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민주주의와 권위 /

박효종 저

책이미지
민주주의와 권위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박효종
서명/저자사항민주주의와 권위 /박효종 저
발행사항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2006
형태사항xxi, 939p ;23cm
총서사항기초교육교재 시리즈 ;4
ISBN895210692X 93340
서지주기참고문헌(p. 909-923)과 찾아보기(p. 925-938)수록
내용주기제 1장. 민주주의와 정치적 권위 = 1 I. 민주적 대표자의 권위 = 4 II. 통치와 피통치에 관한 두 가지 관점 = 7 III. 전문영역으로서의 권위영역 = 10 IV. 민주적 권위 소지자들이 행사하는 권위의 모델: 복합절차주의 모델 = 17 1. '순수절차주의'로서의 정치권위 = 19 2. '복합절차주의'로서의 정치권위 = 22 제 1 부 민주적 권위 제 2장. 정치적 권위와 전문적 권위 = 31 I. 리어 왕의 이야기 = 33 II. 권위와 권력 = 37 III. 권위의 본질: '배제적 근거'와 '선취적 근거' = 44 IV. '1차적 근거'와 '2차적 근거' = 50 V. 권위의 정당화: 의존성 명제와 정상적 정당화명제 및 봉사성 개념 = 62 1. 권위의 정당화로서 ' 올바른 이성' = 68 2. 정치적 권위는 '충고'의 범주로 환원될 수 있는가 = 74 VII. '협력을 위한 권위' 정당화의 한 사례: 권위와 합의 = 79 1. 정치적 권위: '협력을 위한 권위'와 '동의에 의한 권위' = 82 VIII. 전문가의 권위 = 89 IX. 전문가 권위의 본질: 판단의 사용과 '열린 권위' =93 X. 라즈의 정치적 권위는 실제로는 '전문가 권위' = 99 XI. 설득을 위한 전문가의 권위 = 105 제 3장. 민주적 권위 모델: 복합절차주의 모델 = 113 I. 민주주의와 절차주의 = 116 1. 순수절차 = 121 2. 완전절차 = 124 II. 순수절차주의는 민주적 권위 모델로서 왜 매력적인가 = 130 III. 절차주의는 중립적인가 혹은 불편부당한가 = 136 1. 절차는 중립적이 아니다. 절차는 '경로의존성'일 뿐, '경로독립성'은 아니다 = 138 2. 결과를 통하여 절차의 공정성을 가능한다 = 140 3. 사회적 맥락을 간과할 가능성 = 142 4. 순수절차주의는 일정한 합리성과 정의감을 요구한다 = 145 5. 결과가 너무 중대한 것이 되지 말아야 한다 = 147 6. 진정한 의미의 순수절차주의가 존재할 수 있는가 = 150 IV. 순수절차주의의 역설: 불하임의 역설 = 153 V. 복합절차주의로서 민주적 권위 = 158 1. 복합절차주의 = 158 2. 민주적 권위와 '언어 게임' = 162 VI. 복합절차적 관점에서 본 민주적 권위 = 166 제 4장. 민주적 권위는 특별한가 = 171 I. 예비적 고찰 = 171 II. 민주적 권위의 존재론 = 173 1. '저자의 권한'과 편집자의 권한' = 175 2. 권한 위임 = 176 3. 불완전한 대리인 모델 = 181 4. 권위와 존재론으로서 반론권 = 188 III. 민주적 권위와 인식론 = 191 IV. 전문적 권위로서의 민주적 권위 = 199 1. 오류에 있어서의 평등 = 200 2. 전문적 권위 = 205 3. 형식적 의미에서의 전문적 권위 = 211 V. 순수절차주의를 넘어선 정치권위 = 214 VI. 민주적 권위의 유기적 요소로서 반론권 = 224 제 2 부 사회계약론 제 5장. 홉스의 리바이어던 권위 = 231 I. 정치권위에 대한 사회계약론적 구도 = 233 II. 홉스의 새로운 권위개념: 권한 부여 = 242 III. 리바이어덴과 대표성 = 249 IV. 정치권위의 수단적 정당화: 홉스의 계약론에서 목적론의 문제 = 254 VI. 리바이어던 권위의 민주적 합의 = 267 제 6장. 로크의 신탁으로서 정부의 권위 = 271 I. 예비적 고찰 = 271 II. 홉스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 272 III. 정치권위를 위한 로크의 사회계약 = 276 IV. 저치권의에 대한 '발현론적' 정당화 = 284 1. 동의론의 역설 = 284 2. 묵시적 동의가 본의적 의미의 동의를 대체할 수 있는가 = 287 3. 동의론은 혜택론으로 함몰되는가 = 293 4. 동의론의 강점은 어디 있는가 = 293 5. 