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국제문제의 이해 :

조순구 저

책이미지
국제문제의 이해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조순구
서명/저자사항국제문제의 이해 :지구촌의 쟁점들 /조순구 저
발행사항파주 :法文社,2006
형태사항xii, 530p ;26cm
총서사항정치학총서
ISBN8918032439 93340
서지주기참고문헌: p. 499-513, 색인수록
내용주기제1장 세계화 = 3 Ⅰ. 하나의 지구촌 = 6 1. 텔레커뮤니케이션의 혁명 = 7 2. 매스 미디어와 언론재벌 = 10 3. 전염병의 확산 = 12 4. 국제 이주문제 = 14 Ⅱ. 문화의 세계화 = 19 1. 지구촌 문화의 출현 = 19 2. 문화제국주의와 그 폐해 = 22 3. '문화다양성'을 위한 노력들 = 28 Ⅲ. 경제의 세계화 = 37 1. 금융의 세계화 = 39 2. 무역의 세계화 = 59 3. 생산의 세계화 = 63 4. 노동의 세계화 = 66 Ⅳ. 세계화와 국가 역할의 변화(국가주권 논쟁) = 76 1. 자유주의자들의 견해 = 77 2. 중상주의자들의 견해 = 81 3. 네오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견해 = 83 4. 평가 = 84 Ⅴ. 세계화의 명암 = 86 1. 세계화 비판론 = 87 2. 한국의 현황 = 91 3. 평가 = 93 Ⅵ. 세계화에 대한 저항: 반세계화운동 = 95 1. 반세계화 운동의 역사 = 96 2. 반세계화 운동과 반미 = 98 3. 대표적 반세계화 세력들 = 100 4. 세계경제포럼과 세계사회포럼 = 102 5. 평가 = 104 Ⅶ. 결론 = 106 제2장 지역주의, 지역통합과 EU = 111 Ⅰ. 세계화와 지역주의: 갈등적인가 보완적인가? = 112 Ⅱ.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 116 1.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 116 2. 지역주의의 확산 요인 = 117 3. 지역통합(regional integration)의 이론 = 118 Ⅲ. 유럽연합(EU) = 125 1. 유럽통합의 의의와 본질 = 125 2. 유럽통합의 역사(전개과정) = 127 3. 유럽연합의 조직 및 기구 = 136 4. 유럽연합과 미국 = 141 5. 유럽연합의 미래 = 142 Ⅳ. 그 밖의 지역기구들 = 145 Ⅴ. EU의 확대와 한국 = 147 Ⅵ. 결론 및 전망 = 149 제3장 다국적기업 = 151 Ⅰ. 다국적기업의 개념 = 152 Ⅱ. 다국적기업의 현황 = 153 Ⅲ. 다국적기업의 특징 = 160 1. 거대한 경제력 = 160 2. 우수한 기술력 = 161 3. 범세계적 분업 = 163 4. 피라미드형 계층조직 = 166 5. 집권화 = 168 6. 내부화(Internalization) = 169 7. 문어발식 사업다각화 = 170 8. 무국적성 혹은 초국적성 = 170 9. 이동성 = 173 10. 귀속의 이중성 = 175 Ⅳ. 동기별로 본 해외직접투자 유형과 기술이전 = 176 1. 해외직접투자의 동기 = 176 2. 제품주기론 = 177 3. 해외생산 거점형 = 179 4. 현지시장 접근형 = 179 5. 무역장벽 회피형 = 180 6. 신기술 습득형 = 180 7. 해외직접투자의 동기와 기술이전 = 181 Ⅴ.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의 영향 = 182 1. 경제적 측면 = 182 2. 정치적 측면 = 187 3. 사회ㆍ문화적 측면 = 192 4. 평가 = 196 Ⅵ. 다국적기업에 대한 규제책과 그 한계 = 198 Ⅶ. 다국적기업과 한국 = 202 1. 한국 다국적기업의 규모 = 202 2. 한국의 투자유치 = 204 3. 한국의 해외투자 = 204 Ⅷ. 맺는 말 = 206 제4장 현대전과 무기 = 209 Ⅰ. 현대무기 = 210 1. 핵에너지 이용의 양면성 = 211 2. 핵무기의 종류 = 212 3. 핵무기의 파괴력 = 215 4. 