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북한정치론 /

박준영 저

책이미지
북한정치론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박준영
서명/저자사항북한정치론 /박준영 저
발행사항서울 :博英社,2004
형태사항xi, 509p :삽화 ;26cm
ISBN8910401486 93340
일반주기색인: p. 497-509
부록: 1. 김일성·김정일 가계도, 2. 북조선 토지개혁에 대한 법령(1946. 3. 5), 3. 북조선의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1946. 7. 30). 외
서지주기참고문헌: p. 481-496서지적 각주 수록
내용주기제1장 김일성 제1절 서론 = 1 제2절 김일성의 출생과 성장 = 2 1. 출신배경 = 2 2. 어린시절 : '배움의 천리길'에서 '광복의 천리길'로 = 9 3. 청년시절 : 'ㅌ ㄷ(타도)제국주의 청년동맹' 및 '공산주의 청년동맹'의 결성 = 12 제3절 김일성의 빨치산투쟁 = 20 1. 항일빨치산무장투쟁 : 조선혁명군, 인민유격대, 조선인민혁명군의 창설 = 20 (1) 조선혁명군의 창설 = 21 (2) 인민유격대의 창설 = 22 (3) 조선인민혁명군의 창설 = 25 2. 보천보전투 = 27 3. 고난의 행군 = 30 4. 김일성의 결혼 = 37 제4절 김일성과 해방정국 = 45 1. 소련의 참전 = 45 2. 김일성의 귀국 = 46 3. 조선노동당의 창설 = 49 4. 단독정부의 수립 = 50 제5절 김일성의 주요정책 = 53 1. 천리마운동 = 54 2. 청산리방법(청산리정신) = 59 3. 대안의 사업체계 = 61 4. 3대혁명 = 65 제6절 김일성의 성품 = 70 제7절 김일성의 우상화 현상 = 73 제8절 김일성의 사망 = 78 제9절 결론 = 81 제2장 김정일 제1절 서론 = 83 제2절 김정일의 출생과 성장 = 85 1. 출생지 = 85 2. 어린시절 = 88 3. 청년시절 = 96 제3절 김정일의 성품 = 104 제4절 김정일의 권력승계 과정 = 110 1. 노동당 당원활동의 전개 = 111 2. 노동당내 개인영웅주의자들의 숙청 = 114 3. 군부내 좌경모험주의자들의 숙청 = 116 4. 권력승계의 완성 = 119 제5절 김정일의 정치사상적 이론 = 123 1. 사상론 = 123 2. 집단주의 = 127 3. 사회주의적 민주주의 = 129 제6절 김정일의 통치방법 = 131 1. 속도전 = 132 2. 광폭정치 = 133 3. 인덕정치 = 135 4. 선군정치 = 137 제7절 김정일의 주요정책 = 141 1. 당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 = 141 2. 종자론 = 148 3. 강성대국론 = 152 (1) 사상강국 = 155 (2) 군사강국 = 156 (3) 경제강국 = 159 제8절 김정일의 미래 = 160 제9절 결론 = 164 제3장 북한의 권력구조 제1절 서론 = 169 제2절 공산주의와 국가권력 = 171 1. 공산주의의 등장 = 171 2. 공사주의와 국가권력 = 182 제3절 북한의 권력구조 = 186 1. 국가주석 = 186 2. 국방위원장 = 187 3. 조선노동당 = 190 4. 최고인민회의 = 194 5. 내각 = 196 6. 사회단체 = 198 제4절 결론 = 202 제4장 한국전쟁 제1절 서론 = 205 제2절 한국전쟁의 배경 = 210 제3절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 212 1. 새벽의 개전 = 212 2. 미국의 참전 = 214 3. 미국의 인천상륙작전 = 217 4. 중국의 참전 = 219 제4절 한국전쟁의 발생원인 = 221 1. 남침설 = 222 2. 북침설 = 224 3. 남침유도설 = 225 4. 자연발생설 = 226 5. 제한전쟁설 = 227 제5절 휴전의 성립 = 228 1. 포로교환문제 = 229 2. 남북한 경계선 설정문제 = 232 3. 소련대표 참여문제 = 232 제6절 한국전쟁의 교훈 = 234 제7절 결론 = 237 제5장 주체사상 제1절 서론 = 239 제2절 주체사상의 등장 = 241 제3절 주체사상의 4대노선 = 244 1. 사상에서의 주체 = 245 2. 정치에서의 자주 = 246 3. 경제에서의 자립 = 247 4. 국방에서의 자위 = 247 제4절 주체사상의 이념적 발전과정 = 249 제5절 주체사상의 이념적 요소 = 255 1. 인간중심사상 = 256 2. 수령론 = 257 3. 사회정치적 생명론 = 260 제6절 주체사상의 평가 = 262 제7절 결론 = 266 제6장 북한의 군사력 제1절 서론 = 271 제2절 북한군대의 기능 = 273 1. 