명시적 동의와 관행적 동의 = 296 V. 정치권위위의 대리인 모델 = 298 1. 신탁(trust) 관계란 무엇인가 = 298 2. '신탁 모델'이 민주정치에서 정치적 구너위의 모델이 될 수 있는가 = 301 3. 과연 신탁자 모델이 가능한가 = 305 4. 신탁자 모델이 불가능한 논리적 이유 = 309 5. 신탁자 모델이 불가능한 경험적 이유 = 311 제 7장. 루소의 주권자 권위 = 315 I. 예비적 고찰 = 315 II. 「인간불평등기원론」과 「사회계약론」= 316 III. '순진무구'의 자연상태 = 319 IV. 원초적 사회계약 = 326 V. 새로운 결사체와 '일반의사' = 329 VI. 루소의 비전과 과도한 이상주의 = 334 1. 정치적 권위의 민주화 = 335 2. 루소의 주권자와 홉스의 주권자 = 340 VII. 루소의 비전과 합리적 이상주의 = 345 1. 정치공동체와 일반의지 = 346 2. '대표성'이 아닌 '일치' = 350 3. 루소의 정치공동체 = 352 VIII. 자유로운 존재가 되도록 '강요'받을 것인가, 아니면 자유로운 존재가 되도록 '동기'를 받을 것인가 = 357 제 3 부 현대 민주주의 제 8장. 현대 민주주의는 참여적인가 = 365 I. 예비적 고찰 = 365 II. 정치적 참여의 의미 = 367 III. 참여로부터 기대되는 효과 = 370 1. 공리주의적 논증 = 370 2. 비공리주의적 논증 = 381 IV. 정치참여란 가치가 있는 것인가: 소크라테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 407 1. 아테네의 직접민주주의와 '적극적 시민성' = 408 2. "반성하지 않는 삶은 가치가 없는 삶" = 414 3. '엘렌쿠스'와 변론술 = 420 4.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 427 5. 절제된 시민성 = 433 V. 유의미한 정치참여가 가능한가 = 437 1. 참여의 범위를 어느 정도로 볼 것인가 = 438 2. 참여를 통해 선호만족이 이루어질 것인가 = 443 3. 참여에 시간을 할애할 것인가 = 448 4. 공적 가치에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질 것인가 = 451 5. 질적인 정치참여가 이루어질 것인가 = 454 VI. 인터넷이 참여민주주의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 461 1. 인터넷과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기대 = 462 2. 활성화되는 시민조직 = 470 3. 인터넷의 현실과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 473 4.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 494 VII. 참여민주주의의 한계와 정치적 권위의 문제 = 507 제 9장. 현대 민주주의는 대의적인가 = 513 I. 예비적 고찰 = 513 II. 대의민주주의의 정당성 = 516 III. 대표성이란 무엇인가 = 526 1. 상징적 대표성 = 526 2. 이익대표성 = 531 3. 인구·사회학적 대표성 = 537 IV. 정치적 의미의 대표성의 특이성 = 541 1. 대표성과 민주선거 = 541 2. 대표성과 권한 = 547 3. 민주적 대표성의 기능 = 551 4. 책임민주주의와 무작위 대표성 = 555 V. 정치적 대표성의 한계 1: 이익대표 = 559 1. 위임대표냐, 책임대표냐 = 559 2. 이익대표냐, 원칙대표냐 = 565 VI. 정치적 대표성의 한계 2: 인구·사회학적 대표 = 568 1. 인구·사회학적 대표성과 시민의 정치적 능력 = 569 2. '무엇'을 대표할 것인가, '누구'를 대표할 것인가 = 575 3. 인구·사회학적 대표성에서 객관적·절대적 기준이 없다 = 579 4. 대표성의 딜레마 = 581 VII. 정치적 대표성의 또 다른 문제: 정치적 도덕주의와 정치적 후견인주의 = 584 1. 도덕의 정치화 = 585 2. 의존성의 문제 = 587 3. 복지와 가난한 사람들 = 591 VIII. 대의민주주의의 비관적 전망 = 594 제 10장. 현대 민주주의는 합리적인가 = 601 I. 예비적 고찰 = 601 II. 다수의 순환현상 = 604 1. 두 가지 대안들 가운데서의 선택 = 604 2. 세 가지 대안들 가운데서의 선택 = 610 3. 