생화학무기 = 219 Ⅱ. 핵 전략 이론과 그 변천 = 223 1. 평화주의 이론 = 223 2. 핵무기 우위이론 = 225 3. 핵 억지이론 = 226 4. 핵 전략의 전개 = 228 Ⅲ. 핵무기의 확산 = 237 1. 핵무기 확산현황 = 237 2. 핵무기확산의 이유 = 239 Ⅳ. 대량살상무기 운반수단의 발전 = 244 Ⅴ. 대량살상무기 확산의 통제 = 246 1. 핵실험금지 = 248 2. 수평적 핵확산금지 노력: 핵확산금지조약(NPT) = 248 3. 수직적 핵감축 = 257 4. 생화학무기 금지협정 = 259 5. 탄도미사일 확산 금지규범 = 262 Ⅵ. 대량살상무기가 국제정치에 미친 영향 = 264 Ⅶ. 결론 = 266 제5장 탈냉전기의 테러문제와 9ㆍ11 = 267 Ⅰ. 국제정치에서 테러의 문제 = 268 1. 테러의 정의 = 269 2. 테러의 역사 = 273 3. 테러, 전쟁, 그리고 '테러와의 전쟁' = 275 4. 테러의 유형 = 278 5. 테러집단의 유형 = 279 6. 테러집단의 성격 = 281 7. 현대 테러의 특징 = 284 Ⅱ. 9ㆍ11 테러 = 286 1. 9ㆍ11 테러의 전말: 두 시간의 공포 = 287 2. 9ㆍ11 테러의 특징 = 289 3. 치밀했던 사전 준비 = 291 Ⅲ. 9ㆍ11 테러의 근본 원인: 미국 중심의 세계 = 292 1. 오만한 패권주의 = 293 2. 미국의 중동정책 = 295 3.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한 반감 = 297 Ⅳ. 9ㆍ11 테러의 영향 = 298 1. 국제정치의 근본적 변화 = 298 2. 갈등(전쟁)양상의 변화 = 301 3. 미국의 안보정책의 변화 = 303 Ⅴ. 9ㆍ11 테러와 한반도 = 308 Ⅵ. 결론 = 310 제6장 탈냉전기의 민족ㆍ종교분쟁 = 313 Ⅰ. 민족분쟁과 영토문제 = 314 Ⅱ. 냉전체제의 붕괴와 민족주의 = 315 Ⅲ. 구 유고슬라비아 내전 = 317 1.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투쟁 = 320 2.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독립투쟁 = 321 3. 코소보 사태 = 322 4. 구 유고슬라비아 내전의 의미 = 324 Ⅳ. 동티모르 문제 = 326 1. 동티모르의 역사 = 326 2. 국제적 역학구도 = 327 3. 독립에의 기나긴 여정 = 328 Ⅴ. 체첸 문제 = 329 1. 체첸의 현황과 역사 = 330 2. 제1차 체첸전쟁 = 333 3. 제2차 체첸전쟁 = 334 4. 체첸에 집착하는 이유 = 336 5. 평가 = 336 Ⅵ. 북아일랜드 분쟁 = 338 1. 분쟁의 특성 = 338 2. 분쟁의 역사 = 338 3. 평화노력과 전망 = 340 Ⅶ. 스리랑카 = 341 Ⅷ. 르완다 = 342 1. 르완다의 비극 = 342 2. 비극의 원인과 역사 = 343 3. 국제사회의 무관심 = 345 4. 전망 = 347 Ⅸ. 수단내전과 다프르 사태 = 347 1. 현황 = 347 2. 분쟁의 원인과 역사 = 348 3. 전망 = 349 4. 기타 아프리카의 참상 = 350 Ⅹ.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사 = 351 1. 팔레스타인의 역사 = 351 2. 이스라엘의 건국 = 352 3. 4차례의 중동전 = 355 4. 머나먼 평화에의 길 = 357 5. 정착촌의 문제 = 359 6. 전망 = 362 XI. 맺는 말 = 364 제7장 환경문제와 국제관계 = 371 Ⅰ. 환경문제의 본질 = 374 1.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 = 374 2. 환경문제의 원인 = 376 3. 환경문제의 특성 = 380 Ⅱ. 안보개념의 재정립: 환경안보 = 383 1. 환경안보의 개념과 그 필요성 = 383 2. 환경안보와 국가안보의 관계 = 384 Ⅲ.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 = 386 1. 환경외교의 역사적 전개 = 386 2. 