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북한의 대남정책 연구 :

정봉화 지음

책이미지
북한의 대남정책 연구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정봉화
서명/저자사항북한의 대남정책 연구 :지속성과 변화, 1948-2004 /정봉화 지음
판사항개정판
발행사항파주 :한울,2005
형태사항478p ;23cm
총서사항한울아카데미 ;730
대등표제Change and continuity in North Korea's policy towards South Korea
ISBN8946033649 93340
일반주기권말부록으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변동상황' 수록
서지주기참고문헌(p.[451]-472)과 색인(p.[473]-478) 수록
내용주기개정판 서문 = 3 초판 서문 = 6 서장 = 15 제1장 북한 대남정책 이해 = 21 1. 연구동향 = 22 2. 북한 대남정책의 개념적 특성 = 34 1) 외교정책으로서의 대남정책 = 34 2) 통일정책과의 관계 = 36 3. 대남정책의 결정요인 = 40 1) 대내요인 : 국내정치와 대남정책의 관계 = 41 2) 대외적 요인 : 국제체제, 지역체제, 대남정세 = 54 3) 대남정책의 결정구조 = 56 4. 대남정책의 결정과정과 기구 = 60 1) 북한의 정책결정 과정 = 60 2) 정책결정기구와 인물 = 62 제2장 흡수통일을 위한 공세적 대남정책 : 1948∼1959 = 81 1. 무력통일의 준비와 시도 : 1948∼1953 = 81 1) 국제 환경요인 = 81 2) 대내 환경요인 = 87 3) 남한 환경요인 = 92 4) 대남정책 전개과정과 특성 = 100 2. 체제정비를 위한 대남 평화공세 : 1954∼1959 = 107 1) 국제 환경요인 = 107 2) 대내 환경요인 = 110 3) 남한 환경요인 = 116 4) 대남정책 전개과정과 특성 = 120 제3장 남조선 혁명을 위한 양면적 대남정책 : 대결과 대화의 이중성, 1960∼1988 = 127 1. 3대혁명역량 강화와 과도적 연방제 제의 : 1960∼1971 = 127 1) 국제 환경요인 = 127 2) 대내 환경요인 = 131 3) 남한 환경요인 = 136 4) 대남정책의 전개과정과 특성 = 139 5) 사례분석 : 통일혁명당 사건 = 145 2. 남조선 혁명역량 강화노선의 수정과 연방제 통일방식 선전 : 1972∼1988 = 149 1) 국제 환경요인 = 149 2) 대내 환경요인 = 155 3) 남한 환경요인 = 161 4) 대남정책 전개과정과 특성 = 169 5) 사례분석 : '7ㆍ4 남북공동성명' 분석 = 177 제4장 공존과 체제생존 차원의 대남정책 : 1989∼2004 = 189 1.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현실주의적 적응과 남한과의 제한적 대화 모색 : 1989∼1992 = 189 1) 국제 환경요인 = 189 2) 대내 환경요인 = 194 3) 남한 환경요인 = 199 4) 대남정책 전개과정과 특성 = 200 5) 사례분석 : '남북기본합의서'의 채택 = 204 2. 체제생존차원의 대미ㆍ대일 관계개선과 대남 '관민분리정책' 추진 : 1993∼1999 = 216 1) 국제 환경요인 = 216 2) 대내 환경요인 = 217 3) 남한 환경요인 = 220 4) 대남정책 전개과정과 특성 = 223 5) 사례분석 : 남북한간의 금강산관광 사업 = 236 3. 공존과 체제생존을 위한 선택 - 남북정상회담 : 2000 = 239 1) 국제 환경요인 = 240 2) 대내 환경요인 = 246 3) 남한 환경요인 = 251 4) 남북정상회담 : 공존과 체제생존을 위한 선택 = 253 4. 공존과 체제생존의 정당화 - 민족공조론 : 2001∼2004 = 257 1) 국제 환경요인 = 258 2) 대내 환경요인 = 261 3) 대남정책 전개과정과 특성 = 267 5) 사례분석 : 북한의 민족공조론 = 271 제5장 결론 : 북한 대남정책의 지속과 변화전망 = 279 부록 1 :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변동상황 = 289 부록 2 : 당 중앙위원회 비서국 변동상황 = 291 부록 3 : 제3차 당대회 보고문(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하여, 1956년 4월 23일) = 293 부록 4 : 제4차 당대회 보고문(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하여, 1961년 9월 11일) = 302 부록 5 : 제5차 당대회 보고문(남조선혁명과 조국통일을 위하여, 1970년 11월 2일) = 317 부록 6 : 남북공동성명 = 329 부록 7 : 제6차 당대회 보고문(조국의 자주적 평화적 통일을 이룩하자, 1981년 10월 10일) = 331 부록 8 : 북남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협력, 교류에 관한 합의서 = 348 부록 9 : 조국통일을 위한 전민족대단결 10대강령 = 352 부록 10 :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조국통일유훈을 철저히 관철하자 = 355 부록 11 : 온민족이 대단결하여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이룩하자 = 371 부록 12 : 북남공동선언 = 384 부록 13 : 제1차 북남상급 회담 공동보도문 = 386 부록 14 : 북남언론기관들의 공동합의문 발표 = 388 부록 15 : 제2차 북남상급 회담 공동보도문 = 390 부록 16 : 북남사이의 공동보도문 발표 = 392 부록 17 : 북남인민무력부장급회담과 관련한 공동보도문 = 394 부록 18 : 북남경제협력실무접촉 공동보도문 = 396 부록 19 : 제3차 북남상급회담 공동보도문 = 397 부록 20 : 제4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399 부록 21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구성ㆍ운영에 관한 합의서 = 401 부록 22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1차 회의 합의문 = 404 부록 23 : 제5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06 부록 24 : 특사 방북 관련 공동보도문 = 409 부록 25 : 제7차 남북 장관급 회담 공동보도문 전문 = 411 부록 26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2차 회의 합의문 = 413 부록 27 : 동해지구와 서해지구 남북관리구역 설정과 남과 북을 연결하는 척도, 도로작업의 군사적 보장을 위한 합의서 = 416 부록 28 : 제8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22 부록 29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3차 회의 합의문 = 424 부록 30 : 제9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26 부록 31 : 동ㆍ서해지구 남북관리구역 임시도로 통행의 군사적 보장을 위한 잠정합의서 = 427 부록 32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4차 회의 공동보도문 = 429 부록 33 : 제10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30 부록 34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5차 회의 합의문 = 432 부록 35 : 제11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34 부록 36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6차 회의 합의문 = 436 부록 37 : 제12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38 부록 38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7차 회의 합의문 = 439 부록 39 : 제13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42 부록 40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8차 회의 합의문 = 444 부록 41 : 제14차 남북장관급회담 공동보도문 = 447 부록 42 :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9차 회의 합의문 = 448 참고문헌 = 451 찾아보기 = 473
비통제주제어북한,대남정책,지속성,변화,1948,2004,CHANGE,CONTINUITY,NORTHKOREA,POLICY,SOUTHKOREA
가격정보\2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3737 327.5193 정45ㅂ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14384 327.5193 정45ㅂ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법 :  총칙 . 1-2
    주석 형법 : 총칙 . 1-2
    박상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20
  •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 :  병원과 사회를 이어가는 의사 김선민이 꿈꾸는 세상
    아픈 의사, 다시 가운을 입다 : 병원과 사회를 이어...
    김선민 지음
    메디치, 2024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