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 사회에 다문화multiculture에 관한 담론이 무성하다. 특히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다문화사회란 무엇인가? 다문화교육은 왜 해야 하는가? 다문화사회의 시민형성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가 중요한 담론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질문과 필요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이론 체계와 실천 항목들을 동시에 담고 있는 하나의 그릇과 같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의 기본 논리와 고유 방법론, 방법들은 구체적인 실행 교과와 영역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학교에서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다양하게 구현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외재적 교수전략과 내재적 수업 행동이 동시에 제시되어야 올바른 다문화교육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다. 저자는 이런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아이디어들과 이론, 다문화 시민교육 방법과 교수기법, 다문화교육과정의 구조, 도덕, 사회, 국어, 재량활동, 특별활동, 초등 통합 교과 다문화수업의 실제, 실행 평가와 제언들을 소개하고 있다.