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법문학 /

이상돈 ;이소영 [공]저

책이미지
법문학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상돈
이소영
서명/저자사항법문학 /이상돈 ;이소영 [공]저
발행사항서울 :新英社,2005
형태사항365 p ;23cm
ISBN8955011482 93370
일반주기색인수록
내용주기작품차례 = 18 [1] 도입글 - 왜 우리는 지금 여기서 법문학을 이야기하나? = 23 Ⅰ. 법문학의 낯설음 = 23 Ⅱ. 포스트모던 시대의 법학 = 25 Ⅲ. 법문학의 과제 = 28 1. 대상과 영역 = 29 2. 방법과 이론 = 32 3. 응용과 실천 = 38 제Ⅰ부 법문학의 대상과 영역 [2] 문학 속의 법 - 문학의 법 형성 = 43 Ⅰ. 문학 속의 법 = 43 Ⅱ. 문학에 반영된 법의식 = 45 Ⅲ. 법을 형성하는 문학 = 48 [3] 법의 문학에 대한 통제 - 법의 문학 형성 = 52 Ⅰ. 검열과 문학 = 52 1. 권력생산의 기제로서 검열 = 52 2. 검열의 짧은 역사 = 54 3. 법과 문학의 상호적 구성 = 55 Ⅱ. 검열의 문학형성적 기능 = 57 1. 검열수용적인 작품형성 = 57 (1) 부르디외의 검열 개념 = 57 (2) 정치적 권력이 내면화된 자기검열 = 58 (3) 자본이 동기화된 자기검열 = 59 (4) 자기검열의 작품형성적 효과 = 60 2. 작품형성요소로서 검열회피 = 62 (1) 검열회피의 문학적 기법들 = 65 (2) 검열회피의 작품향상적 효과 = 68 Ⅲ. 검열 담론의 다원화와 법문학의 과제 = 69 1. 검열의 배후담론의 변화 = 70 (1) 규제 대상과 기준의 정치성 = 70 (2) 미시적 규율권력의 생산기제로서 검열 = 71 2. 지배담론의 다원화 = 72 (1) 듀엣구조에서 다자구조로 = 72 (2) 다원적인 담론의 시대 = 73 3. 다원화된 검열 속에서 법문학의 중재 = 73 (1) 확실성을 잃은 법적 검열 = 74 (2) 법문학의 비판적 중재 = 77 [4] 문학으로서의 법 = 78 Ⅰ. 법학의 '이야기하기' = 78 Ⅱ. 연작소설로서 판결문 = 80 1. 드워킨의 연작소설론 = 80 2. 피쉬의 반론 = 82 Ⅲ. 문학적 수사로서 법 = 84 1. 화이트의 문학적 수사론 = 84 2. 문학적 수사론의 이념적 위치 = 86 (1) 해체주의보다는 덜 급진적인 문학적 수사론 = 86 (2) 주류담론보다는 더 진보적인 법이해 = 87 Ⅳ. 법수사학과 구조사고 = 88 1. 하프트의 법수사학 = 88 2. 문학적 수사의 방법으로서 구조사고 = 90 [5] 법학방법으로서의 문학비평 = 93 Ⅰ. 문학방법의 법학에의 유입 = 93 Ⅱ. 의도주의와 신비평이론 = 95 1. 고전적인 법해석 방법 = 95 2. 의도주의 논쟁과 신비평이론 = 97 3. 브룩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법률해석의 창조성 = 99 Ⅲ. 신실용주의와 문학비평 = 100 1. 토대주의-반토대주의 논쟁 = 100 2. 우연성과 아이러니의 문학비평방법 = 101 (1)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 = 101 (2) 우연성과 아이러니 = 101 3. 문학패러다임의 법적 유용성 = 102 Ⅳ. 형식주의와 해체주의 그리고 법 = 103 1. '낯설게하기'와 '대화론'의 법적 효용성 = 104 (1) 낯설게하기와 비판적 법해석 = 104 (2) 바흐친의 대화론과 법이론 = 106 2. 해체주의와 법학방법 = 108 (1) 해체주의 비평방법의 풍미 = 109 (2) 법학방법으로 전환가능성 소묘 = 109 제Ⅱ부 법문학의 방법과 이론 [6] 구조주의와 해체주의의 비평방법과 법적 정의 = 115 Ⅰ.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 = 115 1. 