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 HOME
  • 상세정보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

다카기 진자부로 [저] ;김원식 [역]

책이미지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 표지이미지
도서 상세정보
서지사항정보
자료유형단행본
개인저자다카기 진자부로, 1938-
김원식
서명/저자사항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다카기 진자부로 [저] ;김원식 [역]
발행사항대구 :녹색평론사,2006
형태사항283 p ;22cm
원서명いま自然をどうみるか
ISBN8990274311 03400
일반주기저자의 한자명은 "高木仁三郞"임
서지주기참고문헌: p. 267-275
내용주기서장 : 지금 왜 자연인가 = 7 어느 이른 아침에 과학적인 자연상 두개의 자연 핵테크놀로지가 뜻하는 것 제2의 자연 고독한 정복자 자연관의 재검토 에콜로지 에콜로지즘은 해방의 사상이 될 수 있는가 이 책의 구성 제1부 인간은 자연을 어떻게 보아 왔는가 제1장 제우스와 프로메테우스 = 29 1 .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로타고라스》의 프로메테우스 늦게 나타난 인간 프로메테우스 찬가 결박당한 프로메테우스 제우스의 정의 2. 헤시오도스의 세계 헤시오도스의 프로메테우스 《노동과 나날》 헤시오도스의 정의와 자연 정의의 도시 자연과 인간 제2장 로고스가 된 자연 = 55 1. 우주 크기의 동물 만물은 물이다 우주 크기의 동물 로고스가 된 자연 2.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구조 자연론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신'의 투입 우주 속의 인간 중세 기독교 사회와 아리스토텔레스 제3장 기계로서의 자연 = 79 1. 해방의 시대 혁명과 보수화 코페르니쿠스 우주관의 해방 조르다노 부르노 자연에 내재하는 원리 2. 근대적 자연관으로 기계로서의 자연 정신과 육체 수학의 도입 3. 뉴턴이 가져온 것 사과와 달 최초에 법칙이 있었다 "나는 가설을 만들지 않는다" 자연은 단순함을 좋아한다 기독교와 과학 직업으로서의 과학 제4장 우주는 해명되었는가 = 115 1. 수학적 우주 수학적 자연 위로부터의 수학 상대성이라는 절대주의 물리적 의미는 뒤따라온다 우주원리 완전우주원리 빅뱅우주론 힘의 통일 2. 우주와 인간 우주와 신 빅뱅이론은 '우리의 현재'를 설명할 수 있는가 뉴사이언스 뉴사이언스 비판 자연관의 전환 제2부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5장 에콜로지적 지구상(地球像) = 147 1. 우주선 '지구호' 모델 대체할 수 없는 지구 인간 자신에 대한 인식 '우주선 지구호'의 한계 2. 개방정상계(開放定常系)의 모델 살아있는 계(系) 천동설의 부활? 3. 가이아 모델 살아있는 것으로서의 지구 데이지꽃의 세계 모델 공생의 의미 4. 생물과 문화 생물의 문화 프로메테우스의 후손 생명의 문화 제6장 민중의 자연 = 175 1. 원주민의 세계에서 토착의 자연 비핵(非核)태평양 론과의 대화 버팔로에 대해서 전승의 설득력 2. 근대를 넘어서는 정신 이시무레 미치코의 세계 근대를 관통하는 생명감 사람과 자연의 대화 유희와 해학 들놀이 노래 싸움 제7장 자연과 노동 = 205 1. 자유의 나라ㆍ필연의 나라 네이처쇼크 어린애 같은 태도? 자유의 나라 유용성으로서의 노동 자연과의 싸움 2. 노동과 생활 노동의 의미 현대의 노동 노동시간에 대하여 생활과 자연 살아있는 사회 인간의 주체성으로서의 노동 종장 : 자연에 살다 = 231 내재하는 자연성 김지하의 에피소드 편견에서의 해방 사냥하는 인간 페미니즘과 자연관 반차별과 자연성 자연주의 내츄럴한 사회 운동에 대하여 맺음말 증보 : 그리고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 251 1. 격동의 시대에 12년이 지났다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정보의 공개 지구환경문제 2. 근원적 전환을 위하여 '지구환경'에 대해서 전환 공생 미래를 되찾는다 전환기의 과학 인용문헌 및 참고문헌 = 267 후기 = 276 증보신판에 붙이는 후기 = 278 역자 후기 = 280
일반주제명과학[科學]
가격정보\10000
서비스 이용안내
  • 택배대출 신청
  • 청구기호 프린터 선택
등록번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등으로 구성된 소장도서의 목록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1 EM16748 502 다821ㅈ김 인권도서관/인권도서관/ 대출가능

목차 일부

서장 : 지금 왜 자연인가 = 7  어느 이른 아침에  과학적인 자연상  두개의 자연  핵테크놀로지가 뜻하는 것  제2의 자연  고독한 정복자  자연관의 재검토  에콜로지  에콜로지즘은 해방의 사상이 될 수 있는가  이 책의 구성 제1부 인간은 자연을 어떻게 보아 왔는가  제1장 제우스와 프로메테우스 = 29  1 .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로타고라스》의 ...

