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7.1조치와 북한 /

고려대학교 기초학문연구팀 저

책이미지
7.1조치와 북한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단체저자명고려대학교.기초학문연구팀
기초학문연구팀
서명/저자사항7.1조치와 북한 /고려대학교 기초학문연구팀 저
발행사항서울 :높이깊이,2005
형태사항365p :삽화 ;23cm
ISBN8975880664 03320
서지주기참고문헌: p.353-365
내용주기Chapter 1 7.1조치의 사회주의적 함의와 전망 1. 서론 = 11 2. 7.1경제개혁의 목적과 의의 = 12 1) 실리 보장의 원칙과 계획경제의 정상화 = 12 2) 국정가격 제정의 기준과 가격개혁 = 14 3. 7.1조치의 성과 및 파급영향 분석 = 16 1) 이중곡가제 축소 및 기업소 보조 삭감 등으로 국가재정 건전화 = 16 2) 농민 인센티브 강화 등 농업개혁 마인드 확산 = 18 3) 7.1경제개혁과 기업소,협동농장의 자율과 책임 확대 = 20 4) 인플레이션의 확산 = 20 4. 7.1조치의 비교 사회주의적 평가와 한계 = 23 1) 7.1경제개혁의 비교 사회주의적 평가 = 23 2) 7.1경제개혁의 비교 사회주의적 한계 = 26 5. 결론 = 28 Chapter 2 북한경제의 개혁,개방의 구도 및 방향 1. 서론 = 31 2. 7.1조치 이전 북한의 대내개혁 = 33 1) 신사고론 = 33 2) 경제의 실리주의 = 36 3) 과학중시사상 = 40 3. 7.1조치를 통한 북한의 대내개혁 = 42 1) 7.1조치의 주요 내용 = 42 2) 7.1조치의 특징과 한계 = 51 4. 경제특구를 통한 북한의 대외개방 = 56 1) 라진.선봉경제무역지대 = 56 2) 7.1조치 이후 특구정책 = 57 3) 경제특구정책의 특징과 전망 = 62 5. 북한의 경제정책구도와 방향 = 64 1) 경제정책구도 = 64 2) 경제정책방향 = 68 6. 결론 = 70 Chapter 3 북한경제개혁의 현황과 전망 : 7.1조치를 중심으로 1. 서론 = 75 2. 북한의 경제체제와 사회화 = 77 1) 경제체제의 구별 = 77 2) 북한경제의 사회화 = 79 3) 북한경제개혁의 필연성 = 81 3. 7.1조치의 내용 = 83 1) 가격제정체계의 재정립 = 83 2) 사회주의분배제도의 엄격한 적용 = 84 3) 기업경영관리체계의 개선 = 87 4) 7.1조치 이후의 추가조치 = 88 4. 7.1조치의 평가와 전망 = 90 1) 7.1조치의 평가 = 90 2) 7.1조치의 전망 = 97 5. 결론 = 102 Chapter 4 7.1조치와 1980년대 중국개혁 비교 1. 7.1조치 발표까지의 추이 = 109 2. 1980년대 중국의 경제개혁조치와의 비교 = 111 1) 김정일위원장의 소위 '10.3지침'의 내용 = 111 2) 경제관리개선조치와 80년대 중국의 경제개혁조치와의 비교 = 113 3. 경제개혁의 전망 = 121 Chapter 5 7.1조치와 북한농업 1. 서론 = 125 2. 변화와 배경 = 126 1) 대외 경제개방 정책 = 127 2) 내부 경제정책의 변화 = 128 3. 7.1조치와 농업부문에 대한 기대 효과 = 130 1) 7.1조치 주요 내용 = 130 2) 7.1조치에 대한 평가 = 132 3) 7.1조치의 농업부문에 대한 효과 = 137 4. 과거 농업부문의 제도개선 경험 = 140 1) 새로운 분조관리제와 그 개혁적 성격 = 140 2) 새로운 분조관리제의 현황과 미확산 요인 = 143 3) 새로운 분조관리제의 실패 요인 = 145 5. 결론 = 147 Chapter 6 7.1조치 이후 북한 농업생산 실상과 농업개혁 전망 1. 서론 = 149 2. 북한의 곡물생산 현황 = 151 1) 북한의 주곡 생산 현황 = 151 3. 최근 북한농정의 방향과 농업구조 개선 수요 = 160 1) 최근 북한농정의 동향과 방향 = 160 2) 최근 북한의 생산성 증대 방안 = 163 3) IFAD의 북한농정 평가 = 166 4) 북한 농업구조 개선 수요 = 168 5) 북한의 비료 수급 현황과 대북 비료지원의 효과 = 169 4. 7.1조치와 농업개혁의 함의 = 171 1) 곡물가격의 재산정과 이중곡가제 축소 = 172 2) 분조관리제 개선과 농민 인센티브 강화 = 174 3) 협동농장의 자율과 책임 확대 = 177 5. 7.1조치와 북한 농업개혁 전망 = 178 1) 농민들의 증산의욕 고조 = 178 2) 7.1조치와 농업생산과 분배체계의 변화 = 182 6. 결론 = 183 chapter 7 7.1조치 이후 가족과 여성생활의 변화 1. 서론 = 185 2. 경제현황과 경제개혁 = 188 1)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의 경제현황 = 188 2) 경제개혁 조치의 기본 방향과 의미 = 190 3) 경제개혁 조치 평가 = 192 3. 