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설동훈

책이미지
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설동훈
서명/저자사항외국인노동자와 한국사회 /설동훈 저
발행사항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1999.
형태사항xvi, 575 p ;23 cm.
총서사항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총서 ;10.
ISBN8952100050 94330
일반주기 찾아보기 : p. 571-575.
서지주기참고문헌 : p. 485-533.
가격정보\19,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550 331.544 설225ㅇ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2 EM7671 331.544 설225ㅇ c.2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머리말 = ⅲ

제1부 문제제기와 기본시각
   제1장 서론 = 3
      1. 연구 목적과 내용 = 4
      2. 연구 대상과 방법 = 9
      3. 책의 구성 = 20
   제2장 이론과 분석 틀 = 23
      1. 연구의 기본 시각 = 24
      2. 기존 국제노동력이동이론 검토 = 37
      3. 사회...

목차 전체

머리말 = ⅲ

제1부 문제제기와 기본시각
   제1장 서론 = 3
      1. 연구 목적과 내용 = 4
      2. 연구 대상과 방법 = 9
      3. 책의 구성 = 20
   제2장 이론과 분석 틀 = 23
      1. 연구의 기본 시각 = 24
      2. 기존 국제노동력이동이론 검토 = 37
      3. 사회 속에 '자리매겨진' 외국인노동자와 사회적 자본 = 50
      4. 분석틀 = 62

제2부 외국인노동자 현황
   제3장 유입 배경
      1. 아시아 국가간 사회적 연결구조의 형성 = 71
      2. 국제분업구조상 한국의 지위 변화 = 86
      3. 한국의 생산직 인력난 = 94
      4. 맺음말 = 104
   제4장 신분과 민족 = 107
      1. 신분 = 108
      2. 민족 = 139
      3. 맺음말 = 148
   제5장 출신국 = 151
      1. 출신국별 신분·민족·성 구성 = 151
      2. 외국인노동자의 유입 메커니즘 = 154
      3. 외국인노동자의 출신국 유형 분류 = 175
      4. 맺음말 = 185
   제6장 취업부문 = 187
      1. 생산직 인력난과 외국인노동자의 유입 추이 = 188
      2. 외국인노종자의 취업부문 = 192
      3. 외국인노동자 유입이 국내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 = 204
      4. 맺음말 = 211

제3부 외국인노동자의 유입과 적응 및 귀환
   제7장 입국과 취업 = 215
      1. 국제노동력이동의 선택성 = 215
      2. 취업대상지로 한국을 선택한 이유 = 227
      3. 유입통로와 취업방법 = 233
      4. 맺음말 = 253
   제8장 직장 및 사회 생활 = 257
      1. 노동조건과 차별대우 = 257
      2. 직장생활의 고충과 대응 방식 = 269
      3. 개인생활과 여가활동 = 279
      4. 사회적 연결망 = 286
      5. 주관적 삶의 질 = 295
      6. 맺음말 = 298
   제9장 임금과 노동이동 = 301
      1. 단일노동시장이론과 분절노동시장이론 = 302
      2. 자료와 분석방법 = 307
      3. 상관관계분석 = 318
      4. 중회귀분석 = 322
      5. 법적 신분별 외국인노동자의 임금 결정 모형 = 329
      6. 맺음말 = 339
   제10장 귀환과 송출국의 사회변동 = 343
      1.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 발전 = 344
      2. 재중동포의 한국 취업과 조선족 사회의 변화 = 350
      3. 중국 조선족 사기피해의 원인과 실태 및 대책 = 363
      4. 민족과 국민의 딜레마 = 371
      5. 맺음말 = 376

제4부 한국 사회의 대응과 정부 정책
   제11장 한국 사회의 대응 = 381
      1. 사용자의 의식 = 382
      2. 노동자의 의식 = 390
      3. 노동조합의 대응 = 403
      4. 사회운동 = 407
      5. 맺음말 = 412
   제12장 정부 정책 = 415
      1. 외국인노동자의 유입과 정책 형성 = 415
      2. 외국인노동자의 저항과 산업기술연수제도의 보완 = 443
      3. 외국인근로자 특별법 제정 논쟁과 연수취업제도의 채택 = 450
      4. 경기 침체와 김대중 정부의 외국인력 정책 = 462
      5. 맺음말 = 465

제5부 한국 사회 발전과 외국인노동자
   제13장 결론 = 473
      1. 경기 침체와 외국인노동자 = 475
      2. 외국인노동자와 한국 사회 발전 = 478

참고문헌 = 485
부록:외국인노동자 조사연구 질문지 = 535
찾아보기 = 571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한국 병역정책의 바람직한 진로 /
    정주성 ;정원영
    한국국방연구원,, 2003
  •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역사와 쟁점으로 살펴보는) 한국의 병역제도
    김신숙 지음
    메디치미디어, 2020
  •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인권을 찾아서 : 신세대를 위한 세계인권선언
    조효제 지음
    한울아카데미, 2011
  •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주해 . 1-3
    노동법실무연구회 지음
    박영사, 2023
  • 지리의 힘 . 1-2
    지리의 힘 . 1-2
    팀 마샬 지음
    사이, 2022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