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한반도 평화안보론 /

김강녕 지음

책이미지
한반도 평화안보론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강녕
서명/저자사항한반도 평화안보론 /김강녕 지음
발행사항부산 :신지서원,2006
형태사항462p ;23cm
ISBN8955311265 93340
서지주기참고문헌: p. 441-458, 색인수록
내용주기제1부 주변국의 세계전략과 한반도 제1장 미중의 협력ㆍ갈등과 한국의 대응과제 = 15 Ⅰ. 서론 = 15 Ⅱ. 한국의 미중협력강화방안 = 19 1. 미국의 세계전략과 대중정책 = 19 2. 중국과 미국의 갈등ㆍ협력요인 = 22 3. 주요 사안별 협력강화방안 = 26 Ⅲ. 한국의 미중갈등 방지방안 = 32 Ⅳ. 동북아 평화번영체제 구축방안 = 44 Ⅴ. 통일한국 달성을 위한 정책적 고려요소 = 52 1. 미중과 한반도 통일 = 52 2. 통일의 조건과 우리의 대비 = 60 Ⅵ. 결론 = 64 제2장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북미관계의 전망 = 69 Ⅰ. 문제의 제기 = 69 Ⅱ. 미국의 신안보 및 동아시아 전략 = 73 1. 미국의 신안보전략 = 73 2.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 76 Ⅲ. 북미관계의 전개와 주요 현안문제 = 78 1. 북미관계의 전개와 정책목표 = 78 2. 북미관계의 주요 현안문제 = 82 Ⅳ. 북미관계의 전망 = 90 Ⅴ. 결론 = 95 제3장 북미관계의 현황과 전망 = 99 Ⅰ. 서론 = 99 Ⅱ. 북미관계의 전개과정 = 101 1. 냉전적 관계 = 101 2. 비공식적 관계 = 103 3. 공식적 관계 = 104 Ⅲ. 북한과 미국의 정책목표와 인식 = 107 1. 북한의 대미정책목표와 추진방향 = 107 2. 미국의 대북정책기조와 인식 = 110 Ⅳ. 북미관계의 현안쟁점 = 113 1. 제네바합의 이후 북한 핵문제 = 113 2. 미사일문제 = 115 3. 화생무기문제 = 116 4. 재래식 무기문제 = 117 5. 대북경제제재 해제와 관계정상화 문제 = 119 6. 북미평화협정 체결과 4자회담 = 120 7. 미군유해송환문제 = 122 8. 북한 인권문제 = 123 Ⅴ. 북미관계의 전망 = 124 Ⅵ. 결론: 우리의 대응 = 128 제4장 독도문제와 독도의 전략적 중요성 = 133 Ⅰ. 문제의 제기 = 133 Ⅱ. 독도의 현황과 가치 = 136 1. 독도의 현황 = 136 2. 독도의 가치 = 138 Ⅲ. 일본의 독도분쟁화와 한국의 대일 신독트린 = 144 1. 일본의 독도분쟁화와 도발의 저의 = 144 2. '다케시마의 날' 조례제정과 한국의 대일 신독트린 = 150 Ⅳ. 독도의 전략적 중요성과 군사적 대비 = 153 1. 독도의 전략적 중요성 = 153 2. 군사적 대비의 필요성 = 157 Ⅴ. 결론 = 161 제2부 북한의 안보위협과 한국군의 능력 제5장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한국의 안보 = 167 Ⅰ. 문제의 제기 = 167 Ⅱ. 대량살상무기의 개념과 특성 = 169 Ⅲ.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현황 = 172 1. 핵무기 개발 현황 = 172 2. 화생무기 개발 현황 = 176 3. 중ㆍ장거리미사일 개발 현황 = 180 Ⅳ.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한국의 안보 = 183 Ⅴ. 결론: 한국의 대응 = 187 제6장 북한의 핵문제와 관련국의 정책 = 189 Ⅰ. 문제의 제기 = 189 Ⅱ. 북한의 핵개발 능력과 의도 = 192 Ⅲ. 북한 핵문제와 관련국의 정책 및 입장 = 196 Ⅳ. 북한 핵문제와 한국의 안보 = 202 1. 북한 핵과 한반도 = 202 2. 한국의 안보적 대응 = 204 Ⅴ. 전망 및 결어 = 207 제7장 북한의 인권실태와 우리의 대응 = 211 Ⅰ. 문제의 제기 = 211 Ⅱ. 인권의 개념과 북한 체제의 특성 = 215 Ⅲ. 북한의 인권실태 = 221 1. 기본권의 침해 = 222 2. 심각한 식량난 = 225 3. 줄 잇는 탈북자 행렬 = 229 Ⅳ. 우리의 대응전략 = 232 1. UN에서의 북한 인권문제 제기 = 233 2. 향후 우리의 대응책 = 234 Ⅴ. 