영토방위 = 273 2. 체제유지 = 275 3. 남한전복 = 275 4. 국가건설 = 276 제3절 북한의 4대 군사노선 = 278 1. 전민무장화 = 279 2. 전국요새화 = 280 3. 전군간부화 = 281 4. 전군현대화 = 282 제4절 북한의 전쟁전략 = 283 1. 총력전 = 284 2. 배합전 = 284 3. 기습전 = 285 4. 속도전 = 287 제5절 북한의 핵무기 개발 = 290 1. 북미핵합의 = 294 2. 금창리 터널 조사 = 299 3. 6자회담 = 300 제6절 북한의 미사일 개발 = 307 제7절 남북한 군사력 비교 = 310 제8절 결론 = 314 제7장 북한의 경제력 제1절 서론 = 319 제2절 북한경제의 원리 = 321 제3절 북한의 소유 형태 = 324 제4절 북한의 경제개혁 = 326 1. 농업개혁 = 326 2. 공업개혁 = 334 3. 경제적 전담분야 설정 = 338 제5절 김정일의 실리사회주의 논리 = 340 1. 실리사회주의 = 341 2. 강계정신(강계혁명정신) = 344 제6절 김정일의 실리사회주의 정책 = 347 1. 과학기술중시 = 347 2. 감자농사혁명 = 349 3. 신의주 특구 지정 = 351 4. 7.1경제관리 개선조치 = 355 제7절 북한 경제체제의 결함 = 361 제8절 결론 = 364 제8장 남북한 통일정책 제1절 서론 = 369 제2절 남북한 분단상황 = 371 1.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372 2. 한국전쟁의 발발 = 374 제3절 남북한 통일정책 = 375 1. 북한의 통일방안 = 375 (1) 1960년 연방제 통일방안의 등장 = 376 (2) 1980년 연방제 통일방안의 완성 = 378 (3) 1991년 연방제 통일방안의 조정 = 380 2. 김정일의 통일정책 : '민족대단결 사상'을 강조한 '연방제 통일방안' = 381 3. 남한의 통일정책 = 383 (1)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 = 383 (2) 장면 정부의 통일정책 = 384 (3) 박정희 정부의 통일정책 = 384 (4) 전두환 정부의 통일정책 = 385 (5) 노태우 정부의 통일정책 = 386 (6) 김영삼 정부의 통일정책 = 387 (7) 김대중 정부의 통일정책 = 391 (8)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 = 394 제4절 남북한 협상과정 = 397 1. 7.4 남북공동성명 = 397 2. 남북기본합의서 = 399 3. 6.15 남북공동선언 = 401 (1) 연방제와 연합제의 특성 = 402 (2) 낮은 단계의 연방제와 연합제의 공통점 = 404 (3) 남북한 경제협력 현황 = 404 (4) 이산가족 상봉 = 407 (5) 예술단 교환공연 = 408 제5절 남북통일의 조건과 극복방안 = 410 1. 남북통일의 조건 = 410 (1) 정치체제문제 = 410 (2) 미군철수문제 = 412 (3) 국가보안법 개폐문제 = 414 2. 남북통일 극복방안 = 417 제6절 결론 = 420 부록 1. 김일성·김정일 가계도 = 429 2. 북조선 토지개혁에 대한 법령(1946.3.5) = 431 3. 북조선의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1946.7.30) = 433 4. 7.4남북공동성명(1972.7.4) = 435 5.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1974.7.23) = 437 6. 고려민주연방공화국 통일방안(1980.10.10) = 447 7. 북·미합의서(1994.10.28) = 453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회주의헌법(1998.9.5) = 456 9. 6.15남북공동선언(2000.6.15) = 471 10. 신의주경제특구기본법 전문(2003.9.26) = 472 참고문헌 = 481 색인 = 497
일반주제명북한인권
가격정보\26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8829 320.95193 박77ㅂ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김일성   제1절 서론 = 1  제2절 김일성의 출생과 성장 = 2 1. 출신배경 = 2 2. 어린시절 : '배움의 천리길'에서 '광복의 천리길'로 = 9 3. 청년시절 : 'ㅌ ㄷ(타도)제국주의 청년동맹' 및 '공산주의 청년동맹'의 결성 = 12  제3절 김일성의 빨치산투쟁 = 20 1. 항일빨치산무장투쟁 : 조선혁명군, 인민유격대, 조선인민혁명군...