주관주의로부터의 단절로서 구조주의 = 115 2. 소쉬르의 구조주의 기호학 = 117 (1) 구조주의적 요소 = 117 (2) 포스트구조주의적 요소 = 118 3. 푸꼬의 지식고고학과 계보학 = 119 (1) 지식고고학과 구조주의 = 119 (2) 계보학과 포스트구조주의의 단초 = 120 4. 데리다의 해체주의 = 121 (1) 존재(주체)의 인식 부정 = 121 (2) 차연과 서구적 이원론 해체 = 123 Ⅱ. 구조주의 비평방법 = 124 1. 작품 속에 숨은 랑그의 구조 = 124 2. 대화성과 다성성 - 포스트구조주의의 예견 = 127 Ⅲ. 해체주의 비평방법 = 129 1. 문학과 철학의 경계 허물기 = 129 (1) 문학적 수사법 = 129 (2) 철학의 탈신비화 = 131 (3) 해체의 가장 진전된 방식으로서 문학 = 132 2.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론적 비평 = 136 (1) '읽는 텍스트'에서 '쓰는 텍스트'로 = 136 (2) 암호풀기와 자리바꿈 = 137 Ⅳ. 법학방법론으로서 해체주의 비평 = 140 1. 해체주의의 정의 이해 = 140 (1) 힘으로서 정의 = 141 (2) 폭로와 귀기울이기로서 정의 = 143 2. 법학방법론과 해체적 정의 = 144 (1) 법텍스트 해석과 해체적 정의 = 145 (2) 법형성과 해체적 정의 = 147 (3) 법적 합의와 차이의 내레이션 = 151 [7] 법해석과 텍스트의 차연 = 154 Ⅰ. 법해석학의 현황 = 154 1. 법해석의 딜레마 -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사이 = 154 2. 해석카논의 발전 = 156 3. 법해석에서 철학적 해석학의 수용 = 160 4. 법해석에서 기호론 = 162 Ⅱ. 기존 법해석학의 허구성 드러내기 = 165 1. '결정된 단일한 의미'의 환상 = 165 2. 법언어의 전미래성 = 166 Ⅲ. 해체적 문학비평을 통한 폭로 = 168 1. 법의 '닫힌 문' = 168 2. 법적 정의의 유령과 차연 = 170 3. 모방된 욕망으로서 법인식 = 173 Ⅳ. 해체적 글읽기의 법해석학적 수용 = 175 1. 상호텍스트성의 구성으로서 법해석 = 176 (1) 책과 텍스트의 구별 = 177 (2) 직물짜기로서 법해석 = 178 (3) 법률말놀이 = 180 2. 상호텍스트성의 해체적 보완 = 182 (1) 이성적 논증의 결함 = 182 (2) 비논증적 요소들의 드러내보임 = 184 [8] 법형성과 담론질서 = 188 Ⅰ. 법문학의 계보학적 기능 = 188 1. 이성의 역사로서 법형성 = 188 (1) 변증적 역사이해 = 189 (2) 역사와 전통의 권위 = 192 2. 권력의 전술로서 법형성 = 193 (1) 푸꼬의 역사관: 불연속의 미시권력론 = 193 (2) 규율권력의 재생산으로서 법형성 = 194 3. 문학으로서 역사 = 195 Ⅱ. 법형성의 계보학 = 197 1. 지식고고학적 역사분석 = 198 (1) 방법론적 가능성의 타진 = 198 (2) '돈키호테'와 르네상스적 유사성의 종언 = 199 (3) 사드와 표상의 종언 = 202 2. 형벌법의 계보 = 205 (1) 연쇄적 점층의 형벌 부과 = 205 (2) '유순해진 형벌' = 208 3. 한국의 전통 형벌법에서 계보학 = 209 (1) 휼형이념과 유형제도의 유사성의 에피스테메 = 212 (2) 구비문학과 유배문학의 유사성 종언 = 214 4. 법의 정당성 기초로서 담론의 배후 = 219 Ⅲ. 법문학의 법형성 기능 = 220 [9] 법적 합의와 차이의 문제 = 224 Ⅰ. 진리로서 법적 합의와 민주주의 = 224 1. 터잡힌 민주적 법치국가 = 224 2. 남겨진 문제로서 차이 = 225 Ⅱ. 자유민주주의에서 차이의 문제 = 227 1. 