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군대사회학 /

온만금 지음

책이미지
군대사회학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온만금
서명/저자사항군대사회학 /온만금 지음
발행사항서울 :황금알,2006
형태사항318p :삽화 ;23cm
ISBN8991601278 94300
서지주기참고문헌수록
내용주기저자 서문 제1장 전쟁과 군대의 역사적 전개 = 10 1. 전쟁에 대한 역사적 검토 = 10 1) 원시시대의 전투 = 11 2) 고대의 전쟁 = 11 3) 중세의 전쟁 = 13 4) 근대의 전쟁 = 15 5) 세계대전 = 17 6) 최근의 전쟁 = 18 2. 군대유형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9 1) 고대국가와 군대: 스파트라의 정규군과 로마의 민병대 = 19 2) 중세 봉건사회와 군대: 기사와 용병 = 23 3) 근데 국민국가의 출현과 국민군 = 27 제2장 고전적 군전문직업주의 : 헌팅턴 = 35 1. 전문직업으로서의 군대 = 36 1) 현대 장교단의 성격 = 36 2) 전문직업의 특징 - 전문성, 책임 및 단체정신 = 37 3) 전문직업으로서 장교단 = 39 2. 군 직업윤리와 보수적 현실주의 = 46 1) 군인정신으로서 군 직업윤리 = 46 2) 군 직업윤리 = 47 3. 요약 및 결론 = 53 제3장 군전문직업주의 경험적 연구 : 쟈노비츠 = 55 1. 서론 = 55 2. 군대조직의 변화 = 56 1) 군대조직의 권위(Organizational Authority)변화 = 57 2) 군대와 민간 엘리뜨간 기술차이의 감소 = 61 3) 장교충원에서 변화 = 64 4) 경력관리의 중요성 = 65 5) 정치적 교화(Political Indoctrination)의 경향 = 66 3. 민간화의 한계 = 69 4. 미래의 군대: 경비군과 전문직업 = 71 제4장 군대의 발전론적 관점 : 제도/직업모형(I/O Model) = 73 1. 헌팅턴과 자노비츠의 비교 = 73 2. 제도적 모형과 직업적 모형 = 74 1) 제도적 군대 = 75 2) 직업적 군대 = 76 3. 제도적 군대와 직업적 군대의 비교 = 78 4. 전쟁 가능성과 위협인식에 따른 군대변화 = 80 5. 직업적 군대의 결과 = 82 1) 군대노조 = 82 2) 민간기술자의 증가 = 83 6. 발전론적 관점에 대한 주요 쟁점과 이견 = 84 제5장 직업군인의 충원과 교육 = 90 1. 18세기 장교단 : 귀족출신의 아마추어 = 90 2. 19세기 프러시아 장교단 : 직업적 장교단 = 93 3. 현대 장교단의 충원과 교육 = 94 1) 장교충원의 기반 = 95 2) 사관학교 사회화 과정의 영향 = 99 3) 사관학교의 교육내용 = 101 4) 생도들의 직업적 성향과 태도 = 105 제6장 군대복지 = 107 1. 군대복지의 의미와 범주 = 107 1) 군대복지의 의미 = 107 2) 군대복지의 범주 = 109 2. 장교단의 사회적 지위 = 111 1)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장교단 = 111 2) 장교집단의 직업지위: 전형적 중상층(The Upper Middle-Class) = 112 3) 한국의 중산층과 장교단 = 112 3. 외국군의 복지제도 = 114 4. 한국군의 복지실태와 개선방향 = 118 1) 계층인식과 개선이 절실한 복지항목 = 119 2) 군인복지 실태와 개선책 = 121 제7장 장교단의 경력이동 = 126 1. 도입 = 126 2. 기존의 연구검토 = 127 3. 연구방법 : 연구대상 및 자료, 변수측정, 및 분석기법 = 130 4. 연구대상에 대한 기술적 분석 = 131 5. 성적의 주요변수 분석 = 133 1)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 = 133 2) 입학성적에 대한 다중 희귀분석 결과 = 134 3) 육사성적에 대한 다중 희귀분석 결과 = 135 6. 진급에 대한 사건사 분석 = 137 1) 대령진급에 대한 분석 = 139 2) 장군진급에 대한 분석 = 141 7. 요약 및 결론 = 145 제8장 군대에 대한 사회적 쟁점과 변혁 = 147 1. 