기 위한 내전 중 입북 = 116 제5절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국관계가 역사에 미친 영향 = 120 제3장 한국전쟁과 북한-중국관계 = 173 1절 중공군 참전의 길목 = 123 1. 남침의 결정과정 : 김일성·스탈린·모택동의 사전 합의 = 123 2. 인민군의 남진과 중국의 출병 준비 = 128 2절 중공군 참전 결정과정(1) : 출병을 둘러싼 진통 = 134 1. 정치국 상무회의 : 출병원칙 결정과 대소협상 = 134 2. 정치국 확대회의 : 출병논쟁과 모택동의 설득 = 140 3. 중국인민지원군의 조성 = 143 제3절 중공군 참전과정(2) : 소련의 공근 조기지원 불가와 출병강행 = 146 1 스탈린-주은래 회담 : 공군조기지원 불가의 확인 = 146 2. 정치국 긴급회의 : 출병강행 결정 = 150 3. 10월 19일 출병결정 = 156 4. 중공군 참전의 전략적 배정 = 159 제4절 중공군 참전과 전쟁양상의 전변 = 161 1. 중공군 출병과 1, 2차 전역 = 161 1) 도강과 1차 전역 = 161 2) 2차 전역의 승리와 미공군에 대한 공포 확산 = 164 2. 중·조연합사령부의 구성과 3, 4차 전역 = 169 1) 중 ·조연합사의 구성 : 통일적 지휘체계의 확립 = 169 2) 3,4차 전역 = 171 제5절 전선교착과 휴전협상 = 175 1. 전선교착과 중·소 내홍(內訌)의 발생 = 175 2. 휴전협상의 전재와 종결 = 180 1)휴전협상의 개시와 전개과정 = 180 2) 휴전회담의 타결 = 188 제6절 중공군 참전의 영향 = 191 제4장 전후 북한­중국관계의 전개와 중·소분쟁 = 201 제1절 전후 중국의 경제지원과 중공군 철수 = 201 제2절 8월 종파사건과 중·소의 개입 = 206 1. 전후 외세개입 공간의 확장과 박일우 숙청 = 206 2. 8월 종파사건과 중·소의 개입 = 209 제3절 중·소분쟁 북한-중국관계의 밀착 = 215 1. 중·소분쟁의 내연과 북한의 입장 = 215 2. 북·중 밀월시대의 개막과 북한-소련관계의 악화 = 222 3 북·중 국경조약의 체결 = 277 1) 관련 문헌들 = 227 2) 북·중 국경조약 및 북·중 국경의정서 체결과정 = 231 제5장 중국의 대내외적 정치변동과 북한-중국관계의 굴절 = 237 제1절 소련 신지도부의 등장과 북·중관계의 냉각 = 237 제2절 문화혁명의 발생과 북·중갈등의 격화 = 242 제3절 역사적 아이러니 : 주체사상의 '모택동사상 따라 배우기' = 245 제4절 문화혁명의 종결과 양국관계의 회복 = 249 1. 갈등의 봉합과 유대관계의 복원 = 249 2. 국제정세 변화와 북·중 공외교 = 253 3. 등소평 시대의 개막과 양국관계의 활성화 = 261 제6장 탈냉전기 북한­중국관계 : 전략적 협력관계로의 이행 = 265 제1절 탈냉전 시대의 개막과 양국관계의 악화 = 266 1. 탈냉전 초기 : 우호관계유지 = 266 2. 한·중수교와 양국관계의 냉각 = 271 제2절 양국관계의 회복과 전략적 협력관계로의 이행 = 276 1. 양국관계의 회복과 새로운 관계의 정립 = 276 2. 전략적 협력관계의 실체 = 282 제3절 탈냉전기 북·중관계 변화의 배경 = 288 1. 대외환경의 변화 = 288 2. 국가발전 전략상의 차이 발생 = 291 제4절 북·중관계의 미래와 동북아 평화 = 299 1. 북한의 중국 발전노선 따라가기 : 가능성과 전망 = 299 2. 동북아 평화와 북·중관계의 재정립 방향 = 303 부록 = 307 1. 김일성·길정일과 역대 중국지도부와의 회담 내역 = 309 2. 양국 간 주요 조약·협정·의정서 일람표 = 313 3. 양국 간 주요 조약·협정·의정서 = 314 참고 문헌 = 345 찾아보기 = 371
일반주제명북한인권
가격정보\15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8832 327.5193051 이75ㅂ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5 제1장 북한­중국관계의 태반 : 항일시기 = 17  제1절 항일연군의 활동과 중공 = 18  제2절 조선의용군과 중공 = 24  제3절 해방과 중·소우호동맹조약, 그리고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27  1. 중·소우호동맹조약의 체결 = 28  2.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31 1) 항일유격대 본대의 대일전 참...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5 제1장 북한­중국관계의 태반 : 항일시기 = 17  제1절 항일연군의 활동과 중공 = 18  제2절 조선의용군과 중공 = 24  제3절 해방과 중·소우호동맹조약, 그리고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27  1. 중·소우호동맹조약의 체결 = 28  2. 조선인 항일무장 세력의 진로 변경 = 31 1) 항일유격대 본대의 대일전 참전 불발과 귀국 = 32 2) 조선의 용군의 동북진군과 국공내전 참전 = 39 제2장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국관계 = 73  제1절 만주 거주 조선족의 중공지원 = 45 1. 