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전자감시제도의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예비연구 =

김혜정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편]

책이미지
전자감시제도의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예비연구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김혜정
단체저자명한국형사정책연구원
서명/저자사항전자감시제도의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예비연구 =Ubertragbarkeit bzw.Anwendbarkeit der electronischen Uberwachung in Korea /김혜정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편]
발행사항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2000.
형태사항172 p ;25 cm.
총서사항연구보고서 ;00-22
총서부출표목연구보고서(한국형사정책연구원) ;00-22
ISBN8973663453 93360
일반주기독문요약 : p. 169-172.
서지주기참고문헌 : p. 161-168.
가격정보\7,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30 345 김94ㅈ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요약 = 11
제1장 서론 = 23
   제1절 연구의 목적 = 2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6

제2장 전자감시제도의 일반론 = 29
   제1절 전자감시제도에 대한 개관 = 29
      1. 전자감시의 개념 = 29
      2. 전자감시 대상자 = 30
      3. 전자감시 재택구금의 용어설명 = 34
   ...

목차 전체

요약 = 11
제1장 서론 = 23
   제1절 연구의 목적 = 2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6

제2장 전자감시제도의 일반론 = 29
   제1절 전자감시제도에 대한 개관 = 29
      1. 전자감시의 개념 = 29
      2. 전자감시 대상자 = 30
      3. 전자감시 재택구금의 용어설명 = 34
        가. 통금(Curfew) = 34
        나. 가택구금(Home Detention) = 35
        다. 가택연금(Home Incarceration) = 35
      4. 전자감시프로그램의 방식 = 37
        가. 斷續的 監視시스템 = 37
        나. 繼續的 監視시스템 = 38
        다. 探知시스템 = 40
        라. 無線 送·受信 記錄監視시스템 = 41
   제2절 전자감시제도의 역사적 배경 = 44
      1. 하버드대학의 실험 = 45
      2. Love판사와 최초의 전자감시적용 = 46
   제3절 전자감시제도를 통한 기대효과 = 48
      1. 범죄자에 대한 일반인의 처벌욕구의 만족 = 49
      2. 교정시설의 과밀수용을 완화시켜 구금에 소요되는 국가예산의 절감에 기여 = 49
      3. 확실한 감독의 가능성을 통한 사회방위효과의 강화 = 50
      4. 원활한 재사회화의 추구에 기여 = 51
      5. 대체자유형을 통한 형사제재의 다양화 = 51

제3장 외국의 전자감시제도 = 53
   제1절 미국 = 53
      1. 개관 = 53
      2. 운영실태 = 54
        가. 전자감시 내용 = 55
        나. 범죄종류 및 대상자 = 57
        다. 시범실시 사례 = 58
   제2절 영국 = 61
      1. 개관 = 61
      2. 법적 근거 = 62
      3. 운영실태 = 62
        가. 전자감시 가택통금(Home Detention Curfew) = 63
        나. 전자감시 통금명령(Curfew Orders forced by Electronic Monitoring) = 65
   제3절 다른 유럽국가 = 67
      1. 스웨덴 = 67
        가. 개관 = 67
        나. 첫 번째 시범실시와 관련한 운영실태 = 68
        다. 두 번째 시범실시와 관련한 운영실태 = 71
      2. 네덜란드 = 73
        가. 개관 = 73
        나. 운영실태 = 74
      3. 독일 = 81
        가. 개관 = 81
        나. 법적 근거 = 82
        다. 운영실태 = 84
   제4절 기타 = 86
      1. 캐나다 = 86
      2. 호주 = 88
      3. 뉴질랜드 = 89

제4장 전자감시제도의 쟁점에 대한 검토 = 91
   제1절 전자감시제도에 관한 찬·반론의 검토 = 91
      1. 전자감시제도에 찬성하는 이유 = 91
      2. 전자감시제도에 반대하는 이유 = 92
   제2절 전자감시제도에 관한 쟁점 = 93
      1. 형사사법제도 및 법률상의 논점 = 93
        가. 헌법상의 기본권 침해여부 = 93
        나. 전자감시대상자 및 일반시민의 法認識내지 法感情과 관련하여 = 100
        다. 형사사법제도 안에서 교정목적달성과 관련하여 = 105
      2. 예산상의 문제 = 107
        가. 초기개발비용의 과다가능성과 비용절감효과 = 107
        나. 장비유지운영 비용 = 111
      3. 전자감시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 = 112
        가. 전자감시프로그램 적용단계 = 112
        나. 전자감시대상자 선발 및 분류의 적정성 = 113
        다. 전자감시기간중 준수사항위반시 대응 방법상의 문제 = 115
        라. 전자감시프로그램의 적용기간의 문제 = 119
        마. 과밀구금과 관련하여 = 119
        바. 관계기관간 협조체제 구축 및 원활한 협조체제 유지필요성 = 124
      4. 전자감시시스템의 기술력에 대한 신뢰성 문제 = 125

제5장 우리나라에서의 전자감시제도 도입 및 운영을 위한 검토 = 129
   제1절 전자감시제도 도입가능성에 대한 검토 = 129
      1. 전자감시제도 도입의 필요성 = 129
      2. 전자감시제도 도입에 따른 장점 = 130
   제2절 한국적 환경 및 인식에 대한 검토 = 132
      1. 사회문화적 환경 = 132
      2. 경제적 환경 = 134
      3. 과학기술적 환경 = 135
      4. 국민의 法認識 및 法感情과 참여인식 = 136
   제3절 전자감시제도 도입 및 운영을 위한 검토사항 = 137
      1. 전자감시제도 적용범위에 관한 검토 = 137
        가. 단기 자유형에 대한 전자감시의 대체 가능성 = 137
        나. 전자감시조건부 조기 가석방의 가능성 = 140
        다. 전자감시를 이용한 집중감독보호관찰 = 141
        라. 전자감시조건부 미결구금의 중지 = 143
        마. 벌금형의 換刑處分에 대한 대안으로 전자감시 재택구금 = 146
      2. 적용대상자 선정에 관한 검토 = 148
   제4절 전자감시제도 시행을 위한 준비사항 = 150
      1. 전자감시제도 시행을 위한 사전 조사 = 150
        가. 각국의 전자감시프로그램연구 및 자료수집 = 150
        나. 외국의 전자감시프로그램 방문시찰 = 151
      2. 근거규정 신설 및 관련법률 개정 등 입법화 = 152
      3. 한국적 전자감시프로그램 개발 = 153
      4. 담당인력 및 예산의 확보 = 153
      5. 전자감시 장비 및 운영시스템 개발 및 시범운영 = 154

제6장 결론 = 157

참고문헌 = 161
Zusammenfassung = 169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주석) 형사소송법 .1-4
    (주석) 형사소송법 .1-4
    김희옥
    韓國司法行政學會, 2017
  • 사람이 사는 미술관
    사람이 사는 미술관
    박민경 지음
    그래도봄, 2023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