대의제의 배타성 = 227 (1) 대의제의 이상과 조건 = 228 (2) 대의제의 현실 = 229 2. '정치적인 것'에서 자유주의의 한계 = 230 (1) 정치와 정치적인 것 = 231 (2) 자유주의의 한계 = 231 3. 공동체주의에서 공동선의 한계 = 233 4. 차이의 딜레마 = 234 Ⅲ. 토론민주주의, 그 힘과 한계 = 237 1. 특징적 개념표지 = 237 (1) 공론과 공론조사 = 237 (2) 인권과 주권의 내적 연관성 = 238 (3) 절차성과 상호주관성 = 239 2. 실천성 = 241 (1) '다른 목소리' 채택의 절차화 = 241 (2) '합리적' 방식을 통한 갈등 완화 = 243 3.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 244 (1) 대화에 참여하지 못하는 자 = 244 (2) 동일성강제의 위험성 = 246 Ⅳ. 토론민주주의의 보완과 법문학 = 248 1. 소수문화와 소수문학 = 249 (1) 민주주의에서 문화의 의의 = 249 (2) 소수문화에서 소수자'되기' = 250 (3) 소수문학의 가능성 = 251 2. 토론민주주의에서 소수문학의 기능 = 253 (1) 비논증적 요소에 귀기울이기 = 253 (2)'n-1'의 다양성을 드러내 보이기 = 256 제Ⅲ부 법문학의 응용과 실천 [10] 성매매특별법과 다층적 내레이션 = 263 Ⅰ. 성매매여성의 외면된 목소리 = 263 Ⅱ. 성담론과 법제의 전개 = 264 1. 서구에서 성담론의 법제화과정 = 264 (1) 도덕적 성윤리와 법의 통제 = 265 (2) 성해방과 자유주의적 법제화 = 269 (3) 급진적 페미니즘의 법제화 = 271 2. 포스트페미니즘의 새물결 = 272 3. 우리 법제의 특수성 = 275 (1) 법과 윤리의 미분화 = 275 (2) 계몽적 여성주의 = 277 Ⅲ. 법문학을 통한 법형성 맥락의 해체 = 278 1. 성매매특별법의 제정배경 = 278 2. 법적 정당성과 실효성 = 280 3. 담론의 배제성 = 282 (1) 소외의 서사학 = 282 (2) 매춘의 진실 = 283 Ⅳ. 법문학을 통한 내레이션의 수용 = 285 1. 다성적 내레이션의 이해 = 285 (1) 다성적 내레이션 = 286 (2) 힘의 역학과 양가성 = 287 (3) 타자의 내레이션 = 288 2. 성매매 여성의 '이야기하기'와 행동하기 = 289 3. 탈식민주의 문학비평의 수용 = 290 (1) 복잡하고 다층적인 소외 = 291 (2) 하위주체에게 말걸기 = 294 Ⅴ. 대안 = 296 [11] 창작으로서의 범죄보도와 현실구성 = 299 Ⅰ. 범죄보도의 기능 = 299 Ⅱ. 범죄보도 담론의 맥락 = 300 1. 범죄의 공론화 = 300 2. 황색 저널리즘의 출현과 범죄보도 = 302 3. 우리의 법담론과 범죄보도 경향의 변천 = 303 Ⅲ. 범죄보도의 현실구성과 선별성 = 305 1. 범죄보도와 현실구성 = 305 (1) 해체주의적 전제 = 305 (2) 현실반영의 불가능성과 현실구성 = 306 2. 현실을 구성하는 선별 = 308 (1) 특징적 표지 = 308 (2) 표현방식 = 310 (3) 수용형태 = 310 (4) 구조적 원인 = 311 3. 선별적 현실구성의 기능 = 313 (1)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증대 = 313 (2) 모방범죄의 증대 = 314 (3) 범죄보도의 정치성 = 315 4. 범죄보도의 현실구성 - 상호공생관계 = 316 Ⅳ. 창작물로서 범죄보도와 낯설게하기 = 318 1. 규제화의 딜레마 = 319 (1) '알 권리 대 인격권'의 이분법 도그마 = 319 (2) 형법적 규제화의 딜레마 = 320 (3) 자기규제의 조종기제로서 법 = 321 2. 다층적 내레이션의 복원 = 322 3. 낯설게하기와 비틀어보기 = 324 [12] 환경오염 규제와 생태문학론 = 326 Ⅰ. 환경형법과 법문학의 필요성 = 326 Ⅱ. 환경형법의 성장 = 327 1. 