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세계화시대 국제관계 :

김용호 지음

책이미지
세계화시대 국제관계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용호
서명/저자사항세계화시대 국제관계 :동아시아적 이해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global era : an east Asian perspective /김용호 지음
발행사항서울 :오름,2006
형태사항247p :도표 ;23cm
ISBN8977782597 93340
서지주기색인수록
내용주기머리말 = 5 제1강좌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를 왜 배워야 하나? = 11 제2강좌 국제관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23 Ⅰ. 분석수준이란 무엇인가 = 24 Ⅱ. 사례분석 = 30 Ⅲ. 국제관계의 분석과 분석수준 = 39 제3강좌 국제관계의 개념과 이론 = 43 Ⅰ. 국제관계의 주요 개념들 = 43 Ⅱ. 국제정치이론의 태동 = 49 Ⅲ.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 51 Ⅳ.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그리고 구성주의 = 55 제4강좌 스핀닥터와 국제관계 = 63 Ⅰ. 스핀닥터와 그 역할 = 63 Ⅱ. 대통령의 대언론관계 = 65 Ⅲ. 언론의 속성과 정부-언론관계 = 73 제5강좌 세계화시대 정부의 대언론정책 = 79 Ⅰ. 한국언론의 매체별 영향력 = 80 Ⅱ. 프레임이론과 스핀닥터 = 87 Ⅲ. 한국정부의 대언론정책 = 98 제6강좌 탈냉전기에 있어 국제관계에 대한 새로운 논의들 = 107 Ⅰ. 지구촌 형성은 가능한 것인가 = 108 Ⅱ. 안보와 국익의 개념변화 = 111 Ⅲ. 미국의 군사개입 = 114 Ⅳ. 네오콘, 민족주의, 테러리즘 = 120 Ⅴ. 국내정치의 영향력 확대 = 123 제7강좌 세계화시대 국제관계의 이해와 보수진보 논쟁 = 125 Ⅰ. 한국사회의 세대구성과 안보관의 변화 = 126 Ⅱ. 보수진보 논쟁과 외교안보 = 131 Ⅲ. 보수진보와 국제관계의 이해 = 137 제8강좌 동아시아적 가치논쟁과 동북아 안보질서 = 139 Ⅰ. 왜 동아시아적 가치논쟁이 필요한가? = 139 Ⅱ. 동아시아적 가치논쟁의 흐름과 동북아 안보질서구축 = 141 Ⅲ. 국제관계이론과 동북아 안보질서구축에 대한 논의 = 147 제9강좌 동북아 안보질서 구축과 국제정치이론의 서구적 편향 = 159 Ⅰ. 신자유주의적 편향: 칸트적 평화론의 비판적 고찰 = 159 Ⅱ. 신현실주의 이론의 편향과 중국위협론의 비판 = 172 Ⅲ. 구성주의 이론적용의 제한성 = 178 Ⅳ. 아시아적 가치가 반영된 동아시아안보 = 182 제10강좌 한반도 안보의 변수들 = 185 Ⅰ. 한반도의 지정학적 배경과 역사 = 185 Ⅱ. 주한미군 = 189Ⅲ. 북한 핵문제 = 193 Ⅳ. 북한의 대내정치 = 202 제11강좌 동북아 안보의 향후 구도와 통일 한반도의 안보전략 = 207 Ⅰ. 향후 동북아 안보를 규정할 변수들 = 207 Ⅱ. 설문조사결과 = 217 Ⅲ. 통일한국의 안보전략 = 234 색인 = 237 지은이 소개 = 247
일반주제명국제 관계[國際關係]
비통제주제어세계화시대,국제정치,대언론정책,한국사회,동북아안보질서
가격정보\1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133 327 김66ㅅ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머리말 = 5 제1강좌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를 왜 배워야 하나? = 11 제2강좌 국제관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23 Ⅰ. 분석수준이란 무엇인가 = 24 Ⅱ. 사례분석 = 30 Ⅲ. 국제관계의 분석과 분석수준 = 39 제3강좌 국제관계의 개념과 이론 = 43 Ⅰ. 국제관계의 주요 개념들 = 43 Ⅱ. 국제정치이론의 태동 = 49 Ⅲ. 현실주의와 자유주...

목차 전체

머리말 = 5 제1강좌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를 왜 배워야 하나? = 11 제2강좌 국제관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23 Ⅰ. 분석수준이란 무엇인가 = 24 Ⅱ. 사례분석 = 30 Ⅲ. 국제관계의 분석과 분석수준 = 39 제3강좌 국제관계의 개념과 이론 = 43 Ⅰ. 국제관계의 주요 개념들 = 43 Ⅱ. 국제정치이론의 태동 = 49 Ⅲ.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 51 Ⅳ.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그리고 구성주의 = 55 제4강좌 스핀닥터와 국제관계 = 63 Ⅰ. 스핀닥터와 그 역할 = 63 Ⅱ. 대통령의 대언론관계 = 65 Ⅲ. 언론의 속성과 정부-언론관계 = 73 제5강좌 세계화시대 정부의 대언론정책 = 79 Ⅰ. 한국언론의 매체별 영향력 = 80 Ⅱ. 프레임이론과 스핀닥터 = 87 Ⅲ. 한국정부의 대언론정책 = 98 제6강좌 탈냉전기에 있어 국제관계에 대한 새로운 논의들 = 107 Ⅰ. 지구촌 형성은 가능한 것인가 = 108 Ⅱ. 안보와 국익의 개념변화 = 111 Ⅲ. 미국의 군사개입 = 114 Ⅳ. 네오콘, 민족주의, 테러리즘 = 120 Ⅴ. 국내정치의 영향력 확대 = 123 제7강좌 세계화시대 국제관계의 이해와 보수진보 논쟁 = 125 Ⅰ. 한국사회의 세대구성과 안보관의 변화 = 126 Ⅱ. 보수진보 논쟁과 외교안보 = 131 Ⅲ. 보수진보와 국제관계의 이해 = 137 제8강좌 동아시아적 가치논쟁과 동북아 안보질서 = 139 Ⅰ. 왜 동아시아적 가치논쟁이 필요한가? = 139 Ⅱ. 동아시아적 가치논쟁의 흐름과 동북아 안보질서구축 = 141 Ⅲ. 국제관계이론과 동북아 안보질서구축에 대한 논의 = 147 제9강좌 동북아 안보질서 구축과 국제정치이론의 서구적 편향 = 159 Ⅰ. 신자유주의적 편향: 칸트적 평화론의 비판적 고찰 = 159 Ⅱ. 신현실주의 이론의 편향과 중국위협론의 비판 = 172 Ⅲ. 구성주의 이론적용의 제한성 = 178 Ⅳ. 아시아적 가치가 반영된 동아시아안보 = 182 제10강좌 한반도 안보의 변수들 = 185 Ⅰ. 한반도의 지정학적 배경과 역사 = 185 Ⅱ. 주한미군 = 189Ⅲ. 북한 핵문제 = 193 Ⅳ. 북한의 대내정치 = 202 제11강좌 동북아 안보의 향후 구도와 통일 한반도의 안보전략 = 207 Ⅰ. 향후 동북아 안보를 규정할 변수들 = 207 Ⅱ. 설문조사결과 = 217 Ⅲ. 통일한국의 안보전략 = 234 색인 = 237 지은이 소개 = 247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 주석 형법 :  총칙 . 1-2
    주석 형법 : 총칙 . 1-2
    박상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20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