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장애인복지개론 =

정무성 ;양희택

책이미지
장애인복지개론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정무성
양희택
노승현
서명/저자사항장애인복지개론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정무성 ;양희택 ;노승현 [공저]
발행사항파주 :학현사,2006
형태사항435 p :양식 ;27cm
ISBN8958531541 93330
서지주기참고문헌: p. 419-430, 색인수록
내용주기제1부 장애의 개념과 유형 제1장 장애개념 및 범주 1. 장애의 개념 = 3 2. 장애개념의 변천 = 5 1) ICIDH = 5 2) ICIDH-2 = 7 3) ICIDH를 통한 장애개념 변화 = 9 4) ICF = 13 3. 장애범주 = 17 1) 우리나라의 장애범주 = 17 2) 외국의 장애범주 = 18 4. 우리나라 장애인구의 변화추이 = 20 1) 장애 추정인구 및 출현율 변화추이 = 20 2) 등록장애인 변화추이 = 22 제2장 장애유형별 정의 및 특성 1. 신체적 장애 = 25 1) 외부 신체적 기능의 장애 = 25 2) 내부기관의 장애 = 46 2. 정신적 장애 = 61 1) 정신지체 = 61 2) 정신지체의 판정 = 63 3) 정신장애 = 64 4) 발달장애 = 70 제3장 생애주기별 서비스 욕구와 과제 1. 생애주기 = 74 1) 생애주기의 개념 = 74 2) 생애주기의 중요성 = 75 3) 장애와 생애주기 = 75 2. 생애주기별 특징 및 서비스 욕구 = 76 1) 영유아기(0~6세) = 76 2) 학령기(7~18세) = 78 3) 성인기(19~60세) = 79 4) 노년기(61세 이상) = 80 3. 생애주기별 서비스 = 81 4.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 및 가족의 역할 = 83 1) 영유아기 장애아동을 위한 부모의 역할 = 83 2) 학령기 장애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부모의 역할 = 86 3) 성인기 장애인을 위한 부모의 역할 = 90 5. 생애주기별 서비스 모델의 적용과 전망 = 90 제2부 장애인 복지의 이념과 역사 제4장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가치 1. 일반사회복지의 가치와 실천원칙 = 95 2. 장애인복지의 특성 = 99 3. 장애인복지의 이념 = 100 1) 인권보장의 이념 = 101 2) 정상화 이념 = 102 3) 사회통합의 이념 = 103 4) 자립생활의 이념 = 103 5) 사회(국가) 책임의 이념 = 104 4. 장애인복지의 가치 = 104 1) 인간의 존엄성 존중 = 105 2) 생명 존중 = 105 3) 생존권 존중 = 106 4) 사회접근 보장 = 106 5. 장애인복지의 관점 = 107 1) 의료재활 관점 = 109 2) 심리재활 관점 = 110 3) 기능주의(역할이론) 관점 = 111 4) 심리사회 관점 = 112 5) 사회학적 관점 = 113 6. 장애인복지서비스 접근모델 = 115 1) 강점 중심 접근 = 117 2) 임파워먼트 접근 = 120 3) 사례관리 접근 = 121 4) 자립생활 접근 = 124 7. 장애인복지 모델에 관한 이슈와 동향 = 125 제5장 장애인복지의 역사 1. 서구 장애인복지의 역사 = 129 1) 근대 이전 = 130 2) 근대 = 135 3) 현대 장애인복지의 체계화 과정 = 138 2.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역사 = 146 1) 근대 이전 = 147 2) 근대 = 150 3)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체계화 과정 = 151 제6장 장애인 접근권 : 물리적 접근권과 정보접근권 1. 장애인 접근권의 개념 = 163 1) 장애인 접근권의 정의 = 165 2) 편의시설의 정의 = 166 3) 장애인 정보화 접근권의 개념 = 167 2. 장애인 접근권의 내용과 현황 = 173 1) 장애인 접근권의 범위 = 173 2) 장애인의 물리적 접근권 내용 및 현황 = 173 3) 장애인 정보화 접근권의 내용 및 현황 = 180 3. 외국의 장애인 정보화 관련제도 및 관련법 = 189 1) 미국 = 189 2) 일본 = 193 3) 유럽 = 193 4. 우리나라 장애인 접근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98 1) 장애인 물리적 접근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198 2) 장애인 정보화 접근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00 제3부 장애인과 사회복지 제7장 장애인과 사회보장 1. 사회보장정책 = 207 1) 사회보장의 개념 = 207 2) 사회보장의 목적 = 209 3) 사회보장의 범주 = 210 2. 장애인 소득보장 = 211 1) 사회보험 = 211 2) 공공부조(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215 3) 사회수당(장애수당) = 216 4) 경제적 부담 경감 조치 = 218 3. 