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북한군사문제의 재조명 =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책이미지
북한군사문제의 재조명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경남대학교.b북한대학원
서명/저자사항북한군사문제의 재조명 =(The)military of North Korea : a new look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발행사항파주 :한울,2006
형태사항493 p :도표 ;24cm
총서사항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총서 ;5
한울아카데미 ;853
ISBN8946001143(세트)
8946035323 94390
서지주기색인수록
내용주기머리말 = 3 제1장 북한군사연구 서설: 국가안보와 조선인민군 / 함택영 = 9 1. 머리말 = 9 2. 군사제도 및 조선인민군의 특성 = 13 3. 주체사상과 안보ㆍ군사정책 = 25 4. 북한군사연구의 주요 성과 = 39 5. 맺음말 = 59 제2장 조선인민군의 창설과 발전, 1945~1990 / 김광수 = 63 1. 서론 = 63 2. 조선인민군의 창설, 1945~1949 = 65 3. 한국전쟁 시기 조선인민군, 1950~1953 = 85 4. 전후의 발전, 1954~1961 = 110 5. 4대 군사노선과 유격전의 강조, 1962~1975 = 125 6. 군의 현대화와 '주체전법'의 완성, 1976~1990 = 147 7. 결론 = 162 제3장 당ㆍ군관계와 선군정치 / 이대근 = 167 1. 북한의 당ㆍ군관계 = 167 2. 조선인민군의 역할 = 179 3. 선군정치의 등장과 특징 = 184 4. 선군정치와 국방위원회 = 200 5. 선군정치와 북한 체제의 변화 = 211 제4장 북한 군사력의 경제적 기초: '군사경제' 실체에 대한 역사적ㆍ실증적 분석 / 성채기 = 221 1. 서론: 문제의 제기 및 접근방법 = 221 2. 북한 공표군사비의 실체: 그 은폐성 추적 = 228 3. 군사비의 은폐 구조와 군사경제의 운용체계 = 275 4. 북한의 실제군사비 및 획득비 추계와 그 추이 = 293 5. 북한의 무기획득 및 생산 규모 추이 = 320 6. 결론 = 336 제5장 북한의 군사력 및 남북한 군사력균형 / 함택영 ; 서재정 = 339 1. 문제의 제기 = 339 2. 남북한 군사력균형: 정태적 비교 = 342 3. 동태적 군사력 비교 Ⅰ: 워게임 = 367 4. 동태적 군사력 비교 Ⅱ: 단순 워게임 사례 = 376 5. 결론 = 405 제6장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정책 / 한용섭 = 411 1. 서론 = 411 2. 북한 핵문제와 미사일 문제의 경과 = 413 3.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도 = 418 4. 북한의 핵억제력 가시화 정책 = 422 5.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능력 = 431 6.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군축 정책 = 442 7. 북한 대량살상무기 정책의 전망 = 448 제7장 북한외교와 군사력의 역할 / 미찌시따 나루시게 = 453 1. 무력강압외교의 태동기, 1966~1972 = 454 2. 외교 목적을 가진 제한된 무력사용, 1973~1982 = 462 3. 테러리즘의 대두, 1983~1992 = 470 4. 세련된 무력강압외교 지속기, 1993~2000 = 474 5. 새로운 위기의 발생, 2001~현재 = 483 찾아보기 = 489
일반주제명북한인권
북한군사정책[北韓軍事政策]
비통제주제어북한외교,북한군사력,선군정치,대량살상무기정책
가격정보\28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651 355.095193 경211ㅂ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18791 355.095193 경211ㅂ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머리말 = 3 제1장 북한군사연구 서설: 국가안보와 조선인민군 / 함택영 = 9  1. 머리말 = 9  2. 군사제도 및 조선인민군의 특성 = 13  3. 주체사상과 안보ㆍ군사정책 = 25  4. 북한군사연구의 주요 성과 = 39  5. 맺음말 = 59 제2장 조선인민군의 창설과 발전, 1945~1990 / 김광수 = 63  1. 서론 = 63  2. 조선...

목차 전체

머리말 = 3 제1장 북한군사연구 서설: 국가안보와 조선인민군 / 함택영 = 9  1. 머리말 = 9  2. 군사제도 및 조선인민군의 특성 = 13  3. 주체사상과 안보ㆍ군사정책 = 25  4. 북한군사연구의 주요 성과 = 39  5. 맺음말 = 59 제2장 조선인민군의 창설과 발전, 1945~1990 / 김광수 = 63  1. 서론 = 63  2. 조선인민군의 창설, 1945~1949 = 65  3. 한국전쟁 시기 조선인민군, 1950~1953 = 85  4. 전후의 발전, 1954~1961 = 110  5. 4대 군사노선과 유격전의 강조, 1962~1975 = 125  6. 군의 현대화와 '주체전법'의 완성, 1976~1990 = 147  7. 결론 = 162 제3장 당ㆍ군관계와 선군정치 / 이대근 = 167  1. 북한의 당ㆍ군관계 = 167  2. 조선인민군의 역할 = 179  3. 선군정치의 등장과 특징 = 184  4. 선군정치와 국방위원회 = 200  5. 선군정치와 북한 체제의 변화 = 211 제4장 북한 군사력의 경제적 기초: '군사경제' 실체에 대한 역사적ㆍ실증적 분석 / 성채기 = 221  1. 서론: 문제의 제기 및 접근방법 = 221  2. 북한 공표군사비의 실체: 그 은폐성 추적 = 228  3. 군사비의 은폐 구조와 군사경제의 운용체계 = 275  4. 북한의 실제군사비 및 획득비 추계와 그 추이 = 293  5. 북한의 무기획득 및 생산 규모 추이 = 320  6. 결론 = 336 제5장 북한의 군사력 및 남북한 군사력균형 / 함택영 ; 서재정 = 339  1. 문제의 제기 = 339  2. 남북한 군사력균형: 정태적 비교 = 342  3. 동태적 군사력 비교 Ⅰ: 워게임 = 367  4. 동태적 군사력 비교 Ⅱ: 단순 워게임 사례 = 376  5. 결론 = 405 제6장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정책 / 한용섭 = 411  1. 서론 = 411  2. 북한 핵문제와 미사일 문제의 경과 = 413  3.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도 = 418  4. 북한의 핵억제력 가시화 정책 = 422  5.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능력 = 431  6.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군축 정책 = 442  7. 북한 대량살상무기 정책의 전망 = 448 제7장 북한외교와 군사력의 역할 / 미찌시따 나루시게 = 453  1. 무력강압외교의 태동기, 1966~1972 = 454  2. 외교 목적을 가진 제한된 무력사용, 1973~1982 = 462  3. 테러리즘의 대두, 1983~1992 = 470  4. 세련된 무력강압외교 지속기, 1993~2000 = 474  5. 새로운 위기의 발생, 2001~현재 = 483 찾아보기 = 489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22세기 민주주의 :  알고리듬이 선거가 되고 고양이가 정치인을 대체한다
    22세기 민주주의 : 알고리듬이 선거가 되고 고양이가...
    성전유보
    틔움, 2024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