애로우의 불가능성 정리 = 614 4. 정치적 행동과 에로우 조건의 완화 = 622 5. 에로우의 정리와 민주주의에의 함축 = 630 6. 에로우의 역설과 진정한 비관론의 정체 = 644 III. 전략적 선호으 ㅣ문제 = 652 1. 진정한 투표와 전략적 투표 = 653 2. 기발드 정리의 함축 = 661 3. 전략적 투표의 방지를 위한 계혁의 필요성 = 666 4. 공정성의 문제 = 671 IV. 현대 민주주의는 비합리적인 결집민주주의 = 675 제 11장. 현대 민주주의는 심의적인가 = 679 1. 예비적 고찰 = 679 II. 심의민주주의의 정당성은 어디에 있는가 = 682 1. 결집민주주의의 교정자로서 심의민주주의 = 682 2. 경쟁민주주의의 교정자로서 심의?滑聆?= 686 III. 심의민주주의의 특징 = 690 1. 심의민주주의의 절차주의적 상정 = 691 2. 롤즈와 하버마스의 심의민주주의 = 696 3. 코헨과 스캔론의 심의민주주의 = 706 IV. 심의민주주의와 '순리적 거부' = 715 V. 심의민주주의와 절차적 공정성 = 721 VI. 성공적인 공적 심의 = 727 VII. 심의민주주의와 사법적 심의 모델 = 731 VIII. 심의민주주의와 '과잉이상주의' = 740 IX. 모두스 비벤디'와 사회정화 = 749 X. 심의민주주의와 가치의 다양성 = 749 XI. 심의능력과 심의동기는 평등한가 = 770 XII. '이성적 합의' 와 '순리적 다원주의'에 내재한 이상주의 = 776 제 12장. 민주적 권위의 미완성성 =787 I. 예비적 고찰 = 787 II. 민주적 권위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 788 1. 권위의 맥락적 의미: 위임과 대변 = 788 2. 홉스와 로크, 루소 = 793 3. 참여·대의·합리·심의 민주주의 =796 4. 불완전한 민주적 권위 = 804 III. 민주적 권위는 어떠해야 하나 = 807 1. 위임된 권위 = 808 2. 열린 권위 = 810 3. 전문가의 권위 823 4. 복합절차주의 = 826 IV. 민주적 권위 소지자의 공적 윤리 = 829 1. '국가의 이성'은 존재하는가 = 833 2.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 836 3. 공적 역할의 수임자 = 840 4. 공직의 엄숙성에 대한 공직자 개인의 책임 = 845 5. 공적 윤리는 사적 윤리에서 나오는가 = 853 6. 책임윤리로서 공적 윤리가 함의하는 것 = 858 7. 공직자 윤리는 공직자에게 '힘을 앗아가는 요소'라기보다는 '힘을 실어 주는 요소' = 861 8. 윤리는 '징벌적 개념'이기보다 '특권적 개념' = 865 9. 공직자 윤리는 분별력의 문제 = 867 10. '더러운 손'의 문제 = 871 11. '더러운 손'에 대한 공직자의 책임 = 881 V. 민주적 권위 소지자의 대표자의식 = 884 VI. 의민민주주의는 반론권위 민주주의 = 895 1. 의민민주주의의 반론권 = 895 2. 반론 가능성과 반론권 = 897 3. 반론권을 행사하는 시민들 = 900 VII. 결론에 갈음하여 = 904 참고문헌 = 909 찾아보기 =925 발간사 =939 표와 그림 차례 표 10-1. 투표의 역설 = 615 표 10-2. 구성원들의 서수적 선호표출 상황 = 628 표 10-3. 구성원들의 가수적 선호표출 상황 = 629 표 10-4. 위원회 절차에서의 구성원들의 선호 = 645 표 10-5. 전력적 투표상황에서의 5인 유권자의 선호 655 그림 10.1 단봉선호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 = 625 그림 10.2 단봉선호가 존재하는 상황 = 625 그림 10.3. 집정관살해 혐의 노예들에 대한 재판절차 = 658
비통제주제어민주주의,권위
가격정보\29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057 321.8 박96ㅁ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 1장. 민주주의와 정치적 권위 = 1 I. 민주적 대표자의 권위 = 4 II. 통치와 피통치에 관한 두 가지 관점 = 7 III. 전문영역으로서의 권위영역 = 10 IV. 민주적 권위 소지자들이 행사하는 권위의 모델: 복합절차주의 모델 = 17 1. '순수절차주의'로서의 정치권위 = 19 2. '복합절차주의'로서의 정치권위 = 22 제 1 부 민주적 권...