장애인 의료보장 = 222 1) 장애인 의료비 지원 = 223 2) 장애인 등록진단비 지급 = 224 3)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무료 교부 = 224 4) 건강보험지역가입자의 보험료 경감 = 225 5)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운영(지방이양사업) = 225 6) 희귀난치성 질환 의료비 지원사업 = 225 4. 장애인 고용보장 = 226 1) 우리나라 장애인고용현황 = 226 2) 장애인고용정책 = 228 제8장 장애의 사정과 평가 1. 사정의 의의 및 중요성 = 232 2. 사정의 기본방향 및 단계 = 233 1) 사정의 기본방향 = 233 2) 사정의 과정 = 234 3. 영역별 사정도구 및 내용 = 239 1) 종합사정 = 240 2) 사정요원 = 240 3) 재활영역별 사정도구 = 240 4. 사정과정 예시 = 244 1) 이용시설(S장애인종합복지관의 예) = 244 2) 생활시설(J재활원의 예) = 255 제9장 장애인과 재활서비스 1. 의료재활서비스 = 267 1) 의료재활의 개념 = 267 2) 의료재활서비스 = 268 2. 교육재활서비스 = 271 1) 교육재활의 개념 = 271 2) 교육재활서비스 = 271 3. 직업재활서비스 = 276 1) 직업재활의 개념 = 276 2) 직업재활 서비스 = 277 4. 사회ㆍ심리재활서비스 = 281 1) 사회ㆍ심리재활의 개념 = 281 2) 사회ㆍ심리재활서비스 = 283 제10장 지역사회중심 재활 1.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요 = 288 1)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념 = 288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배경 = 289 3)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이념 = 292 2.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모델 = 293 1)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특징과 원칙 = 293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전달체계 = 295 3)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운영과정 = 297 4)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평가 = 299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추진과정 = 300 1) 보건사회부 시범사업 = 300 2) 민간주도 시범사업 = 300 3) 사회복지기관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 300 4) 수서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 301 5) 국립재활원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 302 4.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참여기관과 역할 = 304 1) 기관별 현황 = 304 2) 각 기관의 역할 = 307 3) 보건-복지 통합으로서의 지역사회 재활사업 = 308 5. 우리나라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발전방향 = 309 1) 장애인의 참여 강화 = 309 2) 연계ㆍ전달체계의 강화 = 309 3)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 고취 = 310 4)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중간관리자 개발 = 310 5) 지역사회중심 장애인복지관 시범사업 추진 = 310 6)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확대를 위한 국가의 역할 강화 = 311 제11장 장애인과 자립생활 1. 자립생활의 개념 = 312 1)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312 2) 자립생활 운동의 등장과 주요배경 = 314 3) 자립생활의 기본철학 = 327 4) 자립생활의 개념 = 328 2. 자립생활 서비스와 자립생활센터 = 335 1) 자립생활 서비스 제공의 주요원칙과 서비스 내용 = 335 2) 자립생활센터 운영의 주요원칙 = 340 3. 우리나라의 현황 = 340 1) 자립생활(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징 = 340 2) 자립생활센터 현황 = 344 4. 자립생활의 과제와 전망 = 346 제12장 여성장애인과 사회복지 1. 여성장애인복지 = 348 2. 여성장애인의 차별실태와 대안 = 349 1) 여성장애인의 교육 = 349 2) 여성장애인의 취업 = 353 3. 