구조적 변화 요인 : 임금 및 물가인상, 배급제 축소 = 194 1) 차등적 임금인상과 여성 관련 직종임금 = 194 2) 획일적 물가인상과 가족경제 = 197 3) 배급제의 축소와 개인 부담 = 199 4. 구조적 문제 발생 : 생활비 증가, 여성 및 가족 부담 강화 = 203 1) 생활비 증가에 따른 여성 부담 증가 = 203 2) 가족강화에 따른 보수화 현상 5. 행위적 위기 대응 : 가족책임제의 강화와 여성의 역할 = 209 6. 결론 = 211 Chapter 8 7.1조치와 북한사회복지 1. 서론 = 215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215 2) 연구방법, 범위, 분석모형 = 217 2. 북한 사회복지 이념 = 220 1) 작동원리의 근거 :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 221 2) 7.1조치로 인한 변화 = 230 3. 북한 사회복지 제도 = 234 1) 복지시스템의 운영원리 : 기능과 속성 = 235 2) 7.1조치 전후의 분배 = 242 4. 북한 사회복지 현실 : 구조와 성격 = 257 1) 분배물의 구조 변화 = 257 2) 복지급여의 성격 변화 = 271 5. 결론 = 278 Chapter 9 7.1조치 이후 남북관광교류협력 1. 서론 = 283 2. 이론적 논의 = 286 3. 북한 관광시장개방과 남북관광교류협력 = 288 1) 경제개방과 관광시장개방 = 288 2) 남북관광교류협력의 추진현황 = 291 4. 남북관광교류협력이 납북관계에 주는 영향 = 298 1) 납북한의 경제적 효과 = 298 2) 남북한 상호 신뢰 형성 = 300 3)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 정착 = 302 5. 남북관광교류협력이 북한 변화에 미친 영향 = 303 1) 정치적 변화 = 303 2) 경제적 변화 = 307 3) 사회문화적 변화 = 311 6. 결론 = 313 각주 = 317 참고문헌 = 353
일반주제명북한인권
비통제주제어71조치,북한,칠일조치
가격정보\12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5860 330.9518 고234ㅊ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Chapter 1 7.1조치의 사회주의적 함의와 전망 1. 서론 = 11 2. 7.1경제개혁의 목적과 의의 = 12  1) 실리 보장의 원칙과 계획경제의 정상화 = 12  2) 국정가격 제정의 기준과 가격개혁 = 14 3. 7.1조치의 성과 및 파급영향 분석 = 16  1) 이중곡가제 축소 및 기업소 보조 삭감 등으로 국가재정 건전화 = 16  2) 농민 ...

목차 전체

Chapter 1 7.1조치의 사회주의적 함의와 전망 1. 서론 = 11 2. 7.1경제개혁의 목적과 의의 = 12  1) 실리 보장의 원칙과 계획경제의 정상화 = 12  2) 국정가격 제정의 기준과 가격개혁 = 14 3. 7.1조치의 성과 및 파급영향 분석 = 16  1) 이중곡가제 축소 및 기업소 보조 삭감 등으로 국가재정 건전화 = 16  2) 농민 인센티브 강화 등 농업개혁 마인드 확산 = 18  3) 7.1경제개혁과 기업소,협동농장의 자율과 책임 확대 = 20  4) 인플레이션의 확산 = 20 4. 7.1조치의 비교 사회주의적 평가와 한계 = 23  1) 7.1경제개혁의 비교 사회주의적 평가 = 23  2) 7.1경제개혁의 비교 사회주의적 한계 = 26 5. 결론 = 28 Chapter 2 북한경제의 개혁,개방의 구도 및 방향 1. 서론 = 31 2. 7.1조치 이전 북한의 대내개혁 = 33  1) 신사고론 = 33  2) 경제의 실리주의 = 36  3) 과학중시사상 = 40 3. 7.1조치를 통한 북한의 대내개혁 = 42  1) 7.1조치의 주요 내용 = 42  2) 7.1조치의 특징과 한계 = 51 4. 경제특구를 통한 북한의 대외개방 = 56  1) 라진.선봉경제무역지대 = 56  2) 7.1조치 이후 특구정책 = 57  3) 경제특구정책의 특징과 전망 = 62 5. 북한의 경제정책구도와 방향 = 64  1) 경제정책구도 = 64  2) 경제정책방향 = 68 6. 결론 = 70 Chapter 3 북한경제개혁의 현황과 전망 : 7.1조치를 중심으로 1. 서론 = 75 2. 북한의 경제체제와 사회화 = 77  1) 경제체제의 구별 = 77  2) 북한경제의 사회화 = 79  3) 북한경제개혁의 필연성 = 81 3. 7.1조치의 내용 = 83  1) 가격제정체계의 재정립 = 83  2) 사회주의분배제도의 엄격한 적용 = 84  3) 기업경영관리체계의 개선 = 87  4) 7.1조치 이후의 추가조치 = 88 4. 7.1조치의 평가와 전망 = 90  1) 7.1조치의 평가 = 90  2) 7.1조치의 전망 = 97 5. 