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가정폭력범죄 =

김운회 저

책이미지
가정폭력범죄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운회
서명/저자사항가정폭력범죄 =Domestic violence :그 이론과 실제, 그리고 사례 /김운회 저
발행사항서울 :백산출판사,2006
형태사항428 p ;26cm
ISBN8977398606 93330
서지주기참고문헌: p. 414-421, 색인수록
내용주기제1편 가정폭력의 일반이론 제1장 가정폭력의 의의 = 19 제1절 가정폭력의 개념 = 19 1. 일반적 개념 = 20 2. 법적 개념 = 24 (1) 가정폭력범죄의 대상 = 24 (2) 가정폭력범죄의 범위 = 25 제2절 가정폭력의 유형 = 27 제2장 가정폭력의 역사 = 33 제1절 여성학대 = 34 1. 로마시대 = 34 2. 중세 기독교시대 = 36 3. 근세시대 = 37 (1) 영국보통법 = 38 (2) 프랑스법 = 39 (3) 미국법 = 39 제2절 유아살해와 아동학대 = 41 1. 고대사회 = 41 2. 중세 기독교시대 = 42 3. 근세시대(식민지시대의 미국) = 43 제3장 가정폭력의 이론적 배경 = 45 제1절 고전학파 = 46 1. 합리적 선택이론 = 47 2. 제지이론 = 47 제2절 실증학파 = 48 1. 생물학적 이론 = 49 2. 사회학적 이론 = 49 (1) 사회구조와 문화이론 = 5O (2) 성역할이론 = 53 3. 심리학적 이론 = 54 (1) 사회학습이론 = 54 (2) 사회통제이론 = 56 제3절 갈등학파 = 58 1. 가부장제이론 = 59 2. 성 불평등 = 60 제4절 다면적ㆍ생태학적 관점 = 62 제4장 가정폭력의 특성 및 폐해 = 65 제1절 가정폭력의 특성 = 65 1. 폭력의 은폐성 = 67 2. 폭력의 강화성 = 68 3. 폭력의 순환성 = 69 (1) 긴장의 고조단계 = 69 (2) 격심한 구타단계 = 70 (3) 화해단계 = 71 제2절 가정폭력의 유발요인 = 74 1. 사회적ㆍ문화적 요인 = 74 2. 가족적 요인 = 75 3. 개인적 요인 = 75 제3절 피해자와 가해자의 특성 = 78 1. 피해자의 특성 = 78 (1)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 78 (2) 피해자의 희생자화 과정 = 81 2. 가해자의 특성 = 83 (1) 가해자의 폭력유형 = 84 (2) 가해자의 심리적 특성 = 86 (3) 가해자의 행동적 특징 = 89 3. 피해자의 참고 사는 이유 = 93 (1) 피해자의 책임문제 = 93 (2) 피해자의 참고 사는 이유에 관한 이론 = 96 제4절 가정폭력의 폐해 = 105 1. 피해자에게 미치는 영향 = 105 2.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 108 3. 사회적 영향 = 111 (1) 폭력의 세대간 전수 = 111 (2) 피해자에 의한 가해자 살해 = 114 가정폭력 사례 = 119 제2편 가정폭력의 실태 제1장 아내학대 = 131 제1절 외국의 실태 = 132 1. 미국 = 132 2. 영국 = 134 3. 독일 = 136 4. 일본 = 138 제2절 우리나라의 실태 = 141 1. 폭력의 발생비율 = 141 (1) 부부폭력 발생률 = 141 (2) 폭력주체별 부부폭력 발생률 = 143 (3) 폭력정도별 부부폭력 발생률 = 145 2. 폭력의 발생빈도 = 146 (1) 폭력이 시작된 시기 = 146 (2) 폭력이 주로 일어나는 시간 및 빈도 = 148 3. 폭력의 발생상황 및 이유 = 149 (1) 폭력의 발생상황 = 149 (2) 폭력의 이유 = 151 4. 폭력의 방법과 피해정도 = 152 (1) 폭력의 방법 = 152 (2) 피해정도 = 155 5. 피해자의 대응방식 = 157 (1) 대응방식 = 157 (2) 경찰에의 신고 = 158 6. 헤어지지 못하는 이유 = 160 가정폭력 사례 = 162 제2장 아동학대 = 167 제1절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 167 제2절 아동학대의 개념 = 169 제3절 나이ㆍ성별 및 가해자와의 관계 = 170 1. 나이ㆍ성별과의 관계 = 170 2. 가해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 172 제4절 아동학대의 유형 = 173 1. 직접적 학대와 간접적 학대 = 173 (1) 직접적 학대 = 173 (2) 간접적 학대 = 174 2. 학대의 주요유형 = 174 (1) 신체적 학대 = 175 (2) 정서적 학대 = 175 (3) 성적 학대 = 176 (4) 방임 = 177 제5절 아동학대의 실태 = 180 1. 