여성장애인과 결혼 = 357 1) 장애인과 성 = 357 2) 여성장애인의 연애와 결혼 = 359 4. 여성장애인과 가족 = 360 1) 여성장애인의 출산과 육아 = 360 2) 여성장애인의 성폭력 문제 = 363 5. 여성장애인복지의 과제 = 367 제4부 장애인복지의 이슈와 전망 제13장 장애인차별금지와 권리운동 1. 장애인 차별의 개념 = 371 1) 장애인 차별의 개념 = 371 2) 장애인 차별과 권리운동 = 373 2. 장애인 차별의 유형 = 379 3. 영역별 장애인 차별실태와 권리운동의 실제 = 383 1) 기본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3 2) 노동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6 3) 교육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7 4) 이동ㆍ접근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9 5) 여성장애인 성폭력과 권리운동 = 390 4. 장애인 차별금지법 = 391 1) 일반적인 차별금지법(안)의 내용 = 391 2) 독립적인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필요성 = 393 3) 장애인 차별금지법 제정 추진연대가 제안한 「장애인차별금지법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안)」 = 394 제14장 장애인단체 국제교류 1. 장애인복지의 국제화 = 395 2. 장애인단체 국제교류 관련 국제적 규정 = 397 3. 우리나라 장애인단체 국제교류의 변천 = 398 1) 태동기(1950~70년대) : 국제기구 가입 시작 = 399 2) 침체기(1970년대) : 국제단체 가입 후 적극적 참여 미흡 = 401 3) 도약기(1979~1992년) : 국제조직 활동에의 적극적인 참여 = 401 4) 성숙기(1993 ~2002년) : 아ㆍ태장애인 10년을 통한 국제교류의 활성화 = 405 5) 전환기(2003년 이후) :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주도 = 407 4. 전망과 과제 = 410 참고자료 = 413 참고문헌 = 419 찾아보기 = 431
일반주제명장애인 복지[障碍人福祉]
비통제주제어장애인접근권,재활서비스
가격정보\2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738 362.4 정37ㅈ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16939 362.4 정37ㅈ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부 장애의 개념과 유형  제1장 장애개념 및 범주  1. 장애의 개념 = 3  2. 장애개념의 변천 = 5  1) ICIDH = 5  2) ICIDH-2 = 7  3) ICIDH를 통한 장애개념 변화 = 9  4) ICF = 13  3. 장애범주 = 17  1) 우리나라의 장애범주 = 17  2) 외국의 장애범주 = 18  4. 우리나라 장애인구의 변화...

목차 전체

제1부 장애의 개념과 유형  제1장 장애개념 및 범주  1. 장애의 개념 = 3  2. 장애개념의 변천 = 5  1) ICIDH = 5  2) ICIDH-2 = 7  3) ICIDH를 통한 장애개념 변화 = 9  4) ICF = 13  3. 장애범주 = 17  1) 우리나라의 장애범주 = 17  2) 외국의 장애범주 = 18  4. 우리나라 장애인구의 변화추이 = 20  1) 장애 추정인구 및 출현율 변화추이 = 20  2) 등록장애인 변화추이 = 22  제2장 장애유형별 정의 및 특성  1. 신체적 장애 = 25  1) 외부 신체적 기능의 장애 = 25  2) 내부기관의 장애 = 46  2. 정신적 장애 = 61  1) 정신지체 = 61  2) 정신지체의 판정 = 63  3) 정신장애 = 64  4) 발달장애 = 70  제3장 생애주기별 서비스 욕구와 과제  1. 생애주기 = 74  1) 생애주기의 개념 = 74  2) 생애주기의 중요성 = 75  3) 장애와 생애주기 = 75  2. 생애주기별 특징 및 서비스 욕구 = 76  1) 영유아기(0~6세) = 76  2) 학령기(7~18세) = 78  3) 성인기(19~60세) = 79  4) 노년기(61세 이상) = 80  3. 생애주기별 서비스 = 81  4. 생애주기에 따른 부모 및 가족의 역할 = 83  1) 영유아기 장애아동을 위한 부모의 역할 = 83  2) 학령기 장애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부모의 역할 = 86  3) 성인기 장애인을 위한 부모의 역할 = 90  5. 생애주기별 서비스 모델의 적용과 전망 = 90 제2부 장애인 복지의 이념과 역사  제4장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가치  1. 일반사회복지의 가치와 실천원칙 = 95  2. 장애인복지의 특성 = 99  3. 장애인복지의 이념 = 100  1) 인권보장의 이념 = 101  2) 정상화 이념 = 102  3) 사회통합의 이념 = 103  4) 자립생활의 이념 = 103  5) 사회(국가) 책임의 이념 = 104  4. 