결론 = 102 Chapter 4 7.1조치와 1980년대 중국개혁 비교 1. 7.1조치 발표까지의 추이 = 109 2. 1980년대 중국의 경제개혁조치와의 비교 = 111  1) 김정일위원장의 소위 '10.3지침'의 내용 = 111  2) 경제관리개선조치와 80년대 중국의 경제개혁조치와의 비교 = 113 3. 경제개혁의 전망 = 121 Chapter 5 7.1조치와 북한농업 1. 서론 = 125 2. 변화와 배경 = 126  1) 대외 경제개방 정책 = 127  2) 내부 경제정책의 변화 = 128 3. 7.1조치와 농업부문에 대한 기대 효과 = 130  1) 7.1조치 주요 내용 = 130  2) 7.1조치에 대한 평가 = 132  3) 7.1조치의 농업부문에 대한 효과 = 137 4. 과거 농업부문의 제도개선 경험 = 140  1) 새로운 분조관리제와 그 개혁적 성격 = 140  2) 새로운 분조관리제의 현황과 미확산 요인 = 143  3) 새로운 분조관리제의 실패 요인 = 145 5. 결론 = 147 Chapter 6 7.1조치 이후 북한 농업생산 실상과 농업개혁 전망 1. 서론 = 149 2. 북한의 곡물생산 현황 = 151  1) 북한의 주곡 생산 현황 = 151 3. 최근 북한농정의 방향과 농업구조 개선 수요 = 160  1) 최근 북한농정의 동향과 방향 = 160  2) 최근 북한의 생산성 증대 방안 = 163  3) IFAD의 북한농정 평가 = 166  4) 북한 농업구조 개선 수요 = 168  5) 북한의 비료 수급 현황과 대북 비료지원의 효과 = 169 4. 7.1조치와 농업개혁의 함의 = 171  1) 곡물가격의 재산정과 이중곡가제 축소 = 172  2) 분조관리제 개선과 농민 인센티브 강화 = 174  3) 협동농장의 자율과 책임 확대 = 177 5. 7.1조치와 북한 농업개혁 전망 = 178  1) 농민들의 증산의욕 고조 = 178  2) 7.1조치와 농업생산과 분배체계의 변화 = 182 6. 결론 = 183 chapter 7 7.1조치 이후 가족과 여성생활의 변화 1. 서론 = 185 2. 경제현황과 경제개혁 = 188  1)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의 경제현황 = 188  2) 경제개혁 조치의 기본 방향과 의미 = 190  3) 경제개혁 조치 평가 = 192 3. 구조적 변화 요인 : 임금 및 물가인상, 배급제 축소 = 194  1) 차등적 임금인상과 여성 관련 직종임금 = 194  2) 획일적 물가인상과 가족경제 = 197  3) 배급제의 축소와 개인 부담 = 199 4. 구조적 문제 발생 : 생활비 증가, 여성 및 가족 부담 강화 = 203  1) 생활비 증가에 따른 여성 부담 증가 = 203  2) 가족강화에 따른 보수화 현상 5. 행위적 위기 대응 : 가족책임제의 강화와 여성의 역할 = 209 6. 결론 = 211 Chapter 8 7.1조치와 북한사회복지 1. 서론 = 215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215  2) 연구방법, 범위, 분석모형 = 217 2. 북한 사회복지 이념 = 220  1) 작동원리의 근거 :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 221  2) 7.1조치로 인한 변화 = 230 3. 북한 사회복지 제도 = 234  1) 복지시스템의 운영원리 : 기능과 속성 = 235  2) 7.1조치 전후의 분배 = 242 4. 북한 사회복지 현실 : 구조와 성격 = 257  1) 분배물의 구조 변화 = 257  2) 복지급여의 성격 변화 = 271 5. 결론 = 278 Chapter 9 7.1조치 이후 남북관광교류협력 1. 서론 = 283 2. 이론적 논의 = 286 3. 북한 관광시장개방과 남북관광교류협력 = 288  1) 경제개방과 관광시장개방 = 288  2) 남북관광교류협력의 추진현황 = 291 4. 남북관광교류협력이 납북관계에 주는 영향 = 298  1) 납북한의 경제적 효과 = 298  2) 남북한 상호 신뢰 형성 = 300  3)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 정착 = 302 5. 남북관광교류협력이 북한 변화에 미친 영향 = 303  1) 정치적 변화 = 303  2) 경제적 변화 = 307  3) 사회문화적 변화 = 311 6. 결론 = 313 각주 = 317 참고문헌 = 353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형사소송법
    형사소송법
    김인회
    피앤씨미디어, 2018
  • 주석 형법 :  총칙 . 1-2
    주석 형법 : 총칙 . 1-2
    박상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20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