외국의 실태 = 180 (1) 미국 = 180 2. 우리나라의 실태 = 181 (1) 아동학대의 발생비율 = 182 (2) 아동학대의 신고접수 현황 = 182 (3) 학대유형별 현황 = 184 (4) 학대의 발생장소 = 189 (5) 피해아동의 성별 및 연령 = 190 (6) 피해아동의 가족유형 = 191 (7) 피해아동에 대한 조치 = 192 (8) 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 193 가정폭력 사례 = 195 제3장 노인학대 = 207 제1절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 = 207 제2절 노인학대의 개념 = 209 제3절 가해자와 피해노인과의 관계 = 210 1. 노인배우자 = 210 2. 성인자녀 = 211 제4절 노인학대의 유형 = 212 1. 가정학대와 시설학대 = 212 (1) 가정학대 = 212 (2) 시설학대 = 213 2. 학대의 주요유형 = 214 (1) 재정적 착취 = 214 (2) 속박의 오용 = 216 (3) 방임과 유기 = 217 (4) 자기방임과 자기학대 = 219 (5) 신체적 학대 = 220 (6) 심리적ㆍ정서적 학대 = 220 (7) 성적 학대 = 221 제5절 노인학대의 실태 = 224 1. 외국의 실태 = 224 2. 우리나라의 실태 = 225 (1) 노인학대의 발생비율 = 225 (2) 학대유형별 발생비율 = 226 (3) 학대의 발생빈도 = 227 (4) 학대의 이유 = 228 (5) 학대행위자와 피해노인과의 관계 = 229 (6) 신고자 = 229 (7) 피해노인의 대응방식 = 229 가정폭력 사례 = 231 제3편 가정폭력에 대한 통제 및 한계 제1장 국가개입에 의한 통제 = 241 제1절 국가개입의 필요성 = 241 제2절 경찰의 역할 = 243 제3절 경찰의 개입태도 = 246 제2장 각국의 통제 실태 = 249 제1절 외국 = 249 1. 미국 = 249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49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50 2. 영국 = 265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65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67 3. 독일 = 270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70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71 4. 일본 = 274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74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75 제2절 우리나라 = 277 1. 법적 근거 = 277 (1) 법제정의 의의 = 277 (2) 가정폭력특례법의 특징 = 279 2. 경찰의 조치 = 280 (1) 가정폭력특례법상의 경찰조치 = 280 (2) 경찰의 처리현황 = 288 3. 검찰의 조치 = 294 (1) 가정폭력사건에서의 검사의 역할 = 294 (2) 임시조치의 청구 = 294 (3) 가정보호사건 송치여부 결정 = 295 4. 법원의 조치 = 297 (1) 임시조치의 결정 = 297 (2) 심리의 비공개 = 298 (3) 보호처분 = 299 (4) 불처분 결정 = 303 제3장 통제의 한계 = 305 제1절 가정폭력에 대한 범죄인식 문제 = 305 1. 가정폭력에 관한 그릇된 통념 = 306 2. 가정폭력에 대한 범죄인식 부족 = 313 3. 가정폭력의 신고율 저조 = 314 제2절 경찰대응의 문제 = 317 1. 현장대응상의 문제 = 317 2. 수사과정상의 문제 = 321 제3절 가정폭력특례법의 비실효성 문제 = 323 1. 응급조치의 문제 = 324 2. 임시조치와 보호처분의 문제 = 325 가정폭력 사례 = 327 제4편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방안 제1장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의 전환 = 335 제1절 사회인식의 전환 = 335 제2절 신고의식의 강화 = 337 제3절 경찰의 인식전환 = 340 제2장 경찰 대응능력 제고 = 343 제1절 현장대응 능력의 제고 = 344 1. 신고접수 및 출동 = 344 2. 현장대응 = 345 (1) 가택출입 = 345 (2) 응급조치 = 346 (3) 현장조사 = 346 (4) 가해자 체포 및 증거의 확보 = 347 제2절 사후 면접조사 능력의 제고 = 348 1. 