장애인복지의 가치 = 104  1) 인간의 존엄성 존중 = 105  2) 생명 존중 = 105  3) 생존권 존중 = 106  4) 사회접근 보장 = 106  5. 장애인복지의 관점 = 107  1) 의료재활 관점 = 109  2) 심리재활 관점 = 110  3) 기능주의(역할이론) 관점 = 111  4) 심리사회 관점 = 112  5) 사회학적 관점 = 113  6. 장애인복지서비스 접근모델 = 115  1) 강점 중심 접근 = 117  2) 임파워먼트 접근 = 120  3) 사례관리 접근 = 121  4) 자립생활 접근 = 124  7. 장애인복지 모델에 관한 이슈와 동향 = 125  제5장 장애인복지의 역사  1. 서구 장애인복지의 역사 = 129  1) 근대 이전 = 130  2) 근대 = 135  3) 현대 장애인복지의 체계화 과정 = 138  2.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역사 = 146  1) 근대 이전 = 147  2) 근대 = 150  3)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체계화 과정 = 151  제6장 장애인 접근권 : 물리적 접근권과 정보접근권  1. 장애인 접근권의 개념 = 163  1) 장애인 접근권의 정의 = 165  2) 편의시설의 정의 = 166  3) 장애인 정보화 접근권의 개념 = 167  2. 장애인 접근권의 내용과 현황 = 173  1) 장애인 접근권의 범위 = 173  2) 장애인의 물리적 접근권 내용 및 현황 = 173  3) 장애인 정보화 접근권의 내용 및 현황 = 180  3. 외국의 장애인 정보화 관련제도 및 관련법 = 189  1) 미국 = 189  2) 일본 = 193  3) 유럽 = 193  4. 우리나라 장애인 접근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198  1) 장애인 물리적 접근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198  2) 장애인 정보화 접근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200 제3부 장애인과 사회복지  제7장 장애인과 사회보장  1. 사회보장정책 = 207  1) 사회보장의 개념 = 207  2) 사회보장의 목적 = 209  3) 사회보장의 범주 = 210  2. 장애인 소득보장 = 211  1) 사회보험 = 211  2) 공공부조(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215  3) 사회수당(장애수당) = 216  4) 경제적 부담 경감 조치 = 218  3. 장애인 의료보장 = 222  1) 장애인 의료비 지원 = 223  2) 장애인 등록진단비 지급 = 224  3)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무료 교부 = 224  4) 건강보험지역가입자의 보험료 경감 = 225  5)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운영(지방이양사업) = 225  6) 희귀난치성 질환 의료비 지원사업 = 225  4. 장애인 고용보장 = 226  1) 우리나라 장애인고용현황 = 226  2) 장애인고용정책 = 228  제8장 장애의 사정과 평가  1. 사정의 의의 및 중요성 = 232  2. 사정의 기본방향 및 단계 = 233  1) 사정의 기본방향 = 233  2) 사정의 과정 = 234  3. 영역별 사정도구 및 내용 = 239  1) 종합사정 = 240  2) 사정요원 = 240  3) 재활영역별 사정도구 = 240  4. 사정과정 예시 = 244  1) 이용시설(S장애인종합복지관의 예) = 244  2) 생활시설(J재활원의 예) = 255  제9장 장애인과 재활서비스  1. 의료재활서비스 = 267  1) 의료재활의 개념 = 267  2) 의료재활서비스 = 268  2. 교육재활서비스 = 271  1) 교육재활의 개념 = 271  2) 교육재활서비스 = 271  3. 직업재활서비스 = 276  1) 직업재활의 개념 = 276  2) 직업재활 서비스 = 277  4. 사회ㆍ심리재활서비스 = 281  1) 사회ㆍ심리재활의 개념 = 281  2) 사회ㆍ심리재활서비스 = 283  제10장 지역사회중심 재활  1.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요 = 288  1)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개념 = 288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배경 = 289  3)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이념 = 292  2.