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유럽,미국의 인권교육 실천과 한국 인권교육의 방향 : Human Rights Education Practices in Europe and the U.S and Direction for Korea

국가인권위원회 주최

책이미지
유럽,미국의 인권교육 실천과 한국 인권교육의 방향 : Human Rights Education Practices in Europe and the U.S and Direction for Korea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인권위 간행물
단체저자명국가인권위원회
서명/저자사항유럽,미국의 인권교육 실천과 한국 인권교육의 방향 :Human Rights Education Practices in Europe and the U.S and Direction for Korea /국가인권위원회 주최
발행사항서울 :국가인권위원회,2006.
형태사항186 p. ;30 cm.
일반주기인권교육 국제 워크숍 자료집 (학교교육팀)
일시 2006 10. 24. 10:30 - 17:30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
가격정보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7080 인권위 06-49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17081 인권위 06-49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원문정보

  • 유럽,미국의 인권교육 실천과 한국 인권교육의 방향 : Human Rights Education Practices in Europe and the U.S and Direction for Korea  원문

목차 일부

제1주제. 유럽에서의 인권교육실천과 한국 인권교육 방향 = 1
발제 유럽의 인권교육 / Hugh Starkey = 11
토론1 유럽의 인권교육에 비추어 본 교훈 / 구정화 = 33
토론2 유럽 인권교육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배경내 = 40

제2주제. 미국에서의 인권교육실천과 한국 인권교육 방향 = 53
발제 미국의 인권교육 “집 가까이...

목차 전체

제1주제. 유럽에서의 인권교육실천과 한국 인권교육 방향 = 1
발제 유럽의 인권교육 / Hugh Starkey = 11
토론1 유럽의 인권교육에 비추어 본 교훈 / 구정화 = 33
토론2 유럽 인권교육으로부터 무엇을 배울 것인가 / 배경내 = 40

제2주제. 미국에서의 인권교육실천과 한국 인권교육 방향 = 53
발제 미국의 인권교육 “집 가까이, 작은 곳에서” / Kristi Rudelius-Palmer = 68
토론1 미국 인권교육의 시사점과 한국 인권교육의 방향 / 김중섭 = 87
토론2 미국 인권교육 실천의 한국 적용과 향후 과제 / 박현희 = 92

제3주제. 한국 인권교육 제도화와 인권교육기관 설립 방향 = 101
발제 한국 인권교육의 현황과 인권교육기관 설립의 필요성 / 송현정 = 102
토론1 인권교육의 제도화 방안과 인권교육원 / 이명준 = 134
토론2 인권교육원의 설립과 운영방안 / 오완호 = 137

부록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안(인권교육 부분 발췌) = 143
  • 장애분야 인권감수성 향상과정
    장애분야 인권감수성 향상과정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편]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2013
  •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이행 제고를 위한 토론회 : 발달장애인의 정보접근권과 안전권을 중심으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이행 제고를...
    국가인권위원회 대전인권사무소 [편]
    국가인권위원회 대전인권사무소, 2016
  • 발달장애인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 토론회
    발달장애인 자립지원에 관한 정책 토론회
    국가인권위원회 . 부산인권사무소
    국가인권위원회 부산인권사무소, 2020
  • 발달장애학생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과 효과적 지원방안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발달장애학생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과 효과적 지원방안에 ...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2020
  •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20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