성인학대에 대한 조사 = 348 (1) 상호폭력의 경우 = 348 (2) 성인면접조사 = 350 (3) 피의자신문 = 352 2. 아동학대에 대한 조사 = 353 (1) 아동증언의 유효성 = 353 (2) 면접조사의 방법 = 355 (3) 면접조사의 진술녹화 = 357 (4) 인체인형의 활용 = 360 3. 노인학대에 대한 조사 = 361 (1) 조사시의 유의점 = 361 (2) 면접조사의 방법 = 361 제3장 가정폭력특례법의 실효성 확보 = 363 제1절 경찰응급조치의 개선 = 363 1. 경찰훈방권(중재조치) = 363 2. 격리조치 = 366 3. 체포조치 = 367 제2절 임시조치와 보호처분의 개선 = 370 제4장 가정폭력 예방활동의 강화 = 373 제1절 폭력적 사회문화의 개선 = 373 제2절 지역사회 공동체의 역할 강화 = 375 1. 지역사회 공동체의 개입 = 375 2. 관련기관의 상호 연계 = 377 제3절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활성화 = 379 1.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의의 = 379 2. 활성화 방안 = 382 (1) 대민봉사업무의 확대 = 382 (2) 시민의 참여 확대 = 384 (3)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 386 제5장 사회복지적 서비스 강화 = 389 제1절 피해자 보호 = 390 1. 긴급전화 = 390 2. 피해자보호시설 = 391 3. 피해자의 비밀보장 = 393 4. 안전예방조치 = 394 제2절 피해자 지원 = 397 1. 의료서비스 = 397 2. 상담서비스 = 399 3. 재활서비스 = 402 4. 아웃리치(찾아가는 서비스) = 403 제3절 가해자프로그램 = 405 가정폭력 사례 = 407 참고문헌 = 414 찾아보기 = 422
일반주제명가정 폭력 범죄[家庭暴力犯罪]
가격정보\2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559 364.1555 김67ㄱ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16825 364.1555 김67ㄱ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편 가정폭력의 일반이론  제1장 가정폭력의 의의 = 19  제1절 가정폭력의 개념 = 19  1. 일반적 개념 = 20  2. 법적 개념 = 24  (1) 가정폭력범죄의 대상 = 24  (2) 가정폭력범죄의 범위 = 25  제2절 가정폭력의 유형 = 27  제2장 가정폭력의 역사 = 33  제1절 여성학대 = 34  1. 로마시대 = 34  2. 중세 ...

목차 전체

제1편 가정폭력의 일반이론  제1장 가정폭력의 의의 = 19  제1절 가정폭력의 개념 = 19  1. 일반적 개념 = 20  2. 법적 개념 = 24  (1) 가정폭력범죄의 대상 = 24  (2) 가정폭력범죄의 범위 = 25  제2절 가정폭력의 유형 = 27  제2장 가정폭력의 역사 = 33  제1절 여성학대 = 34  1. 로마시대 = 34  2. 중세 기독교시대 = 36  3. 근세시대 = 37  (1) 영국보통법 = 38  (2) 프랑스법 = 39  (3) 미국법 = 39  제2절 유아살해와 아동학대 = 41  1. 고대사회 = 41  2. 중세 기독교시대 = 42  3. 근세시대(식민지시대의 미국) = 43  제3장 가정폭력의 이론적 배경 = 45  제1절 고전학파 = 46  1. 합리적 선택이론 = 47  2. 제지이론 = 47  제2절 실증학파 = 48  1. 생물학적 이론 = 49  2. 사회학적 이론 = 49  (1) 사회구조와 문화이론 = 5O  (2) 성역할이론 = 53  3. 심리학적 이론 = 54  (1) 사회학습이론 = 54  (2) 사회통제이론 = 56  제3절 갈등학파 = 58  1. 가부장제이론 = 59  2. 성 불평등 = 60  제4절 다면적ㆍ생태학적 관점 = 62  제4장 가정폭력의 특성 및 폐해 = 65  제1절 가정폭력의 특성 = 65  1. 폭력의 은폐성 = 67  2. 폭력의 강화성 = 68  3. 폭력의 순환성 = 69  (1) 긴장의 고조단계 = 69  (2) 격심한 구타단계 = 70  (3) 화해단계 = 71  제2절 가정폭력의 유발요인 = 74  1. 사회적ㆍ문화적 요인 = 74  2. 가족적 요인 = 75  3. 개인적 요인 = 75  제3절 피해자와 가해자의 특성 = 78  1. 피해자의 특성 = 78  (1)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 78  (2) 피해자의 희생자화 과정 = 81  2. 