여성의 군대 참여 = 147 1) 현황과 쟁점 = 147 2) 주요국의 여군 활용 실태 = 151 2.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체 복무 = 157 1) 쟁점과 현황 = 157 2) 주요국의 양심적 병역거부와 대책 = 158 3. 병역 내 동성애 문제 = 164 1) 쟁점과 현황 = 164 2) 주요국의 동성애 문제와 대책 = 165 제9장 군대 문화의 제 측면 = 171 1. 군대 문화의 특성 = 171 1) 일반 문화와 군대 문화 = 171 2) 군대 문화의 두가지 얼굴 = 174 3) 군대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 = 177 2. 군대 문화의 지속적 변화 = 179 1) 군대 문화의 습득 = 179 2) 군대 문화의 변화 = 181 3) 군대 문화의 향후 전망 = 184 제10장 과학기술의 발전과 군대 = 191 1. 군사기술과 전쟁 양상의 변화 = 191 1) 군사 과학기술의 발전 추세 = 191 2) 군사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 = 194 2. 군사 과학기술과 군대의 상호관계 = 197 1) 기술결정론과 사회형성론 = 197 2) 기술결정론의 한계 : 신기술 도입의 거부 = 199 3. 군사기술 혁신의 성공 및 실패 요인 = 204 1) 성공요인 = 204 2) 실패요인 = 206 제11장 민군관계의 이론과 유형 = 209 1. 민군관계 이론 = 209 1) 민군관계의 구체적 내용 = 209 2) 문민통제의 제 이론 = 212 2. 민군관계의 유형 = 216 1) 군부통치 유형(Praetorianism Model) = 217 2) 병영국가 유형(Garrison-State Model) = 218 3) 민방위국가 유형 = 220 4) 선진국과 신생국의 유형 = 222 5) 공산국가 유형 = 224 제12장 군 직업주의의 변화와 도전 = 227 1. 군 전문직업주의의 형성 = 227 1) 국민군대의 형성과 장교단의 변화 = 227 2) 장교단의 전문직업적 특성 = 228 2. 전문직업주의의 유형 =230 1) 구직업주의(Old Professionalism)와 신직업주의(New Professionalism) = 230 2) 민주적 전문직업주의(Democratic Professinalism) = 234 3) 소렌슨(Henning S rensen) : 군 전문직업에 관한 새로운 시각 = 236 3. 군 직업주의에 대한 도전 = 239 1) 군 외부로부터의 도전 = 239 2) 군 내부로부터의 도전 = 240 제13장 민군관계의 조화와 갈등 = 245 1. 문민우위와 문민통제 = 245 1) 문민우위의 원칙 = 247 2) 문민우위 원칙과 불복종 의무 = 247 3) 문민통제의 유형 = 251 2. 민군갈등의 제 측면 = 254 1) 군부에 의한 정책 간여 = 254 2) 군의 사회적 대표성 = 256 3. 군부의 정치개입 = 259 1) 정치개입의 수준 = 259 2) 정치개입의 결과 = 261 제14장 탈냉전과 군대의 변화 = 263 1. 새로운 위협의 등장 = 264 1) 군사적 위협의 변화 = 264 2) 군의 대응 = 266 2. 다국적 평화유지활동 전망 = 269 1) 평화유지활동 현황 = 269 2) 평화유지활동의 성공 조건 = 272 3. 변화하는 사회 환경과 군 조직 = 275 제15장 과학화, 정보화 시대의 군대 = 282 1. 군사 패러다임의 변화 = 283 1) 미래전쟁의 양상 = 283 2) 미래 군대의 특징 = 287 2. 군사혁신과 미래군대 건설 = 290 1) 군사혁신 추진 동향 = 290 2) 주변국의 미래군대 전환 노력 = 293 3) 한국의 미래군대 전환 노력 = 300 참고문헌 = 306
비통제주제어군사학,군대사회학,군대복지
가격정보\178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011 355.3 온31ㄱ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16012 355.3 온31ㄱ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