결론 = 239 제8장 자주적 대북억제를 위한 적정 군사력 수준 = 243 Ⅰ. 문제의 제기 = 243 Ⅱ. 북한의 정세와 군사적 위협 = 245 1. 북한의 일반정세와 대남전략 = 245 2. 북한의 군사위협 평가 = 245 Ⅲ. 억제와 자주국방의 개념 = 253 1. 억제의 개념 = 253 2. 자주국방의 개념 = 255 3. 참여정부의 자주국방 목표와 추진방향 = 257 Ⅳ. 자주적 대북억제 적정 군사력 수준 = 259 1. 억제능력의 필요성과 조건 = 259 2. 자주적 대북억제 적정 군사력 수준에 대한 논의 = 261 Ⅴ. 결론 = 266 제9장 한국군의 세계적 위상과 능력 = 269 Ⅰ. 서론 = 269 Ⅱ. 한국군의 창설과 발전단계 = 271 Ⅲ. 협력적 자주국방과 대외군사관계의 발전 = 276 1. 협력적 자주국방의 추진 = 276 2. 대외군사관계의 발전 = 278 3. 다자안보협력과 국제군비통제활동 = 286 Ⅳ. 세계 속의 한국군의 위상과 능력 = 288 1. 주변국의 군사력 = 288 2. 한국군의 위상과 자위능력 = 292 Ⅴ. 결론 = 298 제10장 한미동맹의 발전과 향후과제 = 301 Ⅰ. 문제의 제기 = 301 Ⅱ. 한미동맹과 안보협력체제의 발전 = 304 1.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 304 2. 한미안보협력 및 연합방위체제의 발전 = 310 Ⅲ. 미국의 안보전략 변화와 주한미군 재배치 = 312 1. 미국의 안보전략 변화 = 312 2. 주한미군 재배치와 감축 = 313 Ⅳ. 협력적 자주국방의 개념과 방향 = 320 1. 추진배경과 개념 = 320 2. 목표 및 추진항향 = 323 Ⅴ. 주한미군 재편에 따른 한미동맹의 향후 과제 = 325 Ⅵ. 결론 = 333 제3부 한국의 통일ㆍ안보를 위한 과제 제11장 노블레스 오블리제와 국가의 흥망 = 339 Ⅰ. 서론: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개념 = 339 Ⅱ. 로마의 흥망과 노블레스 오블리제 = 343 Ⅲ.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주요 사례 = 350 Ⅳ. 한국의 흥망과 노블레스 오블리제 = 358 Ⅴ. 결론 = 365 제12장 미래안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군사력 건설방향 = 369 Ⅰ. 서론 = 369 Ⅱ. 21세기의 안보환경 = 371 1. 국제안보환경 = 371 2. 동북아 정세 = 373 3. 한반도 안보환경 = 378 Ⅲ. 한국의 군사력 건설방향과 국방투자의 필요성 = 381 1. 한국의 군사력 건설방향 = 381 2. 첨단정보과학군 건설과 적장국방비 확보의 필요성 = 386 Ⅳ. 결론 = 390 제13장 평화통일과 국민화합 = 393 Ⅰ. 서론 = 393 Ⅱ. 평화통일의 당위성과 의의 = 395 Ⅲ. 남남갈등의 주요 쟁점과 이념갈등 = 401 1. 남남갈등의 주요 쟁점 = 401 2. 평화통일논리와 이념적 갈등 = 404 Ⅳ. 국민적 합의 형성과 남남갈등의 해소 = 409 1. 국민적 합의 형성 = 409 2. 남남갈등의 해소 = 410 3. 국민화합의 필요성과 과제 = 414 Ⅴ. 결론 = 417 제14장 남북통일을 위한 준비 = 421 Ⅰ. 서론 = 421 Ⅱ. 통일의 당위성 = 423 Ⅲ. 정신적 준비: 남남화합과 남북갈등 해소방안 = 426 1. 남남화합방안 = 426 2. 남북갈등 해소방안 = 429 Ⅳ. 물질적 준비: 통일비용 조달 = 430 Ⅴ. 통일과 안보의 조화 = 434 Ⅵ. 결론 = 437 참고문헌 = 441 찾아보기 = 459
일반주제명남북한 관계[南北韓關係]
남북 통일 문제[南北統一問題]
통일 정책[統一政策]
비통제주제어한반도문제,동북아평화,통일,북미관계
가격정보\2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323 327.172 김11ㅎ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부 주변국의 세계전략과 한반도 제1장 미중의 협력ㆍ갈등과 한국의 대응과제 = 15 Ⅰ. 서론 = 15 Ⅱ. 한국의 미중협력강화방안 = 19 1. 미국의 세계전략과 대중정책 = 19 2. 중국과 미국의 갈등ㆍ협력요인 = 22 3. 주요 사안별 협력강화방안 = 26 Ⅲ. 한국의 미중갈등 방지방안 = 32 Ⅳ. 동북아 평화번영체제 구축방안 = 44 Ⅴ. 통일...