위험사회와 형법의 확장 = 327 2. 위험형법으로서 환경형법 = 328 Ⅲ. 환경형법의 정당화근거에 대한 법문학적 분석 = 329 1. 윤리적 요청 = 330 (1) 생태윤리학의 접근방식 = 330 (2) 생태시학과 생명사상 = 330 (3) 환경재의 보호법익성 = 332 2. 도덕적 요청 = 333 (1) 생태사회주의와 경제적 불평등 = 333 (2) 사회적 억압 구조의 '상징'으로서 생태위기 = 334 (3) 환경형법의 사회법화 = 335 Ⅳ. 환경형법의 효율성 판단 = 335 1. 집행상의 결핍과 귀속의 어려움 = 335 2. 법익확장의 위험성: 윤리적 요청의 실패 = 336 3. 환경형법의 반생산성: 도덕적 요청의 실패 = 338 [13] 정상가족과 양성쓰기운동 = 340 Ⅰ. 양성쓰기의 소외성 = 340 Ⅱ. 정상가족의 이데올로기 = 341 Ⅲ. 가족의 다양성과 성의 폐지 = 343 [14] 노동문학과 노동패러다임 변화 = 345 Ⅰ. 노동패러다임의 변화 = 345 Ⅱ. 내레이션에 귀기울이기 = 347 Ⅲ. 상호주관적 노동개념 = 350 1. 해고제한의 예 = 350 2. 노동인격 = 351 작품색인 = 353 찾아보기 = 357
비통제주제어법문학
가격정보\25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643 340.1 이51ㅂ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작품차례 = 18  [1] 도입글 - 왜 우리는 지금 여기서 법문학을 이야기하나? = 23  Ⅰ. 법문학의 낯설음 = 23  Ⅱ. 포스트모던 시대의 법학 = 25  Ⅲ. 법문학의 과제 = 28  1. 대상과 영역 = 29  2. 방법과 이론 = 32  3. 응용과 실천 = 38 제Ⅰ부 법문학의 대상과 영역  [2] 문학 속의 법 - 문학의 법 형성 = 43...

목차 전체

작품차례 = 18  [1] 도입글 - 왜 우리는 지금 여기서 법문학을 이야기하나? = 23  Ⅰ. 법문학의 낯설음 = 23  Ⅱ. 포스트모던 시대의 법학 = 25  Ⅲ. 법문학의 과제 = 28  1. 대상과 영역 = 29  2. 방법과 이론 = 32  3. 응용과 실천 = 38 제Ⅰ부 법문학의 대상과 영역  [2] 문학 속의 법 - 문학의 법 형성 = 43  Ⅰ. 문학 속의 법 = 43  Ⅱ. 문학에 반영된 법의식 = 45  Ⅲ. 법을 형성하는 문학 = 48  [3] 법의 문학에 대한 통제 - 법의 문학 형성 = 52  Ⅰ. 검열과 문학 = 52  1. 권력생산의 기제로서 검열 = 52  2. 검열의 짧은 역사 = 54  3. 법과 문학의 상호적 구성 = 55  Ⅱ. 검열의 문학형성적 기능 = 57  1. 검열수용적인 작품형성 = 57  (1) 부르디외의 검열 개념 = 57  (2) 정치적 권력이 내면화된 자기검열 = 58  (3) 자본이 동기화된 자기검열 = 59  (4) 자기검열의 작품형성적 효과 = 60  2. 작품형성요소로서 검열회피 = 62  (1) 검열회피의 문학적 기법들 = 65  (2) 검열회피의 작품향상적 효과 = 68  Ⅲ. 검열 담론의 다원화와 법문학의 과제 = 69  1. 검열의 배후담론의 변화 = 70  (1) 규제 대상과 기준의 정치성 = 70  (2) 미시적 규율권력의 생산기제로서 검열 = 71  2. 지배담론의 다원화 = 72  (1) 듀엣구조에서 다자구조로 = 72  (2) 다원적인 담론의 시대 = 73  3. 다원화된 검열 속에서 법문학의 중재 = 73  (1) 확실성을 잃은 법적 검열 = 74  (2) 법문학의 비판적 중재 = 77  [4] 문학으로서의 법 = 78  Ⅰ. 법학의 '이야기하기' = 78  Ⅱ. 연작소설로서 판결문 = 80  1. 드워킨의 연작소설론 = 80  2. 피쉬의 반론 = 82  Ⅲ. 문학적 수사로서 법 = 84  1. 화이트의 문학적 수사론 = 84  2. 