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모델 = 293  1)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특징과 원칙 = 293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전달체계 = 295  3)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운영과정 = 297  4)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평가 = 299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추진과정 = 300  1) 보건사회부 시범사업 = 300  2) 민간주도 시범사업 = 300  3) 사회복지기관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 300  4) 수서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 301  5) 국립재활원의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 302  4. 지역사회중심 재활의 참여기관과 역할 = 304  1) 기관별 현황 = 304  2) 각 기관의 역할 = 307  3) 보건-복지 통합으로서의 지역사회 재활사업 = 308  5. 우리나라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발전방향 = 309  1) 장애인의 참여 강화 = 309  2) 연계ㆍ전달체계의 강화 = 309  3)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 고취 = 310  4)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중간관리자 개발 = 310  5) 지역사회중심 장애인복지관 시범사업 추진 = 310  6)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확대를 위한 국가의 역할 강화 = 311  제11장 장애인과 자립생활  1. 자립생활의 개념 = 312  1)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312  2) 자립생활 운동의 등장과 주요배경 = 314  3) 자립생활의 기본철학 = 327  4) 자립생활의 개념 = 328  2. 자립생활 서비스와 자립생활센터 = 335  1) 자립생활 서비스 제공의 주요원칙과 서비스 내용 = 335  2) 자립생활센터 운영의 주요원칙 = 340  3. 우리나라의 현황 = 340  1) 자립생활(운동)의 전개과정과 특징 = 340  2) 자립생활센터 현황 = 344  4. 자립생활의 과제와 전망 = 346  제12장 여성장애인과 사회복지  1. 여성장애인복지 = 348  2. 여성장애인의 차별실태와 대안 = 349  1) 여성장애인의 교육 = 349  2) 여성장애인의 취업 = 353  3. 여성장애인과 결혼 = 357  1) 장애인과 성 = 357  2) 여성장애인의 연애와 결혼 = 359  4. 여성장애인과 가족 = 360  1) 여성장애인의 출산과 육아 = 360  2) 여성장애인의 성폭력 문제 = 363  5. 여성장애인복지의 과제 = 367 제4부 장애인복지의 이슈와 전망  제13장 장애인차별금지와 권리운동  1. 장애인 차별의 개념 = 371  1) 장애인 차별의 개념 = 371  2) 장애인 차별과 권리운동 = 373  2. 장애인 차별의 유형 = 379  3. 영역별 장애인 차별실태와 권리운동의 실제 = 383  1) 기본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3  2) 노동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6  3) 교육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7  4) 이동ㆍ접근권 차별과 권리운동 = 389  5) 여성장애인 성폭력과 권리운동 = 390  4. 장애인 차별금지법 = 391  1) 일반적인 차별금지법(안)의 내용 = 391  2) 독립적인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필요성 = 393  3) 장애인 차별금지법 제정 추진연대가 제안한 「장애인차별금지법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안)」 = 394  제14장 장애인단체 국제교류  1. 장애인복지의 국제화 = 395  2. 장애인단체 국제교류 관련 국제적 규정 = 397  3. 우리나라 장애인단체 국제교류의 변천 = 398  1) 태동기(1950~70년대) : 국제기구 가입 시작 = 399  2) 침체기(1970년대) : 국제단체 가입 후 적극적 참여 미흡 = 401  3) 도약기(1979~1992년) : 국제조직 활동에의 적극적인 참여 = 401  4) 성숙기(1993 ~2002년) : 아ㆍ태장애인 10년을 통한 국제교류의 활성화 = 405  5) 전환기(2003년 이후) : 수동적 참여에서 적극적 주도 = 407  4. 전망과 과제 = 410 참고자료 = 413 참고문헌 = 419 찾아보기 = 431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 지리의 힘 . 1-2
    지리의 힘 . 1-2
    팀 마샬 지음
    사이, 20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