목차 전체

제1부 주변국의 세계전략과 한반도 제1장 미중의 협력ㆍ갈등과 한국의 대응과제 = 15 Ⅰ. 서론 = 15 Ⅱ. 한국의 미중협력강화방안 = 19 1. 미국의 세계전략과 대중정책 = 19 2. 중국과 미국의 갈등ㆍ협력요인 = 22 3. 주요 사안별 협력강화방안 = 26 Ⅲ. 한국의 미중갈등 방지방안 = 32 Ⅳ. 동북아 평화번영체제 구축방안 = 44 Ⅴ. 통일한국 달성을 위한 정책적 고려요소 = 52 1. 미중과 한반도 통일 = 52 2. 통일의 조건과 우리의 대비 = 60 Ⅵ. 결론 = 64 제2장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북미관계의 전망 = 69 Ⅰ. 문제의 제기 = 69 Ⅱ. 미국의 신안보 및 동아시아 전략 = 73 1. 미국의 신안보전략 = 73 2.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 76 Ⅲ. 북미관계의 전개와 주요 현안문제 = 78 1. 북미관계의 전개와 정책목표 = 78 2. 북미관계의 주요 현안문제 = 82 Ⅳ. 북미관계의 전망 = 90 Ⅴ. 결론 = 95 제3장 북미관계의 현황과 전망 = 99 Ⅰ. 서론 = 99 Ⅱ. 북미관계의 전개과정 = 101 1. 냉전적 관계 = 101 2. 비공식적 관계 = 103 3. 공식적 관계 = 104 Ⅲ. 북한과 미국의 정책목표와 인식 = 107 1. 북한의 대미정책목표와 추진방향 = 107 2. 미국의 대북정책기조와 인식 = 110 Ⅳ. 북미관계의 현안쟁점 = 113 1. 제네바합의 이후 북한 핵문제 = 113 2. 미사일문제 = 115 3. 화생무기문제 = 116 4. 재래식 무기문제 = 117 5. 대북경제제재 해제와 관계정상화 문제 = 119 6. 북미평화협정 체결과 4자회담 = 120 7. 미군유해송환문제 = 122 8. 북한 인권문제 = 123 Ⅴ. 북미관계의 전망 = 124 Ⅵ. 결론: 우리의 대응 = 128 제4장 독도문제와 독도의 전략적 중요성 = 133 Ⅰ. 문제의 제기 = 133 Ⅱ. 독도의 현황과 가치 = 136 1. 독도의 현황 = 136 2. 독도의 가치 = 138 Ⅲ. 일본의 독도분쟁화와 한국의 대일 신독트린 = 144 1. 일본의 독도분쟁화와 도발의 저의 = 144 2. '다케시마의 날' 조례제정과 한국의 대일 신독트린 = 150 Ⅳ. 독도의 전략적 중요성과 군사적 대비 = 153 1. 독도의 전략적 중요성 = 153 2. 군사적 대비의 필요성 = 157 Ⅴ. 결론 = 161 제2부 북한의 안보위협과 한국군의 능력 제5장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한국의 안보 = 167 Ⅰ. 문제의 제기 = 167 Ⅱ. 대량살상무기의 개념과 특성 = 169 Ⅲ.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현황 = 172 1. 핵무기 개발 현황 = 172 2. 화생무기 개발 현황 = 176 3. 중ㆍ장거리미사일 개발 현황 = 180 Ⅳ. 북한의 대량살상무기와 한국의 안보 = 183 Ⅴ. 결론: 한국의 대응 = 187 제6장 북한의 핵문제와 관련국의 정책 = 189 Ⅰ. 문제의 제기 = 189 Ⅱ. 북한의 핵개발 능력과 의도 = 192 Ⅲ. 북한 핵문제와 관련국의 정책 및 입장 = 196 Ⅳ. 북한 핵문제와 한국의 안보 = 202 1. 북한 핵과 한반도 = 202 2. 한국의 안보적 대응 = 204 Ⅴ. 전망 및 결어 = 207 제7장 북한의 인권실태와 우리의 대응 = 211 Ⅰ. 문제의 제기 = 211 Ⅱ. 인권의 개념과 북한 체제의 특성 = 215 Ⅲ. 북한의 인권실태 = 221 1. 기본권의 침해 = 222 2. 심각한 식량난 = 225 3. 줄 잇는 탈북자 행렬 = 229 Ⅳ. 