가해자의 특성 = 83  (1) 가해자의 폭력유형 = 84  (2) 가해자의 심리적 특성 = 86  (3) 가해자의 행동적 특징 = 89  3. 피해자의 참고 사는 이유 = 93  (1) 피해자의 책임문제 = 93  (2) 피해자의 참고 사는 이유에 관한 이론 = 96  제4절 가정폭력의 폐해 = 105  1. 피해자에게 미치는 영향 = 105  2.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 108  3. 사회적 영향 = 111  (1) 폭력의 세대간 전수 = 111  (2) 피해자에 의한 가해자 살해 = 114  가정폭력 사례 = 119 제2편 가정폭력의 실태  제1장 아내학대 = 131  제1절 외국의 실태 = 132  1. 미국 = 132  2. 영국 = 134  3. 독일 = 136  4. 일본 = 138  제2절 우리나라의 실태 = 141  1. 폭력의 발생비율 = 141  (1) 부부폭력 발생률 = 141  (2) 폭력주체별 부부폭력 발생률 = 143  (3) 폭력정도별 부부폭력 발생률 = 145  2. 폭력의 발생빈도 = 146  (1) 폭력이 시작된 시기 = 146  (2) 폭력이 주로 일어나는 시간 및 빈도 = 148  3. 폭력의 발생상황 및 이유 = 149  (1) 폭력의 발생상황 = 149  (2) 폭력의 이유 = 151  4. 폭력의 방법과 피해정도 = 152  (1) 폭력의 방법 = 152  (2) 피해정도 = 155  5. 피해자의 대응방식 = 157  (1) 대응방식 = 157  (2) 경찰에의 신고 = 158  6. 헤어지지 못하는 이유 = 160  가정폭력 사례 = 162  제2장 아동학대 = 167  제1절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 167  제2절 아동학대의 개념 = 169  제3절 나이ㆍ성별 및 가해자와의 관계 = 170  1. 나이ㆍ성별과의 관계 = 170  2. 가해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 172  제4절 아동학대의 유형 = 173  1. 직접적 학대와 간접적 학대 = 173  (1) 직접적 학대 = 173  (2) 간접적 학대 = 174  2. 학대의 주요유형 = 174  (1) 신체적 학대 = 175  (2) 정서적 학대 = 175  (3) 성적 학대 = 176  (4) 방임 = 177  제5절 아동학대의 실태 = 180  1. 외국의 실태 = 180  (1) 미국 = 180  2. 우리나라의 실태 = 181  (1) 아동학대의 발생비율 = 182  (2) 아동학대의 신고접수 현황 = 182  (3) 학대유형별 현황 = 184  (4) 학대의 발생장소 = 189  (5) 피해아동의 성별 및 연령 = 190  (6) 피해아동의 가족유형 = 191  (7) 피해아동에 대한 조치 = 192  (8) 학대행위자와 피해아동과의 관계 = 193  가정폭력 사례 = 195  제3장 노인학대 = 207  제1절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 = 207  제2절 노인학대의 개념 = 209  제3절 가해자와 피해노인과의 관계 = 210  1. 노인배우자 = 210  2. 성인자녀 = 211  제4절 노인학대의 유형 = 212  1. 가정학대와 시설학대 = 212  (1) 가정학대 = 212  (2) 시설학대 = 213  2. 학대의 주요유형 = 214  (1) 재정적 착취 = 214  (2) 속박의 오용 = 216  (3) 방임과 유기 = 217  (4) 자기방임과 자기학대 = 219  (5) 신체적 학대 = 220  (6) 심리적ㆍ정서적 학대 = 220  (7) 성적 학대 = 221  제5절 노인학대의 실태 = 224  1. 외국의 실태 = 224  2. 우리나라의 실태 = 225  (1) 노인학대의 발생비율 = 225  (2) 학대유형별 발생비율 = 226  (3) 학대의 발생빈도 = 227  (4) 학대의 이유 = 228  (5) 학대행위자와 피해노인과의 관계 = 229  (6) 신고자 = 229  (7) 피해노인의 대응방식 = 229  가정폭력 사례 = 231 제3편 가정폭력에 대한 통제 및 한계  제1장 국가개입에 의한 통제 = 241  제1절 국가개입의 필요성 = 241  제2절 경찰의 역할 = 243  제3절 경찰의 개입태도 = 246  제2장 각국의 통제 실태 = 249  제1절 외국 = 249  1. 미국 = 249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49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50  2. 