목차 전체

제 1장. 민주주의와 정치적 권위 = 1 I. 민주적 대표자의 권위 = 4 II. 통치와 피통치에 관한 두 가지 관점 = 7 III. 전문영역으로서의 권위영역 = 10 IV. 민주적 권위 소지자들이 행사하는 권위의 모델: 복합절차주의 모델 = 17 1. '순수절차주의'로서의 정치권위 = 19 2. '복합절차주의'로서의 정치권위 = 22 제 1 부 민주적 권위 제 2장. 정치적 권위와 전문적 권위 = 31 I. 리어 왕의 이야기 = 33 II. 권위와 권력 = 37 III. 권위의 본질: '배제적 근거'와 '선취적 근거' = 44 IV. '1차적 근거'와 '2차적 근거' = 50 V. 권위의 정당화: 의존성 명제와 정상적 정당화명제 및 봉사성 개념 = 62 1. 권위의 정당화로서 ' 올바른 이성' = 68 2. 정치적 권위는 '충고'의 범주로 환원될 수 있는가 = 74 VII. '협력을 위한 권위' 정당화의 한 사례: 권위와 합의 = 79 1. 정치적 권위: '협력을 위한 권위'와 '동의에 의한 권위' = 82 VIII. 전문가의 권위 = 89 IX. 전문가 권위의 본질: 판단의 사용과 '열린 권위' =93 X. 라즈의 정치적 권위는 실제로는 '전문가 권위' = 99 XI. 설득을 위한 전문가의 권위 = 105 제 3장. 민주적 권위 모델: 복합절차주의 모델 = 113 I. 민주주의와 절차주의 = 116 1. 순수절차 = 121 2. 완전절차 = 124 II. 순수절차주의는 민주적 권위 모델로서 왜 매력적인가 = 130 III. 절차주의는 중립적인가 혹은 불편부당한가 = 136 1. 절차는 중립적이 아니다. 절차는 '경로의존성'일 뿐, '경로독립성'은 아니다 = 138 2. 결과를 통하여 절차의 공정성을 가능한다 = 140 3. 사회적 맥락을 간과할 가능성 = 142 4. 순수절차주의는 일정한 합리성과 정의감을 요구한다 = 145 5. 결과가 너무 중대한 것이 되지 말아야 한다 = 147 6. 진정한 의미의 순수절차주의가 존재할 수 있는가 = 150 IV. 순수절차주의의 역설: 불하임의 역설 = 153 V. 복합절차주의로서 민주적 권위 = 158 1. 복합절차주의 = 158 2. 민주적 권위와 '언어 게임' = 162 VI. 복합절차적 관점에서 본 민주적 권위 = 166 제 4장. 민주적 권위는 특별한가 = 171 I. 예비적 고찰 = 171 II. 민주적 권위의 존재론 = 173 1. '저자의 권한'과 편집자의 권한' = 175 2. 권한 위임 = 176 3. 불완전한 대리인 모델 = 181 4. 권위와 존재론으로서 반론권 = 188 III. 민주적 권위와 인식론 = 191 IV. 전문적 권위로서의 민주적 권위 = 199 1. 오류에 있어서의 평등 = 200 2. 전문적 권위 = 205 3. 형식적 의미에서의 전문적 권위 = 211 V. 순수절차주의를 넘어선 정치권위 = 214 VI. 민주적 권위의 유기적 요소로서 반론권 = 224 제 2 부 사회계약론 제 5장. 홉스의 리바이어던 권위 = 231 I. 정치권위에 대한 사회계약론적 구도 = 233 II. 홉스의 새로운 권위개념: 권한 부여 = 242 III. 리바이어덴과 대표성 = 249 IV. 정치권위의 수단적 정당화: 홉스의 계약론에서 목적론의 문제 = 254 VI. 리바이어던 권위의 민주적 합의 = 267 제 6장. 로크의 신탁으로서 정부의 권위 = 271 I. 예비적 고찰 = 271 II. 홉스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 272 III. 정치권위를 위한 로크의 사회계약 = 276 IV. 저치권의에 대한 '발현론적' 정당화 = 284 1. 동의론의 역설 = 284 2. 묵시적 동의가 본의적 의미의 동의를 대체할 수 있는가 = 287 3. 동의론은 혜택론으로 함몰되는가 = 293 4. 동의론의 강점은 어디 있는가 = 293 5. 명시적 동의와 관행적 동의 = 296 V. 정치권위위의 대리인 모델 = 298 1. 신탁(trust) 관계란 무엇인가 = 298 2. '신탁 모델'이 민주정치에서 정치적 구너위의 모델이 될 수 있는가 = 301 3. 