기후변화 문제 = 395 3. 오존층 파괴 = 410 4. 유해 폐기물의 국가간 불법 이동 = 415 5. 생물학적 다양성 = 416 6. 해양오염 = 419 7. 산성침전 = 422 Ⅳ. 환경문제와 무역규제 = 423 1. 무역규제의 찬반논쟁 = 424 2. 무역규제의 전망과 그 유형 = 425 3. 그린라운드(Green Round, GR) = 425 Ⅴ. 환경문제와 남북문제, 그리고 국가주권의 문제 = 426 Ⅵ. 지속 가능한 개발 = 427 Ⅶ. 환경문제와 한국 = 429 1. 기본입장 = 429 2. 환경문제의 현황 = 429 3. 향후의 과제 = 431 Ⅷ. 맺는 말 = 432 제8장 인구ㆍ자원문제와 국제관계 = 435 Ⅰ. 인구문제 = 436 1. 인구문제의 본질 = 436 2. 세계 인구현황: 인구폭발 = 436 3. 인구문제의 동태성 = 438 Ⅱ. 식량문제 = 446 1. 식량의 개념 = 446 2. 식량수급의 낙관론과 비관론 = 447 3. 기아인구의 현황 = 449 4. 식량수급의 문제점 = 452 Ⅲ. 인구ㆍ식량문제와 한국 = 456 1. 저출산ㆍ고령화 문제 = 457 2. 외국인 노동자 문제 = 459 3. 식량문제 = 461 Ⅳ. 자원문제의 본질 = 463 1. 자원의 특성 = 463 2. 자원의 낭비현황 = 464 3. 자원문제의 본질 = 465 4. 자원문제의 국제화 = 467 5. 자원위기의 해결책 = 468 Ⅴ. 에너지 자원의 문제 = 470 1. 석유와 국가안보 = 471 2. 세계의 에너지 소비 현황 = 472 3. 주요 에너지원: 석유 = 472 4. 원자력의 부각 = 474 5. 에너지 안보 = 477 6. 에너지 자원과 한국 = 479 Ⅵ. 산림자원의 문제 = 480 1. 산림자원 = 480 2. 생물다양성 = 483 Ⅶ. 기타 = 487 1. 광물 = 487 2. 수자원 = 489 Ⅷ. 자원문제와 한국 = 495 참고문헌 = 499 찾아보기 Ⅰ = 515 찾아보기 Ⅱ(인명) = 528
일반주제명국제 문제[國際問題]
비통제주제어지역통합,지역주의,테러문제
가격정보\25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005 327.17 조57ㄱ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세계화 = 3 Ⅰ. 하나의 지구촌 = 6 1. 텔레커뮤니케이션의 혁명 = 7 2. 매스 미디어와 언론재벌 = 10 3. 전염병의 확산 = 12 4. 국제 이주문제 = 14 Ⅱ. 문화의 세계화 = 19 1. 지구촌 문화의 출현 = 19 2. 문화제국주의와 그 폐해 = 22 3. '문화다양성'을 위한 노력들 = 28 Ⅲ. 경제의 세계화 = 37 1. 금...

목차 전체

제1장 세계화 = 3 Ⅰ. 하나의 지구촌 = 6 1. 텔레커뮤니케이션의 혁명 = 7 2. 매스 미디어와 언론재벌 = 10 3. 전염병의 확산 = 12 4. 국제 이주문제 = 14 Ⅱ. 문화의 세계화 = 19 1. 지구촌 문화의 출현 = 19 2. 문화제국주의와 그 폐해 = 22 3. '문화다양성'을 위한 노력들 = 28 Ⅲ. 경제의 세계화 = 37 1. 금융의 세계화 = 39 2. 무역의 세계화 = 59 3. 생산의 세계화 = 63 4. 노동의 세계화 = 66 Ⅳ. 세계화와 국가 역할의 변화(국가주권 논쟁) = 76 1. 자유주의자들의 견해 = 77 2. 중상주의자들의 견해 = 81 3. 네오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견해 = 83 4. 평가 = 84 Ⅴ. 세계화의 명암 = 86 1. 세계화 비판론 = 87 2. 한국의 현황 = 91 3. 평가 = 93 Ⅵ. 세계화에 대한 저항: 반세계화운동 = 95 1. 반세계화 운동의 역사 = 96 2. 반세계화 운동과 반미 = 98 3. 대표적 반세계화 세력들 = 100 4. 세계경제포럼과 세계사회포럼 = 102 5. 평가 = 104 Ⅶ. 결론 = 106 제2장 지역주의, 지역통합과 EU = 111 Ⅰ. 세계화와 지역주의: 갈등적인가 보완적인가? = 112 Ⅱ.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 116 1.