목차 전체

제1장 김일성   제1절 서론 = 1  제2절 김일성의 출생과 성장 = 2 1. 출신배경 = 2 2. 어린시절 : '배움의 천리길'에서 '광복의 천리길'로 = 9 3. 청년시절 : 'ㅌ ㄷ(타도)제국주의 청년동맹' 및 '공산주의 청년동맹'의 결성 = 12  제3절 김일성의 빨치산투쟁 = 20 1. 항일빨치산무장투쟁 : 조선혁명군, 인민유격대, 조선인민혁명군의 창설 = 20 (1) 조선혁명군의 창설 = 21 (2) 인민유격대의 창설 = 22 (3) 조선인민혁명군의 창설 = 25 2. 보천보전투 = 27 3. 고난의 행군 = 30 4. 김일성의 결혼 = 37  제4절 김일성과 해방정국 = 45 1. 소련의 참전 = 45 2. 김일성의 귀국 = 46 3. 조선노동당의 창설 = 49  4. 단독정부의 수립 = 50  제5절 김일성의 주요정책 = 53  1. 천리마운동 = 54 2. 청산리방법(청산리정신) = 59 3. 대안의 사업체계 = 61 4. 3대혁명 = 65  제6절 김일성의 성품 = 70  제7절 김일성의 우상화 현상 = 73  제8절 김일성의 사망 = 78  제9절 결론 = 81 제2장 김정일   제1절 서론 = 83  제2절 김정일의 출생과 성장 = 85 1. 출생지 = 85 2. 어린시절 = 88 3. 청년시절 = 96  제3절 김정일의 성품 = 104  제4절 김정일의 권력승계 과정 = 110 1. 노동당 당원활동의 전개 = 111 2. 노동당내 개인영웅주의자들의 숙청 = 114 3. 군부내 좌경모험주의자들의 숙청 = 116 4. 권력승계의 완성 = 119  제5절 김정일의 정치사상적 이론 = 123 1. 사상론 = 123 2. 집단주의 = 127 3. 사회주의적 민주주의 = 129  제6절 김정일의 통치방법 = 131 1. 속도전 = 132 2. 광폭정치 = 133 3. 인덕정치 = 135 4. 선군정치 = 137  제7절 김정일의 주요정책 = 141 1. 당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 = 141 2. 종자론 = 148 3. 강성대국론 = 152  (1) 사상강국 = 155 (2) 군사강국 = 156 (3) 경제강국 = 159   제8절 김정일의 미래 = 160  제9절 결론 = 164 제3장 북한의 권력구조   제1절 서론 = 169  제2절 공산주의와 국가권력 = 171 1. 공산주의의 등장 = 171 2. 공사주의와 국가권력 = 182  제3절 북한의 권력구조 = 186 1. 국가주석 = 186 2. 국방위원장 = 187 3. 조선노동당 = 190 4. 최고인민회의 = 194 5. 내각 = 196 6. 사회단체 = 198  제4절 결론 = 202 제4장 한국전쟁   제1절 서론 = 205  제2절 한국전쟁의 배경 = 210  제3절 한국전쟁의 전개과정 = 212  1. 새벽의 개전 = 212 2. 미국의 참전 = 214 3. 미국의 인천상륙작전 = 217 4. 중국의 참전 = 219  제4절 한국전쟁의 발생원인 = 221 1. 남침설 = 222 2. 북침설 = 224 3. 남침유도설 = 225 4. 자연발생설 = 226 5. 제한전쟁설 = 227  제5절 휴전의 성립 = 228 1. 포로교환문제 = 229 2. 남북한 경계선 설정문제 = 232 3. 소련대표 참여문제 = 232  제6절 한국전쟁의 교훈 = 234  제7절 결론 = 237 제5장 주체사상   제1절 서론 = 239  제2절 주체사상의 등장 = 241  제3절 주체사상의 4대노선 = 244 1. 사상에서의 주체 = 245 2. 정치에서의 자주 = 246 3. 경제에서의 자립 = 247 4. 국방에서의 자위 = 247  제4절 주체사상의 이념적 발전과정 = 249   제5절 주체사상의 이념적 요소 = 255 1. 인간중심사상 = 256 2. 수령론 = 257 3. 사회정치적 생명론 = 260  제6절 주체사상의 평가 = 262  제7절 결론 = 266 제6장 북한의 군사력   제1절 서론 = 271  제2절 북한군대의 기능 = 273 1. 영토방위 = 273 2. 체제유지 = 275 3. 남한전복 = 275 4. 국가건설 = 276  제3절 북한의 4대 군사노선 = 278 1. 전민무장화 = 279 2. 