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노동운동의 미래 :

임운택 [등저]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편]

책이미지
노동운동의 미래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임운택
단체저자명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서명/저자사항노동운동의 미래 :현대자본주의의 대항권력 /임운택 [등저]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편]
발행사항서울 :한국노동조합총연맹,2005
형태사항321 p. :도표 ;23 cm
총서사항연구총서 ;2005-08
ISBN8992137087 93330
비통제주제어노동운동
가격정보\1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5303 331.8 한17ㄴㄴ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Ⅰ. 노동운동의 위기 진단

≫세계화에 따른 노동운동의 지형변화와 노조의 대항권력
  Ⅰ. 들어가는 말 = 3
  Ⅱ. 축적 패러다임의 변화 = 4
   1. 축적체제 변화의 정치경제학적 조건 = 4
   2. 금융자본의 과잉과 '달러-월스트리트-체제' = 8
   3. 금융자본주도의 유연한 축적체제 = 14
   4. 신경제의 모순구조 = ...

목차 전체

Ⅰ. 노동운동의 위기 진단

≫세계화에 따른 노동운동의 지형변화와 노조의 대항권력
  Ⅰ. 들어가는 말 = 3
  Ⅱ. 축적 패러다임의 변화 = 4
   1. 축적체제 변화의 정치경제학적 조건 = 4
   2. 금융자본의 과잉과 '달러-월스트리트-체제' = 8
   3. 금융자본주도의 유연한 축적체제 = 14
   4. 신경제의 모순구조 = 19
  Ⅲ. 새로운 축적체제 아래서 노사관계의 변화 = 23
   1. 기업지배구조의 변화 = 23
   2. 노동의 불안정화 = 26
  Ⅳ. 노사관계의 전망: 세 가지 시나리오 = 29
≫노동 양극화와 노동조합운동
  Ⅰ. 머리말: 문제 제기 = 42
  Ⅱ. 노동 양극화의 문제 현황 = 45
  Ⅲ. 노동양극화의 외부 원인 = 53
  Ⅳ. 노동양극화의 내부 원인 - 노동조합운동의 연대성위기 = 57
  Ⅴ. 노동양극화에 대한 노동조합운동의 대응 평가 = 61
  Ⅵ. 맺음말: 노동양극화 극복을 위한 노동조합운동의 과제 제언 = 66
≫한국 노동운동의 사회운동성 강화를 위한 모색
  1. 머리말 = 73
  2. 노동운동의 지향 = 77
  3. 노동운동의 체제포섭과 사회운동성의 상실 = 83
  4. 강요된 경제주의와 한국 노동조합 운동 = 91
  5. 노동운동의 사회운동성 강화를 위한 방안들 = 98
   1) 새로운 비전과 제도적 기반의 창출 = 98
   2) 교섭의 주체에서 '노동자 일반의 대변자로' = 101
   3) 교섭자, 임투 대리자에서 운동가로 = 104
   4) 지역사회의 주체로서 노동운동 = 105
≫한국 민주주의와 노동운동
  1. 들어가는 말 = 108
  2.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 = 112
   1) 대한제국 멸망과 민주공화정 = 112
   2) 독립운동과 민주주의 = 115
   3) 남북 분단과 분단 민주주의 = 120
  3.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 = 122
  4. 민주주의에 대한 재검토 = 127
  5. 기로에 선 노동조합 민주주의 = 131
  6. 노동운동 위기: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 = 134

Ⅱ. 노동운동의 과제와 미래

≫비정규직 고용이 노조 가입에 미치는 영향
  1. 들어가는 말 = 141
  2. 기술통계 = 143
   가. 노조 조직률 = 143
   나. 유노조 비율, 가입자격자 비율, 유자격자 노조가입률 = 148
  3. 로짓 분석 결과 = 152
   가. 노조가입(조합원) = 152
   나. 노조유무, 노조가입 자격유무, 노조가입 여부 = 156
  4. 결론 - 요약과 함의 = 158
   가. 요약 = 158
   나. 함의 = 160
  [보론] 비정규직 규모 = 165
≫사회적 양극화와 노동조합
  Ⅰ. 들어가는 말 = 174
  Ⅱ. 양극화와 노동조합 = 176
   1. 양극화 심화 = 176
   2. 노동조합과 복지정책 = 177
  Ⅲ. 노동과 복지: 노동과 사회 연대의 제도화를 위하여 = 182
   1. 사회임금 = 182
   2. 비정규직 가구와 정규직 가구 간 노동력재생산 실태 비교 = 188
  Ⅳ. 복지제도: 형식적 통합 내 새로운 배제 = 196
   1. 차별과 배제에서 형식적 통합으로 = 196
   2. 새로운 배제: 비정규직 노동자 = 199
  Ⅴ. 근로연계복지 체제(Workfare regime) = 205
   1. 근로연계복지체제와 고용 = 206
   2. 근로연계복지체제와 노동유인 효과 = 208
  Ⅵ. 맺음말 = 210
≫한국노총 "노동정치"의 현 주소와 과제
  Ⅰ. 문제의 제기 - 17대 총선과 한국노총의 위기 상황 = 218
  Ⅱ. 운동정세의 변화 - 노동운동의 위기, 정치세력화 지형의 호전 = 221
   1. 정치세력화의 필요성과 성공조건 = 221
   2. 정치세력화를 둘러싼 객관적 노동정세 = 223
   3. 정치정세와 민주노동당의 선전 = 226
  Ⅲ. 한국노총 노동정치 평가 - 녹색사민당 실험을 중심으로 = 230
   1. 한국노총 독자정당 창당 로드맵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30
  Ⅳ. 한국노총 노동정치 모색의 방향과 과제 = 245
   1. 독자 정당 창당 등 한국노총의 정치세력화 실험에 대한 조합원의 의식구조 = 245
   2. 정치세력화 추진을 위한 한국노총의 주체 역량 - 조합원의 정치의식과 조직적 특징 및 시사점 = 264
   3. 녹색사민당 중심 총선 정치의 철저한 평가 - 평가의 기본 전제와 내용 및 방향 = 266
   4. 조직의 전면적 혁신 통한 신뢰와 자신감 회복 = 268
   5. 정치노선 대안에 대한 검토 = 271
  Ⅴ. 맺는말 = 273
≫노동현장에서 본 노동운동 위기와 혁신방향
  Ⅰ. 시작하며 = 276
  Ⅱ. 위기적 요인 = 279
   1. 대응능력부족 = 280
   2. 조직구조와 조직운영 = 283
   3. 조직 약화 = 288
   4. 조직 민주주의 = 292
   5. 조합원 의식 = 300
   6. 사업방식 = 303
  Ⅲ. 혁신 과제 = 305
   1. 현장 조직력 강화 = 307
   2. 산별노조건설 = 312
   3. 조직민주주의 = 314
   4. 집행체계 정비 = 318
  Ⅳ. 마치며 = 321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주석 형법 :  총칙 . 1-2
    주석 형법 : 총칙 . 1-2
    박상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20
  • 초고령사회 일본이 사는 법 :  10년 앞선 고령사회 리포트
    초고령사회 일본이 사는 법 : 10년 앞선 고령사회 ...
    김웅철 지음
    매일경제신문사, 2024
  •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 :  병원과 사회를 이어가는 의사 김선민이 꿈꾸는 세상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 : 병원과 사회를 이어...
    김선민 지음
    메디치, 2024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