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

역사문제연구소 편

책이미지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역사문제연구소
서명/저자사항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문제연구소 편
발행사항서울 :역사비평사,1998
형태사항493p :삽화 ;23cm
ISBN8976965086 93910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내용주기책을 내면서 = 5 남한 : 이념·사회·지배양식 서중석 : 이승만 정권 초기 일민주의와 파시즘 1. 들어가는 말 : 한국 파시즘 연구의 어려움 = 17 2. 일민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 26 3. 유일 영도자론 = 31 4. 도의 윤리론과 가족유기체론 = 40 5. 일민주의와 노동계급 = 54 6. 일민주의와 민족주의 = 60 7. 맺음말 : 일민주의 - 극우반공주의의 프롤로그 = 68 박명림 : 1950년대 한국의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 민주주의 '제도'와 권위주의 '실천'의 역사적 조건 1. 문제의 제기 = 72 2. 한국전쟁과 한국 민주주의 = 75 3. 초국적 권력구조와 한국 민주주의 : 냉전, '미국의 범위'와 1950년대 한국 = 84 4. 국가, 정치사회, 그리고 시민사회 : 대의민주주의와 국민투표민주주의의 길항 = 95 5. 계급구조와 민주주의 : 산업화에 앞선 근대화, 노동 없는 자유주의의 정치적 효과 = 112 6. 맺음말 : 민주주의 '제도'와 권위주의 '실천'의 사이에서 = 123 임대식 : 1950년대 미국의 교육원조와 친미 엘리트의 형성 1. 들어가는 말 = 128 2. 1950년대 교육·학술현황 = 133 3. 미국의 교육원조와 수혜자들 = 141 4. 미국유학과 미국유학파의 부상 = 152 5. 친미 엘리트의 형성과정과 성격 = 167 6. 한 친미적 지식인의 역정 : 장준하와 [사상계]를 중심으로 = 179 김동춘 : 1950년대 한국 농촌에서의 가족과 국가 - 한국에서의 '근대'의 초상 1. 들어가는 말 = 186 2. 역사적 유산 : 조선시대 이후의 가족과 공동체 = 190 3. 1950년대 농촌에서의 가족관계와 지역 = 196 1)신분, 친족, 지역 = 196 2) 가족의 구성과 성격의 변화 = 201 4. 농촌의 사회조직과 농민참여 = 205 1) 농촌사회의 네트워크 : 계, 제사등을 중심으로 = 205 2) 국가와 농민 = 210 3) 학교 및 교회와 농민 = 21 5. 현대 한국에서 신가족주의의 등장 = 220 6. 맺음말 = 225 최봉대 : 농지개혁 이후 농촌 사회의 정치적 지배집단의 형성 - 1950년대 경기도 용인군 관내 면의원 및 면장 충원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1. 예비적 논의 = 228 2. 지주층과 면의원·면장 충원실태 = 234 1) 자료 검토 문제 = 234 2) 지주층과 1930년대 후반 면협의원 충원실태 = 237 3) 지주층과 제1·2대 면의원·면장 충원실태 = 240 3. 면의원·면장의 충원과 농업 외적 직업·경력 = 245 4. 면의원·면장의 충원과 동족부락 문제 = 252 5. 맺음말 = 259 오유석 : 서울의 과잉도시화과정 : 성격과 특징 1. 들어가는 말 = 268 2. 서울의 인구집중과 외연적 확대 = 270 1) 인구집중과 이촌민의 외연적 확대 = 270 2) 도시교통의 발달과 주거지 분화 = 276 3) 산업인구 구성과 3차산업의 과잉 발전 = 283 3. 도시적 삶의 근대적 외형과 특징 = 287 1) 소득과 소비양태 = 287 2) 가족 및 근린관계 = 289 3) 도시기반 시설 = 290 4) 교육실태 = 296 5) 매스컴과 문화시설의 보급 = 299 4. 맺음말 = 302 북한 : 정치갈등·사회·문화 서동만 : 1950년대 북한의 정치 갈등과 이데올로기 상황 1. 