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쟁의행위 정당성의 국제비교 /

이승욱 ;조용만

책이미지
쟁의행위 정당성의 국제비교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이승욱
조용만
강현주
서명/저자사항쟁의행위 정당성의 국제비교 /이승욱 ;조용만 ;강현주 [공저]
발행사항서울 :한국노동연구원,2000.
형태사항190 p ;24 cm.
총서사항연구보고서 ;2000-04
총서부출표목연구보고서(한국노동연구원) ;2000-04
ISBN8973562916 93330
가격정보\8,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3770 331.89 이58ㅈ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 이승욱 = 3

제2장 ILO에서의 쟁의행위의 정당성 / 이승욱 = 8
   제1절 서설 = 8
   제2절 주체면에서의 정당성 = 10
      1. 공무원 = 10
      2. 공익사업 = 13
   제3절 목적면에서의 정당성 = 16
      1. 정치파업 = 17
      2. 동정파업 = 19
   제4절...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 이승욱 = 3

제2장 ILO에서의 쟁의행위의 정당성 / 이승욱 = 8
   제1절 서설 = 8
   제2절 주체면에서의 정당성 = 10
      1. 공무원 = 10
      2. 공익사업 = 13
   제3절 목적면에서의 정당성 = 16
      1. 정치파업 = 17
      2. 동정파업 = 19
   제4절 절차면에서의 정당성 = 20
      1. 일반원칙 = 20
      2. 내부절차 = 21
      3. 알선, 조정, 임의중재 = 22
      4. 강제중재 = 23
   제5절 기타 쟁의행위의 정당성 = 26
      1. 단체교섭·단체협약과의 관련 = 26
      2. 파업권의 남용 = 27
      3. 쟁의행위의 수단 = 29
   제6절 쟁의행위에 대한 제한조치의 정당성 = 31
      1. 근로자의 동원 = 31
      2. 파업시 대체고용의 정당성 = 32
      3. 정부에 의한 사업장 폐쇄과 경찰의 투입 = 33
      4. 파업기간중의 임금삭감 = 34
   제7절 결어 = 34

제3장 독일에서의 쟁의행위의 정당성 / 이승욱 = 37
   제1절 서설 = 37
      1. 노동쟁의의 법원 = 38
      2. 개념 = 42
   제2절 쟁의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일반적 기준 = 46
      1. 개관 = 46
      2. 쟁의행위에 대한 집단적 파악 = 49
      3. 비례성 원칙 = 50
   제3절 목적면에서의 정당성 = 54
      1. 협약상 규율가능한 목적 = 54
      2. 상대방의 처분가능성 = 60
      3. 사업장조직법상의 문제 = 64
   제4절 주체면에서의 정당성 = 65
      1. 단체 = 65
      2. 개별적인 참가자 = 67
      3. 공무원 등의 쟁의행위 금지 = 69
   제5절 태양면에서의 정당성 = 70
      1. 수단에서의 정당성 = 70
      2. 긴급근로 = 71
   제6절 절차면에서의 정당성 = 73
      1. 평화의무 위반 = 73
      2. 노조 내부절차 = 73
   제7절 직장폐쇄의 정당성 = 74
      1. 직장폐쇄의 의의와 종류 = 74
      2. 방어적 직장폐쇄 = 75
      3. 공격적 직장폐쇄 = 82
   제8절 결어 = 83

제4장 프랑스에서의 쟁의행위의 정당성 / 조용만 = 86
   제1절 서설 = 86
   제2절 파업권의 의의 = 87
      1. 파업권 승인의 연혁 = 87
      2. 파업권의 규율에 관한 법규정 = 89
   제3절 쟁의행위의 일반적 정당성 기준 = 95
   제4절 주체면에서의 정당성 = 98
   제5절 목적면에서의 정당성 = 103
      1. 직업적 요구 = 103
      2. 직업적 요구의한계 = 106
   제6절 절차면에서의 정당성 = 116
      1. 집단적인 파업의사의 존재 = 116
      2. 사용자와의 사전교섭 또는 사용자의 요구수락 거부 여부 등 = 117
      3. 법령상의 절차제한 = 120
      4. 단체협약상의 절차제한 = 123
   제7절 형태면에서의 정당성 = 124
      1. 노무제공의 완전한 정지 = 125
      2. 예고없는 파업 또는 기습파업 = 126
      3. 단기간 반복파업 및 파상파업 = 128
      4. 혈전(血栓)파업 또는 병목파업 = 129
      5. 필수사업 또는 안전업무를 침해하는 파업 = 131
      6. 파업에 수반되는 기타 쟁의행위의 정당성 = 134
   제8절 결어 = 140

제5장 미국에서의 쟁의행위의 정당성 / 강현주 = 144
   제1절 서설 = 144
      1. 법규의 개관 = 144
      2. 쟁의행위의 범위 = 145
      3. 논의의 틀 = 152
   제2절 주체면에서의 정당성 = 153
      1. 근로자 개인의 행위 = 154
      2. 비조직근로자의 행위 = 155
   제3절 목적면에서의 정당성 = 155
      1. 단체교섭을 위한 쟁의행위 = 156
      2. 기타 상호부조 내지 상호보호를 위한 쟁의행위 = 164
   제4절 태양면에서의 정당성 = 166
      1. 직접 사용자에 대한 쟁의행위 = 166
      2. 직접 사용자 이외의 자에 대해 행하는 쟁의행위 = 170
   제5절 요건이나 절차면에서의 정당성 = 179
      1. 단체협약상의 평화의무조항 및 중재·고충절차 위반의 경우 = 179
      2. 배타적 교섭대표제도와의 저촉 = 181
      3. 제8조(d)의 협약종료·개정절차를 따르지 않는 경우 = 182
      4. 국가긴급사태(National Emergencies)의 경우 = 183
   제6절 결어 = 183

제6장 결론 / 이승욱 = 186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