과연 신탁자 모델이 가능한가 = 305 4. 신탁자 모델이 불가능한 논리적 이유 = 309 5. 신탁자 모델이 불가능한 경험적 이유 = 311 제 7장. 루소의 주권자 권위 = 315 I. 예비적 고찰 = 315 II. 「인간불평등기원론」과 「사회계약론」= 316 III. '순진무구'의 자연상태 = 319 IV. 원초적 사회계약 = 326 V. 새로운 결사체와 '일반의사' = 329 VI. 루소의 비전과 과도한 이상주의 = 334 1. 정치적 권위의 민주화 = 335 2. 루소의 주권자와 홉스의 주권자 = 340 VII. 루소의 비전과 합리적 이상주의 = 345 1. 정치공동체와 일반의지 = 346 2. '대표성'이 아닌 '일치' = 350 3. 루소의 정치공동체 = 352 VIII. 자유로운 존재가 되도록 '강요'받을 것인가, 아니면 자유로운 존재가 되도록 '동기'를 받을 것인가 = 357 제 3 부 현대 민주주의 제 8장. 현대 민주주의는 참여적인가 = 365 I. 예비적 고찰 = 365 II. 정치적 참여의 의미 = 367 III. 참여로부터 기대되는 효과 = 370 1. 공리주의적 논증 = 370 2. 비공리주의적 논증 = 381 IV. 정치참여란 가치가 있는 것인가: 소크라테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 407 1. 아테네의 직접민주주의와 '적극적 시민성' = 408 2. "반성하지 않는 삶은 가치가 없는 삶" = 414 3. '엘렌쿠스'와 변론술 = 420 4.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 427 5. 절제된 시민성 = 433 V. 유의미한 정치참여가 가능한가 = 437 1. 참여의 범위를 어느 정도로 볼 것인가 = 438 2. 참여를 통해 선호만족이 이루어질 것인가 = 443 3. 참여에 시간을 할애할 것인가 = 448 4. 공적 가치에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질 것인가 = 451 5. 질적인 정치참여가 이루어질 것인가 = 454 VI. 인터넷이 참여민주주의의 모델이 될 수 있을까 = 461 1. 인터넷과 직접민주주의에 대한 기대 = 462 2. 활성화되는 시민조직 = 470 3. 인터넷의 현실과 참여민주주의에 대한 도전 = 473 4.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 494 VII. 참여민주주의의 한계와 정치적 권위의 문제 = 507 제 9장. 현대 민주주의는 대의적인가 = 513 I. 예비적 고찰 = 513 II. 대의민주주의의 정당성 = 516 III. 대표성이란 무엇인가 = 526 1. 상징적 대표성 = 526 2. 이익대표성 = 531 3. 인구·사회학적 대표성 = 537 IV. 정치적 의미의 대표성의 특이성 = 541 1. 대표성과 민주선거 = 541 2. 대표성과 권한 = 547 3. 민주적 대표성의 기능 = 551 4. 책임민주주의와 무작위 대표성 = 555 V. 정치적 대표성의 한계 1: 이익대표 = 559 1. 위임대표냐, 책임대표냐 = 559 2. 이익대표냐, 원칙대표냐 = 565 VI. 정치적 대표성의 한계 2: 인구·사회학적 대표 = 568 1. 인구·사회학적 대표성과 시민의 정치적 능력 = 569 2. '무엇'을 대표할 것인가, '누구'를 대표할 것인가 = 575 3. 인구·사회학적 대표성에서 객관적·절대적 기준이 없다 = 579 4. 대표성의 딜레마 = 581 VII. 정치적 대표성의 또 다른 문제: 정치적 도덕주의와 정치적 후견인주의 = 584 1. 도덕의 정치화 = 585 2. 의존성의 문제 = 587 3. 복지와 가난한 사람들 = 591 VIII. 대의민주주의의 비관적 전망 = 594 제 10장. 현대 민주주의는 합리적인가 = 601 I. 예비적 고찰 = 601 II. 다수의 순환현상 = 604 1. 두 가지 대안들 가운데서의 선택 = 604 2. 세 가지 대안들 가운데서의 선택 = 610 3. 애로우의 불가능성 정리 = 614 4. 