1950년대의 역사적 의미 = 307 2. 1950년대 북한의 정치 갈등 = 309 1) 남로당파 숙청과 한국전쟁의 후유증 = 309 2) 전후 복구건설과 사회주의 개조를 둘러싼 세력구도의 재편 = 312 3) 개인숭배 비판과 8월 종파사건 = 315 4) 국가사회주의의 확립과 빨치산파의 주류화 = 319 3. 각 시기의 이데올로기 상황 = 321 1) 정치 = 321 2) 남북한관계와 통일 = 337 3) 역사 = 344 4. 북한체제의 전망과 관련된 함의 = 347 김성보 : 1950년대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논의와 귀결 - 경제학계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351 2. 1950년대의 경제계와 경제학계 = 354 3. 1953년 8월 전원회의와 사회주의 이행의 점진적 전망 = 359 1) 반제 반봉건단계 유지론과 사회주의체제 건설론 = 359 2) 점진적 사회주의 이행의 전망과 '신경제정책'론 = 365 4. 사회주의 이행정책의 급진화와 갈등 = 369 1) 급진적 사회주의 이행정책의 대두 = 369 2) 비주류의 '비자본주의적 발전의 길'론 = 374 5. 맺음말 = 382 김연철 : 1950년대 북한의 노동정책과 노동자 1. 들어가는 말 = 387 2. 한국전쟁 이후 공장 현실과 국가의 대응 = 388 1) 전후의 공장 현실 : 노동력 부족과 노동유동성 = 389 (1) 노동력부족의 원인 = 389 (2) 노동유동성과 공장체제의 혼란 = 391 2) 국가의 대응 : 강제적 노동법과 계급교양의 강화 = 392 3. 산업화와 노동자계급의 분화 = 397 1) 특권 노동자층의 형성 = 397 (1) 혁신 노동자 : 지배동맹의 파트너 = 397 (2) 충성에 대한 보상 : 특권 노동자층의 상층 사회이동 = 399 2) 일반 노동자의 행위선택 = 401 4. 노동자 조직의 국가화 = 404 1) 직맹의 성격변화 = 404 2) 단체계약제도의 성격변화와 폐지 = 406 5. 맺음말 = 409 김재용 : 전후 북한문학계의 도식주의 비판과 좌절 1. 전후문학의 전사로서의 8·15이후의 북한문학 = 410 2. 논의의 내외적 조건과 문학의 자율성 = 412 3. 도식주의 비판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 416 1) 비평적 논의 : 생활의 진실한 반영과 리얼리즘론의 복원 = 416 2) 창작적 실천 : 다양한 문학적 경향의 개화 = 419 4. 도식주의 비판의 좌절과 현재적 의미 = 436 백준기 : 1950년대 북한의 권력갈등의 배경과 소련 1. 들어가는 말 : 북한연구에 있어 1950년대의 의미 = 438 2. 권력갈등의 원인에 대한 쟁점들 = 440 1) '패권투쟁'론 = 442 2) '공산주의의 조선화'론 = 445 3) '경제건설노선대립'론 = 449 4) '경제계획'수립의 '주체'문제 = 454 3. 사회경제적 위기와 소련의 개입 = 457 1) 사회경제적 불안정의 심화 = 457 2) 소련의 개입과 제1차 권력갈등 = 464 (1) 소련의 개입 = 464 (2) 제1차 권력갈등 = 470 3) 제2차 권력 갈등과 소련의 개입 = 478 (1) 소련공산당 제20차 당대회의 영향 = 478 (2) 8월 전원회의 사건과 소련의 개입 = 482 4. 맺음말 = 487 지은이 약력 = 491
일반주제명북한인권
가격정보\15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018703 951.904 역51ㅇ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 5 남한 : 이념·사회·지배양식 서중석 : 이승만 정권 초기 일민주의와 파시즘 1. 들어가는 말 : 한국 파시즘 연구의 어려움 = 17 2. 일민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 26 3. 유일 영도자론 = 31 4. 도의 윤리론과 가족유기체론 = 40 5. 일민주의와 노동계급 = 54 6. 