문학적 수사론의 이념적 위치 = 86  (1) 해체주의보다는 덜 급진적인 문학적 수사론 = 86  (2) 주류담론보다는 더 진보적인 법이해 = 87  Ⅳ. 법수사학과 구조사고 = 88  1. 하프트의 법수사학 = 88  2. 문학적 수사의 방법으로서 구조사고 = 90  [5] 법학방법으로서의 문학비평 = 93  Ⅰ. 문학방법의 법학에의 유입 = 93  Ⅱ. 의도주의와 신비평이론 = 95  1. 고전적인 법해석 방법 = 95  2. 의도주의 논쟁과 신비평이론 = 97  3. 브룩스의 시학을 통해서 본 법률해석의 창조성 = 99  Ⅲ. 신실용주의와 문학비평 = 100  1. 토대주의-반토대주의 논쟁 = 100  2. 우연성과 아이러니의 문학비평방법 = 101  (1)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 = 101  (2) 우연성과 아이러니 = 101  3. 문학패러다임의 법적 유용성 = 102  Ⅳ. 형식주의와 해체주의 그리고 법 = 103  1. '낯설게하기'와 '대화론'의 법적 효용성 = 104  (1) 낯설게하기와 비판적 법해석 = 104  (2) 바흐친의 대화론과 법이론 = 106  2. 해체주의와 법학방법 = 108  (1) 해체주의 비평방법의 풍미 = 109  (2) 법학방법으로 전환가능성 소묘 = 109 제Ⅱ부 법문학의 방법과 이론  [6] 구조주의와 해체주의의 비평방법과 법적 정의 = 115  Ⅰ.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 = 115  1. 주관주의로부터의 단절로서 구조주의 = 115  2. 소쉬르의 구조주의 기호학 = 117  (1) 구조주의적 요소 = 117  (2) 포스트구조주의적 요소 = 118  3. 푸꼬의 지식고고학과 계보학 = 119  (1) 지식고고학과 구조주의 = 119  (2) 계보학과 포스트구조주의의 단초 = 120  4. 데리다의 해체주의 = 121  (1) 존재(주체)의 인식 부정 = 121  (2) 차연과 서구적 이원론 해체 = 123  Ⅱ. 구조주의 비평방법 = 124  1. 작품 속에 숨은 랑그의 구조 = 124  2. 대화성과 다성성 - 포스트구조주의의 예견 = 127  Ⅲ. 해체주의 비평방법 = 129  1. 문학과 철학의 경계 허물기 = 129  (1) 문학적 수사법 = 129  (2) 철학의 탈신비화 = 131  (3) 해체의 가장 진전된 방식으로서 문학 = 132  2. 포스트구조주의와 해체론적 비평 = 136  (1) '읽는 텍스트'에서 '쓰는 텍스트'로 = 136  (2) 암호풀기와 자리바꿈 = 137  Ⅳ. 법학방법론으로서 해체주의 비평 = 140  1. 해체주의의 정의 이해 = 140  (1) 힘으로서 정의 = 141  (2) 폭로와 귀기울이기로서 정의 = 143  2. 법학방법론과 해체적 정의 = 144  (1) 법텍스트 해석과 해체적 정의 = 145  (2) 법형성과 해체적 정의 = 147  (3) 법적 합의와 차이의 내레이션 = 151  [7] 법해석과 텍스트의 차연 = 154  Ⅰ. 법해석학의 현황 = 154  1. 법해석의 딜레마 - 주관주의와 객관주의 사이 = 154  2. 해석카논의 발전 = 156  3. 법해석에서 철학적 해석학의 수용 = 160  4. 법해석에서 기호론 = 162  Ⅱ. 기존 법해석학의 허구성 드러내기 = 165  1. '결정된 단일한 의미'의 환상 = 165  2. 법언어의 전미래성 = 166  Ⅲ. 해체적 문학비평을 통한 폭로 = 168  1. 법의 '닫힌 문' = 168  2. 법적 정의의 유령과 차연 = 170  3. 모방된 욕망으로서 법인식 = 173  Ⅳ. 해체적 글읽기의 법해석학적 수용 = 175  1. 상호텍스트성의 구성으로서 법해석 = 176  (1) 책과 텍스트의 구별 = 177  (2) 직물짜기로서 법해석 = 178  (3) 법률말놀이 = 180  2. 