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 116 2. 지역주의의 확산 요인 = 117 3. 지역통합(regional integration)의 이론 = 118 Ⅲ. 유럽연합(EU) = 125 1. 유럽통합의 의의와 본질 = 125 2. 유럽통합의 역사(전개과정) = 127 3. 유럽연합의 조직 및 기구 = 136 4. 유럽연합과 미국 = 141 5. 유럽연합의 미래 = 142 Ⅳ. 그 밖의 지역기구들 = 145 Ⅴ. EU의 확대와 한국 = 147 Ⅵ. 결론 및 전망 = 149 제3장 다국적기업 = 151 Ⅰ. 다국적기업의 개념 = 152 Ⅱ. 다국적기업의 현황 = 153 Ⅲ. 다국적기업의 특징 = 160 1. 거대한 경제력 = 160 2. 우수한 기술력 = 161 3. 범세계적 분업 = 163 4. 피라미드형 계층조직 = 166 5. 집권화 = 168 6. 내부화(Internalization) = 169 7. 문어발식 사업다각화 = 170 8. 무국적성 혹은 초국적성 = 170 9. 이동성 = 173 10. 귀속의 이중성 = 175 Ⅳ. 동기별로 본 해외직접투자 유형과 기술이전 = 176 1. 해외직접투자의 동기 = 176 2. 제품주기론 = 177 3. 해외생산 거점형 = 179 4. 현지시장 접근형 = 179 5. 무역장벽 회피형 = 180 6. 신기술 습득형 = 180 7. 해외직접투자의 동기와 기술이전 = 181 Ⅴ. 다국적기업의 해외투자의 영향 = 182 1. 경제적 측면 = 182 2. 정치적 측면 = 187 3. 사회ㆍ문화적 측면 = 192 4. 평가 = 196 Ⅵ. 다국적기업에 대한 규제책과 그 한계 = 198 Ⅶ. 다국적기업과 한국 = 202 1. 한국 다국적기업의 규모 = 202 2. 한국의 투자유치 = 204 3. 한국의 해외투자 = 204 Ⅷ. 맺는 말 = 206 제4장 현대전과 무기 = 209 Ⅰ. 현대무기 = 210 1. 핵에너지 이용의 양면성 = 211 2. 핵무기의 종류 = 212 3. 핵무기의 파괴력 = 215 4. 생화학무기 = 219 Ⅱ. 핵 전략 이론과 그 변천 = 223 1. 평화주의 이론 = 223 2. 핵무기 우위이론 = 225 3. 핵 억지이론 = 226 4. 핵 전략의 전개 = 228 Ⅲ. 핵무기의 확산 = 237 1. 핵무기 확산현황 = 237 2. 핵무기확산의 이유 = 239 Ⅳ. 대량살상무기 운반수단의 발전 = 244 Ⅴ. 대량살상무기 확산의 통제 = 246 1. 핵실험금지 = 248 2. 수평적 핵확산금지 노력: 핵확산금지조약(NPT) = 248 3. 수직적 핵감축 = 257 4. 생화학무기 금지협정 = 259 5. 탄도미사일 확산 금지규범 = 262 Ⅵ. 대량살상무기가 국제정치에 미친 영향 = 264 Ⅶ. 결론 = 266 제5장 탈냉전기의 테러문제와 9ㆍ11 = 267 Ⅰ. 국제정치에서 테러의 문제 = 268 1. 테러의 정의 = 269 2. 테러의 역사 = 273 3. 테러, 전쟁, 그리고 '테러와의 전쟁' = 275 4. 테러의 유형 = 278 5. 테러집단의 유형 = 279 6. 테러집단의 성격 = 281 7. 현대 테러의 특징 = 284 Ⅱ. 9ㆍ11 테러 = 286 1. 9ㆍ11 테러의 전말: 두 시간의 공포 = 287 2. 9ㆍ11 테러의 특징 = 289 3. 치밀했던 사전 준비 = 291 Ⅲ. 9ㆍ11 테러의 근본 원인: 미국 중심의 세계 = 292 1. 오만한 패권주의 = 293 2. 미국의 중동정책 = 295 3.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에 대한 반감 = 297 Ⅳ. 9ㆍ11 테러의 영향 = 298 1. 국제정치의 근본적 변화 = 298 2. 갈등(전쟁)양상의 변화 = 301 3. 미국의 안보정책의 변화 = 303 Ⅴ. 9ㆍ11 테러와 한반도 = 308 Ⅵ. 결론 = 310 제6장 탈냉전기의 민족ㆍ종교분쟁 = 313 Ⅰ. 민족분쟁과 영토문제 = 314 Ⅱ. 냉전체제의 붕괴와 민족주의 = 315 Ⅲ. 구 유고슬라비아 내전 = 317 1.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투쟁 = 320 2.