목차 전체

서장 : 지금 왜 자연인가 = 7  어느 이른 아침에  과학적인 자연상  두개의 자연  핵테크놀로지가 뜻하는 것  제2의 자연  고독한 정복자  자연관의 재검토  에콜로지  에콜로지즘은 해방의 사상이 될 수 있는가  이 책의 구성 제1부 인간은 자연을 어떻게 보아 왔는가  제1장 제우스와 프로메테우스 = 29  1 . 프로메테우스 신화  《프로타고라스》의 프로메테우스  늦게 나타난 인간  프로메테우스 찬가  결박당한 프로메테우스  제우스의 정의  2. 헤시오도스의 세계  헤시오도스의 프로메테우스  《노동과 나날》  헤시오도스의 정의와 자연  정의의 도시  자연과 인간  제2장 로고스가 된 자연 = 55  1. 우주 크기의 동물  만물은 물이다  우주 크기의 동물  로고스가 된 자연  2.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구조  자연론으로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신'의 투입  우주 속의 인간  중세 기독교 사회와 아리스토텔레스  제3장 기계로서의 자연 = 79  1. 해방의 시대  혁명과 보수화  코페르니쿠스  우주관의 해방  조르다노 부르노  자연에 내재하는 원리  2. 근대적 자연관으로  기계로서의 자연  정신과 육체  수학의 도입  3. 뉴턴이 가져온 것  사과와 달  최초에 법칙이 있었다  "나는 가설을 만들지 않는다"  자연은 단순함을 좋아한다  기독교와 과학  직업으로서의 과학  제4장 우주는 해명되었는가 = 115  1. 수학적 우주  수학적 자연  위로부터의 수학  상대성이라는 절대주의  물리적 의미는 뒤따라온다  우주원리  완전우주원리  빅뱅우주론  힘의 통일  2. 우주와 인간  우주와 신  빅뱅이론은 '우리의 현재'를 설명할 수 있는가  뉴사이언스  뉴사이언스 비판  자연관의 전환 제2부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5장 에콜로지적 지구상(地球像) = 147  1. 우주선 '지구호' 모델  대체할 수 없는 지구  인간 자신에 대한 인식  '우주선 지구호'의 한계  2. 개방정상계(開放定常系)의 모델  살아있는 계(系)  천동설의 부활?  3. 가이아 모델  살아있는 것으로서의 지구  데이지꽃의 세계 모델  공생의 의미  4. 생물과 문화  생물의 문화  프로메테우스의 후손  생명의 문화  제6장 민중의 자연 = 175  1. 원주민의 세계에서  토착의 자연  비핵(非核)태평양  론과의 대화  버팔로에 대해서  전승의 설득력  2. 근대를 넘어서는 정신  이시무레 미치코의 세계  근대를 관통하는 생명감  사람과 자연의 대화  유희와 해학  들놀이 노래  싸움  제7장 자연과 노동 = 205  1. 자유의 나라ㆍ필연의 나라  네이처쇼크  어린애 같은 태도?  자유의 나라  유용성으로서의 노동  자연과의 싸움  2. 노동과 생활  노동의 의미  현대의 노동  노동시간에 대하여  생활과 자연  살아있는 사회  인간의 주체성으로서의 노동  종장 : 자연에 살다 = 231  내재하는 자연성  김지하의 에피소드  편견에서의 해방  사냥하는 인간  페미니즘과 자연관  반차별과 자연성  자연주의  내츄럴한 사회  운동에 대하여  맺음말  증보 : 그리고 지금, 자연을 어떻게 볼 것인가 = 251  1. 격동의 시대에  12년이 지났다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정보의 공개  지구환경문제  2. 근원적 전환을 위하여  '지구환경'에 대해서  전환  공생  미래를 되찾는다  전환기의 과학 인용문헌 및 참고문헌 = 267 후기 = 276 증보신판에 붙이는 후기 = 278 역자 후기 = 280
  • 수라 : 바다를 바란다 [비디오 녹화자료] :  바다를 바란다  [비디오 녹화자료]
    수라 : 바다를 바란다 [비디오 녹화자료] : 바다를...
    미디어허브, 2024
  • 다세계 :  양자역학은 왜 평행우주에 수많은 내가 존재한다고 말할까
    다세계 : 양자역학은 왜 평행우주에 수많은 내가 존재...
    숀 캐럴 지음
    프시케의숲, 2021
  • 생명이란 무엇인가 :  5단계로 이해하는 생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 5단계로 이해하는 생물학
    Martynoga, Ben
    까치, 2021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총 5점중 별0점
  • 총 5점중 별5점
  • 총 5점중 별4.5점
  • 총 5점중 별4점
  • 총 5점중 별3.5점
  • 총 5점중 별3점
  • 총 5점중 별2.5점
  • 총 5점중 별2점
  • 총 5점중 별1.5점
  • 총 5점중 별1점
  • 총 5점중 별0.5점
  • 총 5점중 별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