일민주의와 민족주의 = 60 7. 맺음말 : 일민주의 -...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 5 남한 : 이념·사회·지배양식 서중석 : 이승만 정권 초기 일민주의와 파시즘 1. 들어가는 말 : 한국 파시즘 연구의 어려움 = 17 2. 일민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 26 3. 유일 영도자론 = 31 4. 도의 윤리론과 가족유기체론 = 40 5. 일민주의와 노동계급 = 54 6. 일민주의와 민족주의 = 60 7. 맺음말 : 일민주의 - 극우반공주의의 프롤로그 = 68 박명림 : 1950년대 한국의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 민주주의 '제도'와 권위주의 '실천'의 역사적 조건 1. 문제의 제기 = 72 2. 한국전쟁과 한국 민주주의 = 75 3. 초국적 권력구조와 한국 민주주의 : 냉전, '미국의 범위'와 1950년대 한국 = 84 4. 국가, 정치사회, 그리고 시민사회 : 대의민주주의와 국민투표민주주의의 길항 = 95 5. 계급구조와 민주주의 : 산업화에 앞선 근대화, 노동 없는 자유주의의 정치적 효과 = 112 6. 맺음말 : 민주주의 '제도'와 권위주의 '실천'의 사이에서 = 123 임대식 : 1950년대 미국의 교육원조와 친미 엘리트의 형성 1. 들어가는 말 = 128 2. 1950년대 교육·학술현황 = 133 3. 미국의 교육원조와 수혜자들 = 141 4. 미국유학과 미국유학파의 부상 = 152 5. 친미 엘리트의 형성과정과 성격 = 167 6. 한 친미적 지식인의 역정 : 장준하와 [사상계]를 중심으로 = 179 김동춘 : 1950년대 한국 농촌에서의 가족과 국가 - 한국에서의 '근대'의 초상 1. 들어가는 말 = 186 2. 역사적 유산 : 조선시대 이후의 가족과 공동체 = 190 3. 1950년대 농촌에서의 가족관계와 지역 = 196 1)신분, 친족, 지역 = 196 2) 가족의 구성과 성격의 변화 = 201 4. 농촌의 사회조직과 농민참여 = 205 1) 농촌사회의 네트워크 : 계, 제사등을 중심으로 = 205 2) 국가와 농민 = 210 3) 학교 및 교회와 농민 = 21 5. 현대 한국에서 신가족주의의 등장 = 220 6. 맺음말 = 225 최봉대 : 농지개혁 이후 농촌 사회의 정치적 지배집단의 형성 - 1950년대 경기도 용인군 관내 면의원 및 면장 충원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1. 예비적 논의 = 228 2. 지주층과 면의원·면장 충원실태 = 234 1) 자료 검토 문제 = 234 2) 지주층과 1930년대 후반 면협의원 충원실태 = 237 3) 지주층과 제1·2대 면의원·면장 충원실태 = 240 3. 면의원·면장의 충원과 농업 외적 직업·경력 = 245 4. 면의원·면장의 충원과 동족부락 문제 = 252 5. 맺음말 = 259 오유석 : 서울의 과잉도시화과정 : 성격과 특징 1. 들어가는 말 = 268 2. 서울의 인구집중과 외연적 확대 = 270 1) 인구집중과 이촌민의 외연적 확대 = 270 2) 도시교통의 발달과 주거지 분화 = 276 3) 산업인구 구성과 3차산업의 과잉 발전 = 283 3. 도시적 삶의 근대적 외형과 특징 = 287 1) 소득과 소비양태 = 287 2) 가족 및 근린관계 = 289 3) 도시기반 시설 = 290 4) 교육실태 = 296 5) 매스컴과 문화시설의 보급 = 299 4. 맺음말 = 302 북한 : 정치갈등·사회·문화 서동만 : 1950년대 북한의 정치 갈등과 이데올로기 상황 1. 1950년대의 역사적 의미 = 307 2. 1950년대 북한의 정치 갈등 = 309 1) 남로당파 숙청과 한국전쟁의 후유증 = 309 2) 전후 복구건설과 사회주의 개조를 둘러싼 세력구도의 재편 = 312 3) 개인숭배 비판과 8월 종파사건 = 315 4) 국가사회주의의 확립과 빨치산파의 주류화 = 319 3. 각 시기의 이데올로기 상황 = 321 1) 정치 = 321 2) 남북한관계와 통일 = 337 3) 역사 = 344 4. 