영국 = 265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65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67  3. 독일 = 270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70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71  4. 일본 = 274  (1)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 274  (2)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 = 275  제2절 우리나라 = 277  1. 법적 근거 = 277  (1) 법제정의 의의 = 277  (2) 가정폭력특례법의 특징 = 279  2. 경찰의 조치 = 280  (1) 가정폭력특례법상의 경찰조치 = 280  (2) 경찰의 처리현황 = 288  3. 검찰의 조치 = 294  (1) 가정폭력사건에서의 검사의 역할 = 294  (2) 임시조치의 청구 = 294  (3) 가정보호사건 송치여부 결정 = 295  4. 법원의 조치 = 297  (1) 임시조치의 결정 = 297  (2) 심리의 비공개 = 298  (3) 보호처분 = 299  (4) 불처분 결정 = 303  제3장 통제의 한계 = 305  제1절 가정폭력에 대한 범죄인식 문제 = 305  1. 가정폭력에 관한 그릇된 통념 = 306  2. 가정폭력에 대한 범죄인식 부족 = 313  3. 가정폭력의 신고율 저조 = 314  제2절 경찰대응의 문제 = 317  1. 현장대응상의 문제 = 317  2. 수사과정상의 문제 = 321  제3절 가정폭력특례법의 비실효성 문제 = 323  1. 응급조치의 문제 = 324  2. 임시조치와 보호처분의 문제 = 325  가정폭력 사례 = 327 제4편 가정폭력에 대한 대응방안  제1장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의 전환 = 335  제1절 사회인식의 전환 = 335  제2절 신고의식의 강화 = 337  제3절 경찰의 인식전환 = 340  제2장 경찰 대응능력 제고 = 343  제1절 현장대응 능력의 제고 = 344  1. 신고접수 및 출동 = 344  2. 현장대응 = 345  (1) 가택출입 = 345  (2) 응급조치 = 346  (3) 현장조사 = 346  (4) 가해자 체포 및 증거의 확보 = 347  제2절 사후 면접조사 능력의 제고 = 348  1. 성인학대에 대한 조사 = 348  (1) 상호폭력의 경우 = 348  (2) 성인면접조사 = 350  (3) 피의자신문 = 352  2. 아동학대에 대한 조사 = 353  (1) 아동증언의 유효성 = 353  (2) 면접조사의 방법 = 355  (3) 면접조사의 진술녹화 = 357  (4) 인체인형의 활용 = 360  3. 노인학대에 대한 조사 = 361  (1) 조사시의 유의점 = 361  (2) 면접조사의 방법 = 361  제3장 가정폭력특례법의 실효성 확보 = 363  제1절 경찰응급조치의 개선 = 363  1. 경찰훈방권(중재조치) = 363  2. 격리조치 = 366  3. 체포조치 = 367  제2절 임시조치와 보호처분의 개선 = 370  제4장 가정폭력 예방활동의 강화 = 373  제1절 폭력적 사회문화의 개선 = 373  제2절 지역사회 공동체의 역할 강화 = 375  1. 지역사회 공동체의 개입 = 375  2. 관련기관의 상호 연계 = 377  제3절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활성화 = 379  1.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의의 = 379  2. 활성화 방안 = 382  (1) 대민봉사업무의 확대 = 382  (2) 시민의 참여 확대 = 384  (3) 문제지향적 경찰활동 = 386  제5장 사회복지적 서비스 강화 = 389  제1절 피해자 보호 = 390  1. 긴급전화 = 390  2. 피해자보호시설 = 391  3. 피해자의 비밀보장 = 393  4. 안전예방조치 = 394  제2절 피해자 지원 = 397  1. 의료서비스 = 397  2. 상담서비스 = 399  3. 재활서비스 = 402  4. 아웃리치(찾아가는 서비스) = 403  제3절 가해자프로그램 = 405  가정폭력 사례 = 407 참고문헌 = 414 찾아보기 = 422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 지리의 힘 . 1-2
    지리의 힘 . 1-2
    팀 마샬 지음
    사이, 20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