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페미니즘 언어학과 성차별 메커니즘 :

말리스 헬링어 지음 ;김종수 옮김

책이미지
페미니즘 언어학과 성차별 메커니즘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헬링어, 말리스
김종수
Hellinger, Marlis.
서명/저자사항페미니즘 언어학과 성차별 메커니즘 :영어와 독일어를 중심으로 /말리스 헬링어 지음 ;김종수 옮김
발행사항부산 :부산대학교출판부,2006
형태사항xvi, 357 p ;22cm
총서사항인문학번역총서 ;4
원서명Kontrastive feministische Linguistik : Mechanismen sprachlicher Diskriminierung im Englischen und Deutschen
ISBN8973162667 03700
8973162330(세트)
서지주기참고문헌(p. 313-340)과 색인수록
내용주기제1부 언어와 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1 언어와 성의 관계 기술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 =3 1.1 전통적인 언어학 틀에서의 연구 =5 1.2 성별에 따른 언어 변화의 종류 =14 1.3 사회언어학적 연구 상황 =18 2 페미니즘 언어학 =25 2.1 비체계적인 관찰 단계 =25 2.2 경험적인 논증 단계 =30 2.3 설명 모델 =50 2.4 페미니즘 언어이론의 요소 =64 제2부 대조 페미니즘 언어학의 특징 1 대조언어학 =69 1.1 대조언어학의 대상영역 =70 1.2 대조언어학의 기본개념 =73 1.3 대조언어학과 페미니즘 언어학의 관계 =82 2 독일어와 영어의 성 범주 =85 2.1 문법적 성, 자연적 성, 사회적 성 =85 2.2 독일어 =90 2.3 영어 =93 3 독일어와 영어의 인지칭 명칭 체계 구조 =99 3.1 독일어와 영어의 성별 명시화 수단 =101 3.2 점미사 -in에 의한 독일어 여성형의 형태적, 의미적 역사적 양상 =114 3.3 독일어와 영어의 성별 도외시 수단 =120 4 독일어와 영어에서 여성과 남성 인지칭 명칭의 비대칭적 사용 =129 4.1 비대칭적인 언어사용 방식 =130 4.2 인지칭 명칭의 총칭적,명시적,성별 중립적인 사용 방식 =137 4.3 표지 개념 =146 4.4 원형적인 의미 =157 4.5 의미적의 대립양상법 =161 제3부 언어변화와 페미니즘 언어정책 1 언어적 가변성과 여성운동의 영향에 의한 언어적 변화 =171 1.1 독일어와 영어 인지칭 명칭 사용의 가변성 =171 1.2 영어와 독이어 구인광고(1967,1983,1986) =176 1.3 몇몇 다른 유럽 언어들에서의 언어변화에 대한 경향 =183 2 페미니즘 언어정책 =195 2.1 성차별적 언어사용을 피하기 위한 권고안 =195 2.2 영어와 독일어 권고안의 비교 =200 2.3 관청의 언어규정과 법률 사례 =206 2.4 성별에 공평한 언어사용에 반대되는 전략 =212 부록 부록1. 맥그로-힐 출판사에서 마련한 성별에 공평한 대우를 위한 가이드라인(1972) =225 부록2. 공적 언어에서 성차별적인 언어사용을 피하기 위한 권고안(1985) =245 부록3. 독일어에서 여성의 가시화(2003) =273 참고문헌 =313 찾아보기 =341
비통제주제어성차별,페미니즘,언어학
가격정보\13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768 306.44082 H477ㅍ김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16959 306.44082 H477ㅍ김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부 언어와 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1 언어와 성의 관계 기술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 =3 1.1 전통적인 언어학 틀에서의 연구 =5 1.2 성별에 따른 언어 변화의 종류 =14 1.3 사회언어학적 연구 상황 =18 2 페미니즘 언어학 =25 2.1 비체계적인 관찰 단계 =25 2.2 경험적인 논증 단계 =30 2.3 설명 모델 =50 2.4 페미니즘 언...

목차 전체

제1부 언어와 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1 언어와 성의 관계 기술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 =3 1.1 전통적인 언어학 틀에서의 연구 =5 1.2 성별에 따른 언어 변화의 종류 =14 1.3 사회언어학적 연구 상황 =18 2 페미니즘 언어학 =25 2.1 비체계적인 관찰 단계 =25 2.2 경험적인 논증 단계 =30 2.3 설명 모델 =50 2.4 페미니즘 언어이론의 요소 =64 제2부 대조 페미니즘 언어학의 특징  1 대조언어학 =69 1.1 대조언어학의 대상영역 =70 1.2 대조언어학의 기본개념 =73 1.3 대조언어학과 페미니즘 언어학의 관계 =82 2 독일어와 영어의 성 범주 =85 2.1 문법적 성, 자연적 성, 사회적 성 =85 2.2 독일어 =90 2.3 영어 =93 3 독일어와 영어의 인지칭 명칭 체계 구조 =99 3.1 독일어와 영어의 성별 명시화 수단 =101 3.2 점미사 -in에 의한 독일어 여성형의 형태적, 의미적 역사적 양상 =114 3.3 독일어와 영어의 성별 도외시 수단 =120 4 독일어와 영어에서 여성과 남성 인지칭 명칭의 비대칭적 사용 =129 4.1 비대칭적인 언어사용 방식 =130 4.2 인지칭 명칭의 총칭적,명시적,성별 중립적인 사용 방식 =137 4.3 표지 개념 =146 4.4 원형적인 의미 =157 4.5 의미적의 대립양상법 =161 제3부 언어변화와 페미니즘 언어정책  1 언어적 가변성과 여성운동의 영향에 의한 언어적 변화 =171 1.1 독일어와 영어 인지칭 명칭 사용의 가변성 =171 1.2 영어와 독이어 구인광고(1967,1983,1986) =176 1.3 몇몇 다른 유럽 언어들에서의 언어변화에 대한 경향 =183 2 페미니즘 언어정책 =195 2.1 성차별적 언어사용을 피하기 위한 권고안 =195 2.2 영어와 독일어 권고안의 비교 =200 2.3 관청의 언어규정과 법률 사례 =206 2.4 성별에 공평한 언어사용에 반대되는 전략 =212 부록  부록1. 맥그로-힐 출판사에서 마련한 성별에 공평한 대우를 위한 가이드라인(1972) =225 부록2. 공적 언어에서 성차별적인 언어사용을 피하기 위한 권고안(1985) =245 부록3. 독일어에서 여성의 가시화(2003) =273 참고문헌 =313 찾아보기 =341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