정치적 행동과 에로우 조건의 완화 = 622 5. 에로우의 정리와 민주주의에의 함축 = 630 6. 에로우의 역설과 진정한 비관론의 정체 = 644 III. 전략적 선호으 ㅣ문제 = 652 1. 진정한 투표와 전략적 투표 = 653 2. 기발드 정리의 함축 = 661 3. 전략적 투표의 방지를 위한 계혁의 필요성 = 666 4. 공정성의 문제 = 671 IV. 현대 민주주의는 비합리적인 결집민주주의 = 675 제 11장. 현대 민주주의는 심의적인가 = 679 1. 예비적 고찰 = 679 II. 심의민주주의의 정당성은 어디에 있는가 = 682 1. 결집민주주의의 교정자로서 심의민주주의 = 682 2. 경쟁민주주의의 교정자로서 심의�滑聆�= 686 III. 심의민주주의의 특징 = 690 1. 심의민주주의의 절차주의적 상정 = 691 2. 롤즈와 하버마스의 심의민주주의 = 696 3. 코헨과 스캔론의 심의민주주의 = 706 IV. 심의민주주의와 '순리적 거부' = 715 V. 심의민주주의와 절차적 공정성 = 721 VI. 성공적인 공적 심의 = 727 VII. 심의민주주의와 사법적 심의 모델 = 731 VIII. 심의민주주의와 '과잉이상주의' = 740 IX. 모두스 비벤디'와 사회정화 = 749 X. 심의민주주의와 가치의 다양성 = 749 XI. 심의능력과 심의동기는 평등한가 = 770 XII. '이성적 합의' 와 '순리적 다원주의'에 내재한 이상주의 = 776 제 12장. 민주적 권위의 미완성성 =787 I. 예비적 고찰 = 787 II. 민주적 권위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 788 1. 권위의 맥락적 의미: 위임과 대변 = 788 2. 홉스와 로크, 루소 = 793 3. 참여·대의·합리·심의 민주주의 =796 4. 불완전한 민주적 권위 = 804 III. 민주적 권위는 어떠해야 하나 = 807 1. 위임된 권위 = 808 2. 열린 권위 = 810 3. 전문가의 권위 823 4. 복합절차주의 = 826 IV. 민주적 권위 소지자의 공적 윤리 = 829 1. '국가의 이성'은 존재하는가 = 833 2.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 836 3. 공적 역할의 수임자 = 840 4. 공직의 엄숙성에 대한 공직자 개인의 책임 = 845 5. 공적 윤리는 사적 윤리에서 나오는가 = 853 6. 책임윤리로서 공적 윤리가 함의하는 것 = 858 7. 공직자 윤리는 공직자에게 '힘을 앗아가는 요소'라기보다는 '힘을 실어 주는 요소' = 861 8. 윤리는 '징벌적 개념'이기보다 '특권적 개념' = 865 9. 공직자 윤리는 분별력의 문제 = 867 10. '더러운 손'의 문제 = 871 11. '더러운 손'에 대한 공직자의 책임 = 881 V. 민주적 권위 소지자의 대표자의식 = 884 VI. 의민민주주의는 반론권위 민주주의 = 895 1. 의민민주주의의 반론권 = 895 2. 반론 가능성과 반론권 = 897 3. 반론권을 행사하는 시민들 = 900 VII. 결론에 갈음하여 = 904 참고문헌 = 909 찾아보기 =925 발간사 =939 표와 그림 차례 표 10-1. 투표의 역설 = 615 표 10-2. 구성원들의 서수적 선호표출 상황 = 628 표 10-3. 구성원들의 가수적 선호표출 상황 = 629 표 10-4. 위원회 절차에서의 구성원들의 선호 = 645 표 10-5. 전력적 투표상황에서의 5인 유권자의 선호 655 그림 10.1 단봉선호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 = 625 그림 10.2 단봉선호가 존재하는 상황 = 625 그림 10.3. 집정관살해 혐의 노예들에 대한 재판절차 = 658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지리의 힘 . 1-2
    지리의 힘 . 1-2
    팀 마샬 지음
    사이, 2022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