상호텍스트성의 해체적 보완 = 182  (1) 이성적 논증의 결함 = 182  (2) 비논증적 요소들의 드러내보임 = 184  [8] 법형성과 담론질서 = 188  Ⅰ. 법문학의 계보학적 기능 = 188  1. 이성의 역사로서 법형성 = 188  (1) 변증적 역사이해 = 189  (2) 역사와 전통의 권위 = 192  2. 권력의 전술로서 법형성 = 193  (1) 푸꼬의 역사관: 불연속의 미시권력론 = 193  (2) 규율권력의 재생산으로서 법형성 = 194  3. 문학으로서 역사 = 195  Ⅱ. 법형성의 계보학 = 197  1. 지식고고학적 역사분석 = 198  (1) 방법론적 가능성의 타진 = 198  (2) '돈키호테'와 르네상스적 유사성의 종언 = 199  (3) 사드와 표상의 종언 = 202  2. 형벌법의 계보 = 205  (1) 연쇄적 점층의 형벌 부과 = 205  (2) '유순해진 형벌' = 208  3. 한국의 전통 형벌법에서 계보학 = 209  (1) 휼형이념과 유형제도의 유사성의 에피스테메 = 212  (2) 구비문학과 유배문학의 유사성 종언 = 214  4. 법의 정당성 기초로서 담론의 배후 = 219  Ⅲ. 법문학의 법형성 기능 = 220  [9] 법적 합의와 차이의 문제 = 224  Ⅰ. 진리로서 법적 합의와 민주주의 = 224  1. 터잡힌 민주적 법치국가 = 224  2. 남겨진 문제로서 차이 = 225  Ⅱ. 자유민주주의에서 차이의 문제 = 227  1. 대의제의 배타성 = 227  (1) 대의제의 이상과 조건 = 228  (2) 대의제의 현실 = 229  2. '정치적인 것'에서 자유주의의 한계 = 230  (1) 정치와 정치적인 것 = 231  (2) 자유주의의 한계 = 231  3. 공동체주의에서 공동선의 한계 = 233  4. 차이의 딜레마 = 234  Ⅲ. 토론민주주의, 그 힘과 한계 = 237  1. 특징적 개념표지 = 237  (1) 공론과 공론조사 = 237  (2) 인권과 주권의 내적 연관성 = 238  (3) 절차성과 상호주관성 = 239  2. 실천성 = 241  (1) '다른 목소리' 채택의 절차화 = 241  (2) '합리적' 방식을 통한 갈등 완화 = 243  3.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 244  (1) 대화에 참여하지 못하는 자 = 244  (2) 동일성강제의 위험성 = 246  Ⅳ. 토론민주주의의 보완과 법문학 = 248  1. 소수문화와 소수문학 = 249  (1) 민주주의에서 문화의 의의 = 249  (2) 소수문화에서 소수자'되기' = 250  (3) 소수문학의 가능성 = 251  2. 토론민주주의에서 소수문학의 기능 = 253  (1) 비논증적 요소에 귀기울이기 = 253  (2)'n-1'의 다양성을 드러내 보이기 = 256 제Ⅲ부 법문학의 응용과 실천  [10] 성매매특별법과 다층적 내레이션 = 263  Ⅰ. 성매매여성의 외면된 목소리 = 263  Ⅱ. 성담론과 법제의 전개 = 264  1. 서구에서 성담론의 법제화과정 = 264  (1) 도덕적 성윤리와 법의 통제 = 265  (2) 성해방과 자유주의적 법제화 = 269  (3) 급진적 페미니즘의 법제화 = 271  2. 포스트페미니즘의 새물결 = 272  3. 우리 법제의 특수성 = 275  (1) 법과 윤리의 미분화 = 275  (2) 계몽적 여성주의 = 277  Ⅲ. 법문학을 통한 법형성 맥락의 해체 = 278  1. 성매매특별법의 제정배경 = 278  2. 법적 정당성과 실효성 = 280  3. 담론의 배제성 = 282  (1) 소외의 서사학 = 282  (2) 매춘의 진실 = 283  Ⅳ. 법문학을 통한 내레이션의 수용 = 285  1. 다성적 내레이션의 이해 = 285  (1) 다성적 내레이션 = 286  (2) 힘의 역학과 양가성 = 287  (3) 타자의 내레이션 = 288  2. 성매매 여성의 '이야기하기'와 행동하기 = 289  3. 