전국요새화 = 280 3. 전군간부화 = 281 4. 전군현대화 = 282  제4절 북한의 전쟁전략 = 283 1. 총력전 = 284 2. 배합전 = 284 3. 기습전 = 285 4. 속도전 = 287  제5절 북한의 핵무기 개발 = 290 1. 북미핵합의 = 294 2. 금창리 터널 조사 = 299 3. 6자회담 = 300  제6절 북한의 미사일 개발 = 307  제7절 남북한 군사력 비교 = 310  제8절 결론 = 314 제7장 북한의 경제력   제1절 서론 = 319  제2절 북한경제의 원리 = 321  제3절 북한의 소유 형태 = 324  제4절 북한의 경제개혁 = 326 1. 농업개혁 = 326 2. 공업개혁 = 334 3. 경제적 전담분야 설정 = 338  제5절 김정일의 실리사회주의 논리 = 340 1. 실리사회주의 = 341 2. 강계정신(강계혁명정신) = 344  제6절 김정일의 실리사회주의 정책 = 347 1. 과학기술중시 = 347 2. 감자농사혁명 = 349 3. 신의주 특구 지정 = 351 4. 7.1경제관리 개선조치 = 355  제7절 북한 경제체제의 결함 = 361  제8절 결론 = 364 제8장 남북한 통일정책   제1절 서론 = 369  제2절 남북한 분단상황 = 371 1.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372  2. 한국전쟁의 발발 = 374  제3절 남북한 통일정책 = 375 1. 북한의 통일방안 = 375 (1) 1960년 연방제 통일방안의 등장 = 376 (2) 1980년 연방제 통일방안의 완성 = 378 (3) 1991년 연방제 통일방안의 조정 = 380 2. 김정일의 통일정책 : '민족대단결 사상'을 강조한 '연방제 통일방안' = 381 3. 남한의 통일정책 = 383 (1) 이승만 정부의 통일정책 = 383 (2) 장면 정부의 통일정책 = 384 (3) 박정희 정부의 통일정책 = 384 (4) 전두환 정부의 통일정책 = 385 (5) 노태우 정부의 통일정책 = 386 (6) 김영삼 정부의 통일정책 = 387 (7) 김대중 정부의 통일정책 = 391 (8) 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 = 394  제4절 남북한 협상과정 = 397 1. 7.4 남북공동성명 = 397 2. 남북기본합의서 = 399 3. 6.15 남북공동선언 = 401 (1) 연방제와 연합제의 특성 = 402 (2) 낮은 단계의 연방제와 연합제의 공통점 = 404 (3) 남북한 경제협력 현황 = 404 (4) 이산가족 상봉 = 407 (5) 예술단 교환공연 = 408  제5절 남북통일의 조건과 극복방안 = 410 1. 남북통일의 조건 = 410 (1) 정치체제문제 = 410  (2) 미군철수문제 = 412 (3) 국가보안법 개폐문제 = 414 2. 남북통일 극복방안 = 417  제6절 결론 = 420 부록   1. 김일성·김정일 가계도 = 429  2. 북조선 토지개혁에 대한 법령(1946.3.5) = 431  3. 북조선의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1946.7.30) = 433  4. 7.4남북공동성명(1972.7.4) = 435  5.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원칙(1974.7.23) = 437  6. 고려민주연방공화국 통일방안(1980.10.10) = 447  7. 북·미합의서(1994.10.28) = 453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사회주의헌법(1998.9.5) = 456  9. 6.15남북공동선언(2000.6.15) = 471  10. 신의주경제특구기본법 전문(2003.9.26) = 472 참고문헌 = 481  색인 = 497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 지리의 힘 . 1-2
    지리의 힘 . 1-2
    팀 마샬 지음
    사이, 20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