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중·일 대중문화 교류의 현황 및 증진 방안 연구 /

문옥표 ;송도영

책이미지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중·일 대중문화 교류의 현황 및 증진 방안 연구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문옥표
송도영
양영균
서명/저자사항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한·중·일 대중문화 교류의 현황 및 증진 방안 연구 /문옥표 ;송도영 ;양영균 [공저]
발행사항서울 :통일연구원,2005
형태사항215 p. ;24cm
총서사항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5-01-02
ISBN8984793108 93340
서지주기참고문헌: p.201-207
주제명(지명)중국일본
비통제주제어동북아 문화공동체
가격정보\1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5043 306.4095 문65ㄷ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I. 서 론 = 1
  1. 연구의 의의 및 분석틀 = 3
  2. 연구방법 = 6

II. 한.중.일 대중문화 교류의 역사적 배경 = 9
  1. 한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의 역사적 배경 = 11
  2. 중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의 역사적 배경 = 42
  3. 일본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의 역사적 배경 = 57
  
Ⅲ. 한.중.일...

목차 전체

I. 서 론 = 1
  1. 연구의 의의 및 분석틀 = 3
  2. 연구방법 = 6

II. 한.중.일 대중문화 교류의 역사적 배경 = 9
  1. 한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의 역사적 배경 = 11
  2. 중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의 역사적 배경 = 42
  3. 일본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의 역사적 배경 = 57
  
Ⅲ. 한.중.일 대중문화 교류의 현황 = 65
  1. 한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현황과 대응 = 67
  2. 중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현황과 대응 = 84
  3. 일본의 아시아 대중문화 유입현황과 대응 = 132

Ⅳ. 한.중.일 대중문화 교류의 전망과 과제 = 175
  1. 대중문화의 흐름과 정치경제학적 전망 = 177
  2. 중국의 아시아 대중문화 수용양상 및 언설을 중심으로 본 전망 = 179
  3. 일본의 한류 수용양상 및 언설을 중심으로 본 전망 = 185

Ⅴ. 결 론 = 193
  1. 전문 인력의 양성 및 배치 = 195
  2. 상호 교류시스템의 구축 및 민간교류의 활성화 = 196
  3. 현장 파트너십의 구축 및 네트워크의 형성 = 197
  4.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 = 198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장애시민 불복종
    장애시민 불복종
    변재원 지음
    창비, 202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 총, 균, 쇠
    총, 균, 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문학사상, 2013
  • 지리의 힘 . 1-2
    지리의 힘 . 1-2
    팀 마샬 지음
    사이, 20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