우리의 대응전략 = 232 1. UN에서의 북한 인권문제 제기 = 233 2. 향후 우리의 대응책 = 234 Ⅴ. 결론 = 239 제8장 자주적 대북억제를 위한 적정 군사력 수준 = 243 Ⅰ. 문제의 제기 = 243 Ⅱ. 북한의 정세와 군사적 위협 = 245 1. 북한의 일반정세와 대남전략 = 245 2. 북한의 군사위협 평가 = 245 Ⅲ. 억제와 자주국방의 개념 = 253 1. 억제의 개념 = 253 2. 자주국방의 개념 = 255 3. 참여정부의 자주국방 목표와 추진방향 = 257 Ⅳ. 자주적 대북억제 적정 군사력 수준 = 259 1. 억제능력의 필요성과 조건 = 259 2. 자주적 대북억제 적정 군사력 수준에 대한 논의 = 261 Ⅴ. 결론 = 266 제9장 한국군의 세계적 위상과 능력 = 269 Ⅰ. 서론 = 269 Ⅱ. 한국군의 창설과 발전단계 = 271 Ⅲ. 협력적 자주국방과 대외군사관계의 발전 = 276 1. 협력적 자주국방의 추진 = 276 2. 대외군사관계의 발전 = 278 3. 다자안보협력과 국제군비통제활동 = 286 Ⅳ. 세계 속의 한국군의 위상과 능력 = 288 1. 주변국의 군사력 = 288 2. 한국군의 위상과 자위능력 = 292 Ⅴ. 결론 = 298 제10장 한미동맹의 발전과 향후과제 = 301 Ⅰ. 문제의 제기 = 301 Ⅱ. 한미동맹과 안보협력체제의 발전 = 304 1.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 304 2. 한미안보협력 및 연합방위체제의 발전 = 310 Ⅲ. 미국의 안보전략 변화와 주한미군 재배치 = 312 1. 미국의 안보전략 변화 = 312 2. 주한미군 재배치와 감축 = 313 Ⅳ. 협력적 자주국방의 개념과 방향 = 320 1. 추진배경과 개념 = 320 2. 목표 및 추진항향 = 323 Ⅴ. 주한미군 재편에 따른 한미동맹의 향후 과제 = 325 Ⅵ. 결론 = 333 제3부 한국의 통일ㆍ안보를 위한 과제 제11장 노블레스 오블리제와 국가의 흥망 = 339 Ⅰ. 서론: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개념 = 339 Ⅱ. 로마의 흥망과 노블레스 오블리제 = 343 Ⅲ. 노블레스 오블리제의 주요 사례 = 350 Ⅳ. 한국의 흥망과 노블레스 오블리제 = 358 Ⅴ. 결론 = 365 제12장 미래안보환경 변화와 한국의 군사력 건설방향 = 369 Ⅰ. 서론 = 369 Ⅱ. 21세기의 안보환경 = 371 1. 국제안보환경 = 371 2. 동북아 정세 = 373 3. 한반도 안보환경 = 378 Ⅲ. 한국의 군사력 건설방향과 국방투자의 필요성 = 381 1. 한국의 군사력 건설방향 = 381 2. 첨단정보과학군 건설과 적장국방비 확보의 필요성 = 386 Ⅳ. 결론 = 390 제13장 평화통일과 국민화합 = 393 Ⅰ. 서론 = 393 Ⅱ. 평화통일의 당위성과 의의 = 395 Ⅲ. 남남갈등의 주요 쟁점과 이념갈등 = 401 1. 남남갈등의 주요 쟁점 = 401 2. 평화통일논리와 이념적 갈등 = 404 Ⅳ. 국민적 합의 형성과 남남갈등의 해소 = 409 1. 국민적 합의 형성 = 409 2. 남남갈등의 해소 = 410 3. 국민화합의 필요성과 과제 = 414 Ⅴ. 결론 = 417 제14장 남북통일을 위한 준비 = 421 Ⅰ. 서론 = 421 Ⅱ. 통일의 당위성 = 423 Ⅲ. 정신적 준비: 남남화합과 남북갈등 해소방안 = 426 1. 남남화합방안 = 426 2. 남북갈등 해소방안 = 429 Ⅳ. 물질적 준비: 통일비용 조달 = 430 Ⅴ. 통일과 안보의 조화 = 434 Ⅵ. 결론 = 437 참고문헌 = 441 찾아보기 = 459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