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독립투쟁 = 321 3. 코소보 사태 = 322 4. 구 유고슬라비아 내전의 의미 = 324 Ⅳ. 동티모르 문제 = 326 1. 동티모르의 역사 = 326 2. 국제적 역학구도 = 327 3. 독립에의 기나긴 여정 = 328 Ⅴ. 체첸 문제 = 329 1. 체첸의 현황과 역사 = 330 2. 제1차 체첸전쟁 = 333 3. 제2차 체첸전쟁 = 334 4. 체첸에 집착하는 이유 = 336 5. 평가 = 336 Ⅵ. 북아일랜드 분쟁 = 338 1. 분쟁의 특성 = 338 2. 분쟁의 역사 = 338 3. 평화노력과 전망 = 340 Ⅶ. 스리랑카 = 341 Ⅷ. 르완다 = 342 1. 르완다의 비극 = 342 2. 비극의 원인과 역사 = 343 3. 국제사회의 무관심 = 345 4. 전망 = 347 Ⅸ. 수단내전과 다프르 사태 = 347 1. 현황 = 347 2. 분쟁의 원인과 역사 = 348 3. 전망 = 349 4. 기타 아프리카의 참상 = 350 Ⅹ.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사 = 351 1. 팔레스타인의 역사 = 351 2. 이스라엘의 건국 = 352 3. 4차례의 중동전 = 355 4. 머나먼 평화에의 길 = 357 5. 정착촌의 문제 = 359 6. 전망 = 362 XI. 맺는 말 = 364 제7장 환경문제와 국제관계 = 371 Ⅰ. 환경문제의 본질 = 374 1.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 = 374 2. 환경문제의 원인 = 376 3. 환경문제의 특성 = 380 Ⅱ. 안보개념의 재정립: 환경안보 = 383 1. 환경안보의 개념과 그 필요성 = 383 2. 환경안보와 국가안보의 관계 = 384 Ⅲ.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 = 386 1. 환경외교의 역사적 전개 = 386 2. 기후변화 문제 = 395 3. 오존층 파괴 = 410 4. 유해 폐기물의 국가간 불법 이동 = 415 5. 생물학적 다양성 = 416 6. 해양오염 = 419 7. 산성침전 = 422 Ⅳ. 환경문제와 무역규제 = 423 1. 무역규제의 찬반논쟁 = 424 2. 무역규제의 전망과 그 유형 = 425 3. 그린라운드(Green Round, GR) = 425 Ⅴ. 환경문제와 남북문제, 그리고 국가주권의 문제 = 426 Ⅵ. 지속 가능한 개발 = 427 Ⅶ. 환경문제와 한국 = 429 1. 기본입장 = 429 2. 환경문제의 현황 = 429 3. 향후의 과제 = 431 Ⅷ. 맺는 말 = 432 제8장 인구ㆍ자원문제와 국제관계 = 435 Ⅰ. 인구문제 = 436 1. 인구문제의 본질 = 436 2. 세계 인구현황: 인구폭발 = 436 3. 인구문제의 동태성 = 438 Ⅱ. 식량문제 = 446 1. 식량의 개념 = 446 2. 식량수급의 낙관론과 비관론 = 447 3. 기아인구의 현황 = 449 4. 식량수급의 문제점 = 452 Ⅲ. 인구ㆍ식량문제와 한국 = 456 1. 저출산ㆍ고령화 문제 = 457 2. 외국인 노동자 문제 = 459 3. 식량문제 = 461 Ⅳ. 자원문제의 본질 = 463 1. 자원의 특성 = 463 2. 자원의 낭비현황 = 464 3. 자원문제의 본질 = 465 4. 자원문제의 국제화 = 467 5. 자원위기의 해결책 = 468 Ⅴ. 에너지 자원의 문제 = 470 1. 석유와 국가안보 = 471 2. 세계의 에너지 소비 현황 = 472 3. 주요 에너지원: 석유 = 472 4. 원자력의 부각 = 474 5. 에너지 안보 = 477 6. 에너지 자원과 한국 = 479 Ⅵ. 산림자원의 문제 = 480 1. 산림자원 = 480 2. 생물다양성 = 483 Ⅶ. 기타 = 487 1. 광물 = 487 2. 수자원 = 489 Ⅷ. 자원문제와 한국 = 495 참고문헌 = 499 찾아보기 Ⅰ = 515 찾아보기 Ⅱ(인명) = 528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