국공내전 시기 조선족의 중공지원과 그 배경 = 45 2. 국공내전 시기 중국 내 조선족의 국적문제 = 49  제2절 국공내전 시기 북한의 중공지원 = 52 1.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공 간 접촉 통로 = 53 2. 북한의 중공지원 내용 = 59 1) 중공 후방기지로 북부지역 제공 = 59 2) 전략적 교통로 제공 = 61 3) 전략물자 등 기타 지원 = 65 4) 북한의 병력지원 문제 : 쟁점과 실제 = 69  제3절 국공내전의 전개와 조선족 부대의 역할 = 78 1. 만주에서의 국공내전 전개과정 = 78 1) 소련군의 만주점령과 중·소조약의 영향 = 78 2) 국공내전의 발발과 국민당 군대의 우세 = 84 3) 공산군의 전세역전과 내전 승리 = 87 2. 조선족 부대의 형성과 확장 = 90 3. 조선족 부대의 성격변화 : 중공으로의 완전한 예속 = 101  제4절 조선족 부대의 북한 귀국(입북) = 106 1. 조선족 부대의 입북과정 = 106 2 조선족 부대의 북한군에서의 위상 = 113 3 국가건설에 참여하기 위한 내전 중 입북 = 116  제5절 국공내전 시기 북한­중국관계가 역사에 미친 영향 = 120 제3장 한국전쟁과 북한-중국관계 = 173  1절 중공군 참전의 길목 = 123 1. 남침의 결정과정 : 김일성·스탈린·모택동의 사전 합의 = 123 2. 인민군의 남진과 중국의 출병 준비 = 128  2절 중공군 참전 결정과정(1) : 출병을 둘러싼 진통 = 134 1. 정치국 상무회의 : 출병원칙 결정과 대소협상 = 134 2. 정치국 확대회의 : 출병논쟁과 모택동의 설득 = 140 3. 중국인민지원군의 조성 = 143  제3절 중공군 참전과정(2) : 소련의 공근 조기지원 불가와 출병강행 = 146 1 스탈린-주은래 회담 : 공군조기지원 불가의 확인 = 146 2. 정치국 긴급회의 : 출병강행 결정 = 150 3. 10월 19일 출병결정 = 156 4. 중공군 참전의 전략적 배정 = 159  제4절 중공군 참전과 전쟁양상의 전변 = 161 1. 중공군 출병과 1, 2차 전역 = 161 1) 도강과 1차 전역 = 161 2) 2차 전역의 승리와 미공군에 대한 공포 확산 = 164 2. 중·조연합사령부의 구성과 3, 4차 전역 = 169 1) 중 ·조연합사의 구성 : 통일적 지휘체계의 확립 = 169 2) 3,4차 전역 = 171  제5절 전선교착과 휴전협상 = 175 1. 전선교착과 중·소 내홍(內訌)의 발생 = 175 2. 휴전협상의 전재와 종결 = 180 1)휴전협상의 개시와 전개과정 = 180 2) 휴전회담의 타결 = 188  제6절 중공군 참전의 영향 = 191 제4장 전후 북한­중국관계의 전개와 중·소분쟁 = 201  제1절 전후 중국의 경제지원과 중공군 철수 = 201  제2절 8월 종파사건과 중·소의 개입 = 206 1. 전후 외세개입 공간의 확장과 박일우 숙청 = 206 2. 8월 종파사건과 중·소의 개입 = 209  제3절 중·소분쟁 북한-중국관계의 밀착 = 215 1. 중·소분쟁의 내연과 북한의 입장 = 215 2. 북·중 밀월시대의 개막과 북한-소련관계의 악화 = 222 3 북·중 국경조약의 체결 = 277 1) 관련 문헌들 = 227 2) 북·중 국경조약 및 북·중 국경의정서 체결과정 = 231 제5장 중국의 대내외적 정치변동과 북한-중국관계의 굴절 = 237  제1절 소련 신지도부의 등장과 북·중관계의 냉각 = 237  제2절 문화혁명의 발생과 북·중갈등의 격화 = 242  제3절 역사적 아이러니 : 주체사상의 '모택동사상 따라 배우기' = 245  제4절 문화혁명의 종결과 양국관계의 회복 = 249 1. 갈등의 봉합과 유대관계의 복원 = 249 2. 국제정세 변화와 북·중 공외교 = 253 3. 등소평 시대의 개막과 양국관계의 활성화 = 261 제6장 탈냉전기 북한­중국관계 : 전략적 협력관계로의 이행 = 265  제1절 탈냉전 시대의 개막과 양국관계의 악화 = 266 1. 탈냉전 초기 : 우호관계유지 = 266 2. 한·중수교와 양국관계의 냉각 = 271  제2절 양국관계의 회복과 전략적 협력관계로의 이행 = 276 1. 양국관계의 회복과 새로운 관계의 정립 = 276 2. 전략적 협력관계의 실체 = 282  제3절 탈냉전기 북·중관계 변화의 배경 = 288 1. 대외환경의 변화 = 288 2. 국가발전 전략상의 차이 발생 = 291  제4절 북·중관계의 미래와 동북아 평화 = 299 1. 북한의 중국 발전노선 따라가기 : 가능성과 전망 = 299 2. 동북아 평화와 북·중관계의 재정립 방향 = 303 부록 = 307  1. 김일성·길정일과 역대 중국지도부와의 회담 내역 = 309  2. 양국 간 주요 조약·협정·의정서 일람표 = 313  3. 양국 간 주요 조약·협정·의정서 = 314 참고 문헌 = 345 찾아보기 = 371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주석 형법 :  총칙 . 1-2
    주석 형법 : 총칙 . 1-2
    박상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20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