탈식민주의 문학비평의 수용 = 290  (1) 복잡하고 다층적인 소외 = 291  (2) 하위주체에게 말걸기 = 294  Ⅴ. 대안 = 296  [11] 창작으로서의 범죄보도와 현실구성 = 299  Ⅰ. 범죄보도의 기능 = 299  Ⅱ. 범죄보도 담론의 맥락 = 300  1. 범죄의 공론화 = 300  2. 황색 저널리즘의 출현과 범죄보도 = 302  3. 우리의 법담론과 범죄보도 경향의 변천 = 303  Ⅲ. 범죄보도의 현실구성과 선별성 = 305  1. 범죄보도와 현실구성 = 305  (1) 해체주의적 전제 = 305  (2) 현실반영의 불가능성과 현실구성 = 306  2. 현실을 구성하는 선별 = 308  (1) 특징적 표지 = 308  (2) 표현방식 = 310  (3) 수용형태 = 310  (4) 구조적 원인 = 311  3. 선별적 현실구성의 기능 = 313  (1)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증대 = 313  (2) 모방범죄의 증대 = 314  (3) 범죄보도의 정치성 = 315  4. 범죄보도의 현실구성 - 상호공생관계 = 316  Ⅳ. 창작물로서 범죄보도와 낯설게하기 = 318  1. 규제화의 딜레마 = 319  (1) '알 권리 대 인격권'의 이분법 도그마 = 319  (2) 형법적 규제화의 딜레마 = 320  (3) 자기규제의 조종기제로서 법 = 321  2. 다층적 내레이션의 복원 = 322  3. 낯설게하기와 비틀어보기 = 324  [12] 환경오염 규제와 생태문학론 = 326  Ⅰ. 환경형법과 법문학의 필요성 = 326  Ⅱ. 환경형법의 성장 = 327  1. 위험사회와 형법의 확장 = 327  2. 위험형법으로서 환경형법 = 328  Ⅲ. 환경형법의 정당화근거에 대한 법문학적 분석 = 329  1. 윤리적 요청 = 330  (1) 생태윤리학의 접근방식 = 330  (2) 생태시학과 생명사상 = 330  (3) 환경재의 보호법익성 = 332  2. 도덕적 요청 = 333  (1) 생태사회주의와 경제적 불평등 = 333  (2) 사회적 억압 구조의 '상징'으로서 생태위기 = 334  (3) 환경형법의 사회법화 = 335  Ⅳ. 환경형법의 효율성 판단 = 335  1. 집행상의 결핍과 귀속의 어려움 = 335  2. 법익확장의 위험성: 윤리적 요청의 실패 = 336  3. 환경형법의 반생산성: 도덕적 요청의 실패 = 338  [13] 정상가족과 양성쓰기운동 = 340  Ⅰ. 양성쓰기의 소외성 = 340  Ⅱ. 정상가족의 이데올로기 = 341  Ⅲ. 가족의 다양성과 성의 폐지 = 343  [14] 노동문학과 노동패러다임 변화 = 345  Ⅰ. 노동패러다임의 변화 = 345  Ⅱ. 내레이션에 귀기울이기 = 347  Ⅲ. 상호주관적 노동개념 = 350  1. 해고제한의 예 = 350  2. 노동인격 = 351 작품색인 = 353 찾아보기 = 357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  적극적 평화체제 수립을 향한 복합 전략: 평화-인권-발전의 트라이앵글(2/5년차)
    평화의 인권·발전 효과와 한반도 : 적극적 평화체제 ...
    서보혁
    KINU(통일연구원), 2021
  • 가장 보통의 차별 :  취재 중에 만난 차별과 혐오의 얼굴들
    가장 보통의 차별 : 취재 중에 만난 차별과 혐오의 ...
    전혼잎
    느린서재, 2023
  • 열 가지 당부 : 십 대부터 알아야 할 노동 인권 이야기
    열 가지 당부 : 십 대부터 알아야 할 노동 인권 이야...
    하종강 [외]지음
    창비, 2020
  • 인권도 차별이 되나요? : '나는 괜찮다'고 여겼던 당신을 위한 인권사회학
    인권도 차별이 되나요? : '나는 괜찮다'고 여겼던 당...
    구정우
    북스톤, 2019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