북한체제의 전망과 관련된 함의 = 347 김성보 : 1950년대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논의와 귀결 - 경제학계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351 2. 1950년대의 경제계와 경제학계 = 354 3. 1953년 8월 전원회의와 사회주의 이행의 점진적 전망 = 359 1) 반제 반봉건단계 유지론과 사회주의체제 건설론 = 359 2) 점진적 사회주의 이행의 전망과 '신경제정책'론 = 365 4. 사회주의 이행정책의 급진화와 갈등 = 369 1) 급진적 사회주의 이행정책의 대두 = 369 2) 비주류의 '비자본주의적 발전의 길'론 = 374 5. 맺음말 = 382 김연철 : 1950년대 북한의 노동정책과 노동자 1. 들어가는 말 = 387 2. 한국전쟁 이후 공장 현실과 국가의 대응 = 388 1) 전후의 공장 현실 : 노동력 부족과 노동유동성 = 389 (1) 노동력부족의 원인 = 389 (2) 노동유동성과 공장체제의 혼란 = 391 2) 국가의 대응 : 강제적 노동법과 계급교양의 강화 = 392 3. 산업화와 노동자계급의 분화 = 397 1) 특권 노동자층의 형성 = 397 (1) 혁신 노동자 : 지배동맹의 파트너 = 397 (2) 충성에 대한 보상 : 특권 노동자층의 상층 사회이동 = 399 2) 일반 노동자의 행위선택 = 401 4. 노동자 조직의 국가화 = 404 1) 직맹의 성격변화 = 404 2) 단체계약제도의 성격변화와 폐지 = 406 5. 맺음말 = 409 김재용 : 전후 북한문학계의 도식주의 비판과 좌절 1. 전후문학의 전사로서의 8·15이후의 북한문학 = 410 2. 논의의 내외적 조건과 문학의 자율성 = 412 3. 도식주의 비판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 416 1) 비평적 논의 : 생활의 진실한 반영과 리얼리즘론의 복원 = 416 2) 창작적 실천 : 다양한 문학적 경향의 개화 = 419 4. 도식주의 비판의 좌절과 현재적 의미 = 436 백준기 : 1950년대 북한의 권력갈등의 배경과 소련 1. 들어가는 말 : 북한연구에 있어 1950년대의 의미 = 438 2. 권력갈등의 원인에 대한 쟁점들 = 440 1) '패권투쟁'론 = 442 2) '공산주의의 조선화'론 = 445 3) '경제건설노선대립'론 = 449 4) '경제계획'수립의 '주체'문제 = 454 3. 사회경제적 위기와 소련의 개입 = 457 1) 사회경제적 불안정의 심화 = 457 2) 소련의 개입과 제1차 권력갈등 = 464 (1) 소련의 개입 = 464 (2) 제1차 권력갈등 = 470 3) 제2차 권력 갈등과 소련의 개입 = 478 (1) 소련공산당 제20차 당대회의 영향 = 478 (2) 8월 전원회의 사건과 소련의 개입 = 482 4. 맺음말 = 487 지은이 약력 = 491
  • 국제정치와 전쟁전략 :
    국제정치와 전쟁전략 :
    안드레아스 힐그루버 지음 ;류제승 옮김
    한울,, 1996.
  • 전쟁과 집단학살 /
    전쟁과 집단학살 /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편]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 2002
  • (역사에서 여행안내까지)앙코르 와트의 모든것 /
    (역사에서 여행안내까지)앙코르 와트의 모든것 /
    이우상 지음 ;성학 그림
    푸른역사,, 2006
  •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
    아이리스 장 지음 ;윤지환 옮김
    미다스북스,, 2006
  •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
    끝나지 않은 전쟁, 국민보도연맹 :
    김기진 지음
    역사비평사,, 200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